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정신과 육체
물질과 정신
의식과 신경계
능동성과 의식․감각
언어와 사유 = 인간 고유의 수준 높은 정신 활동
물질과 정신
의식과 신경계
능동성과 의식․감각
언어와 사유 = 인간 고유의 수준 높은 정신 활동
본문내용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말할 수 있게 해 준다.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우리의 의식은 비로소 보편성을 지닌 추상적 의식으로 성장하며, 이에 따라 다른 동물들에게는 전혀 불가능한 사유의 세계가 인간의 눈앞에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은 감각만을 활용하는 다른 동물들에 비해 외부세계와,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훨씬 더 복잡한 관계를 맺게 되며, 뇌가 바로 이런 관계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인간의 언어나 사유는 감각을 토대로 하여 발전한 것이지만, 이제 거꾸로 개념적 사유가 감각의 조건이 되고 감각의 방향을 결정한다. 우리는 단순히 감각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감각 데이터를 우리가 이미 갖고 있는 개념에 통합시킨다. 예컨대 우리는 어떤 사물을 보았을 때 그것의 이름을 먼저 떠올리며, 최소한 그것을 묘사할 수 있는 언어적 표현들을 떠올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리의 감각뿐만 아니라 사유와 개념 등 인간 고유의 모든 수준 높은 정신활동은 인간이라는 유기체의 물질적 활동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그 기능을 담당하는 육체 기관(뇌와 신경계, 감각기관)에 의존하면서 인간 자신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해 나아간다.
인간의 언어나 사유는 감각을 토대로 하여 발전한 것이지만, 이제 거꾸로 개념적 사유가 감각의 조건이 되고 감각의 방향을 결정한다. 우리는 단순히 감각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감각 데이터를 우리가 이미 갖고 있는 개념에 통합시킨다. 예컨대 우리는 어떤 사물을 보았을 때 그것의 이름을 먼저 떠올리며, 최소한 그것을 묘사할 수 있는 언어적 표현들을 떠올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리의 감각뿐만 아니라 사유와 개념 등 인간 고유의 모든 수준 높은 정신활동은 인간이라는 유기체의 물질적 활동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그 기능을 담당하는 육체 기관(뇌와 신경계, 감각기관)에 의존하면서 인간 자신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해 나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