목차
1. 서론
2.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
3. 서울대학교 기숙사 빗물이용 시스템
4. 서울대학교 빗물관리 현황과 계획
2.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
3. 서울대학교 기숙사 빗물이용 시스템
4. 서울대학교 빗물관리 현황과 계획
본문내용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
빗물가압펌프실에 설치된 L/C-1에 의해 저류조에 설치된 펌프를 on/off 제어.
저류조(L/C-2)의 수위가 low alarm일 때에는 빗물가압펌프실에 설치된 L/C-1에 의해 시상수도관에 설치된 밸브를 on/off 제어.
중수조에 설치된 L/C-4에 의해 빗물저류조에 설치된 펌프를 on/off 제어.
- 중수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
저류조(L/C-2)의 수위가 low alarm일 때에는 중수조에 설치된 L/C-4에 의해 중수조에 설치된 펌프를 on/off 제어.
빗물저류조(L/C-2)와 중수조(L/C-3) low alarm일 때에는 L/C-4에 의해 시상수도관에 설치된 밸브를 on/off 제어.
(2) 중앙감시 항목
- 빗물가압펌프실의 저류조의 수위 및 고/저수위 경보감시.
- 빗물저류조의 수위 및 고/저수위 경보 및 펌프동작상태 감시.
- 중수조의 수위 및 고/저수위 감시, 경보 및 펌프동작상태 감시.
- 시상수도, 빗물, 중수에 설치된 meter 기의 유량감시(6개소).
3.7 운전 및 유지관리
시설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유지관리이다. 많은 시설물들이 막대한 비용을 들이고 나서 건설된 뒤 설계 당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그 기술이 축적되고 있지 않다. 주기적인 점검과 양질의 유지관리 활동을 통해서 운영과 작동상의 안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고 사용연한을 늘리며 시공상의 손실과 계획에 없는 시설 보수를 줄일 수 있다. 서울대학교 기숙사에 설치된 빗물이용시설 점검과 유지관리 활동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검사 및 유지관리 되어야 한다. 운전을 통해 향후 2년간 전체 물사용량과 상수사용량 절감량을 포함한 수량과 수질에 대한 모니터링, 운전당시 발견된 문제점과 해결방안, 현장평가 등의 결과를 유지관리 매뉴얼로 작성하여야 한다. 유지관리와 기록 유지에 관한 예산이 반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4. 서울대학교 빗물관리 현황과 계획
서울대학교는 홍수조절과 가뭄대비를 위하여 빗물관리를 해왔으며 앞으로도 계속하여 빗물관리시설 및 연구에 관한 한 세계적인 모범이 되고자 계획하고 있다. 먼저 캠퍼스 조성 단계시기부터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버들골에 빗물저류조를 설치하였다[Fig 5]. 그 용량은 100 m3 정도이며 10m × 10m × 1m 정도의 크기로 옥외에 나무를 심어 보이지 않도록 하였다. 산에서 유출되는 빗물의 일부는 저류조로 들어가게 된다. 저류조에 차있던 물은 스스로 토양에 침투되도록 되어 있고 일정량 이상은 월류되도록 되어 있다.
[Fig. 5] 서울대학교내 빗물저류조(100 m3)
이번에 신축된 서울대학교 기숙사는 지붕집수 뿐만 아니라 관악산 계곡으로부터의 빗물을 모아 사용하고 빗물과 중수 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게 된다. 본 시설은 향후 우리나라의 빗물이용시설의 설계 및 설치에 필요한 연구와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앞으로 신축될 대학원 연구동을 비롯하여 서울대학교내 모든 신축건물에 대해서 빗물이용시설 설치가 의무화될 예정이다. 이렇게 각 건물마다 빗물이용시설을, 그리고 곳곳에 빗물침투시설을 설치하여 그 결과를 모니터링하면서 기술개발 및 보급확대를 위한 정책조언을 할 수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나 관악구 관내에 사용하지 않는 저류조나 하수박스 또는 지하의 빈공간을 이용하여 빗물관리방안을 연구할 예정이며 환경부 및 관악구청과 함께 시범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UNEP와 공동으로 만들어진 빗물연구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서울시 관악구청과 함께 지방공무원 교육 등의 공동연구를 시행할 예정이다. 앞으로는 전 세계의 기술자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빗물가압펌프실에 설치된 L/C-1에 의해 저류조에 설치된 펌프를 on/off 제어.
