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산 중 Purine과 pyrimidine의 대사
2. 혐기성 호흡
2. 혐기성 호흡
본문내용
키는 과정으로 질산화의 반대과정으로 고도처리 과정에서 질소제거의 중요한 기작이다.
2NO3- + 5H2 → N2 + 2OH- + 4H2O
관여미생물로는 Pseudomonas, Micrococcus, Achromobacter가 있으며 탈질반응의 영향인자 중 온도범위는 4∼50℃이고 적정 pH는 7∼8범위, 용존산소 존재 시는 산화질소에 비해 산소호흡이 선호되므로 용존산소가 0.5mg/ℓ이상되면 탈질화 과정을 방해한다.
황산염을 이용한 혐기성 호흡은 황산환원세균으로부터 황산이 직접 생산된다. 이러한 절대혐기성 세균은 산화제로 황산염을 사용하여 유기화합물과 수소분자를 산화시킨다. 따라서 황순환에서 이들 세균의 역할은 질소순환에서의 질산환원세균의 역할과 비교될 수 있다. 황산환원세균의 작용은 특히 연못이나 시내의 밑바닥에 있는 진흙과 습지,그리고 해변을 따라 활발하게 나타난다. 해수는 고농도의 황산염을 포함하기 때문에 황산염환원은 얕은 바다 밑바닥에 있는 유기물질의 무기질화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 징표로 H2S의 냄새와 황산환원이 일어나고 있는 진흙의 진한 흑색화이다. 황환원균으로는 Desulfovibrio desulfuricans 가 많이 알려져 있다.
2NO3- + 5H2 → N2 + 2OH- + 4H2O
관여미생물로는 Pseudomonas, Micrococcus, Achromobacter가 있으며 탈질반응의 영향인자 중 온도범위는 4∼50℃이고 적정 pH는 7∼8범위, 용존산소 존재 시는 산화질소에 비해 산소호흡이 선호되므로 용존산소가 0.5mg/ℓ이상되면 탈질화 과정을 방해한다.
황산염을 이용한 혐기성 호흡은 황산환원세균으로부터 황산이 직접 생산된다. 이러한 절대혐기성 세균은 산화제로 황산염을 사용하여 유기화합물과 수소분자를 산화시킨다. 따라서 황순환에서 이들 세균의 역할은 질소순환에서의 질산환원세균의 역할과 비교될 수 있다. 황산환원세균의 작용은 특히 연못이나 시내의 밑바닥에 있는 진흙과 습지,그리고 해변을 따라 활발하게 나타난다. 해수는 고농도의 황산염을 포함하기 때문에 황산염환원은 얕은 바다 밑바닥에 있는 유기물질의 무기질화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 징표로 H2S의 냄새와 황산환원이 일어나고 있는 진흙의 진한 흑색화이다. 황환원균으로는 Desulfovibrio desulfuricans 가 많이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