저류조(L/C-2)의 수위가 low alarm일 때에는 빗물가압펌프실에 설치된 L/C-1에 의해 시상수도관에 설치된 밸브를 on/off 제어.
중수조에 설치된 L/C-4에 의해 빗물저류조에 설치된 펌프를 on/off 제어.
- 중수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
저류조(L/C-2)의 수위가 low alarm일 때에는 중수조에 설치된 L/C-4에 의해 중수조에 설치된 펌프를 on/off 제어.
빗물저류조(L/C-2)와 중수조(L/C-3) low alarm일 때에는 L/C-4에 의해 시상수도관에 설치된 밸브를 on/off 제어.
(2) 중앙감시 항목
- 빗물가압펌프실의 저류조의 수위 및 고/저수위 경보감시.
- 빗물저류조의 수위 및 고/저수위 경보 및 펌프동작상태 감시.
- 중수조의 수위 및 고/저수위 감시, 경보 및 펌프동작상태 감시.
- 시상수도, 빗물, 중수에 설치된 meter 기의 유량감시(6개소).
3.7 운전 및 유지관리
시설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유지관리이다. 많은 시설물들이 막대한 비용을 들이고 나서 건설된 뒤 설계 당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그 기술이 축적되고 있지 않다. 주기적인 점검과 양질의 유지관리 활동을 통해서 운영과 작동상의 안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고 사용연한을 늘리며 시공상의 손실과 계획에 없는 시설 보수를 줄일 수 있다. 서울대학교 기숙사에 설치된 빗물이용시설 점검과 유지관리 활동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검사 및 유지관리 되어야 한다. 운전을 통해 향후 2년간 전체 물사용량과 상수사용량 절감량을 포함한 수량과 수질에 대한 모니터링, 운전당시 발견된 문제점과 해결방안, 현장평가 등의 결과를 유지관리 매뉴얼로 작성하여야 한다. 유지관리와 기록 유지에 관한 예산이 반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4. 서울대학교 빗물관리 현황과 계획
서울대학교는 홍수조절과 가뭄대비를 위하여 빗물관리를 해왔으며 앞으로도 계속하여 빗물관리시설 및 연구에 관한 한 세계적인 모범이 되고자 계획하고 있다. 먼저 캠퍼스 조성 단계시기부터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버들골에 빗물저류조를 설치하였다[Fig 5]. 그 용량은 100 m3 정도이며 10m × 10m × 1m 정도의 크기로 옥외에 나무를 심어 보이지 않도록 하였다. 산에서 유출되는 빗물의 일부는 저류조로 들어가게 된다. 저류조에 차있던 물은 스스로 토양에 침투되도록 되어 있고 일정량 이상은 월류되도록 되어 있다.
[Fig. 5] 서울대학교내 빗물저류조(100 m3)
이번에 신축된 서울대학교 기숙사는 지붕집수 뿐만 아니라 관악산 계곡으로부터의 빗물을 모아 사용하고 빗물과 중수 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게 된다. 본 시설은 향후 우리나라의 빗물이용시설의 설계 및 설치에 필요한 연구와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앞으로 신축될 대학원 연구동을 비롯하여 서울대학교내 모든 신축건물에 대해서 빗물이용시설 설치가 의무화될 예정이다. 이렇게 각 건물마다 빗물이용시설을, 그리고 곳곳에 빗물침투시설을 설치하여 그 결과를 모니터링하면서 기술개발 및 보급확대를 위한 정책조언을 할 수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나 관악구 관내에 사용하지 않는 저류조나 하수박스 또는 지하의 빈공간을 이용하여 빗물관리방안을 연구할 예정이며 환경부 및 관악구청과 함께 시범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UNEP와 공동으로 만들어진 빗물연구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서울시 관악구청과 함께 지방공무원 교육 등의 공동연구를 시행할 예정이다. 앞으로는 전 세계의 기술자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