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분석]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분석]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설
1) 작가 마가레트 미첼(Margaret Mitchell, 1900-1949)
2) 소설에 대한 Episodes

2. 영화
1) 의 신화 - 어떻게 만들어졌나
2) 영화의 촬영 기법과 촬영과정

3. 영화의 배경
1) 영화의 배경이 된 남북전쟁
2) 왜 남북전쟁이 배경인가? - 1930년대의 미국, 경제 대공황
3) 1930년대의 미국 영화계

4. 인물분석
1) Scarlett O'Hara
2) Rhett Butler
3) Melanie Hamilton
4) Ashley Wilkes

5. 인물과 그 밖의 상징성
1)주요 인물들의 상징적 의미
2) Scarlett의 마지막 대사 “Tomorrow is another day"
3) 라는 제목의 의미
4) 코르셋
5) 타라

6. 작품의 주제

7. 영화와 관련된 이색 기록들

<참고 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3) 1930년대의 미국 영화계
- 30년대의 영화계
1933년 영국 영화 연구소(British Film Institute) 설립
1934년 미국 영화 검열 강화
1935년 미국에서 윌리엄 폭스, 폭스사 창립. 동유럽 최초의 국제 영화제인 모스크바 영화제 개최(소련)
1936년 미국 뉴욕 영화 비평가상 생기다
- 30년대 만들어진 영화
1933년 괴수 영화의 효시 - 킹콩
1934년 로멘틱 코메디의 진수- 어느날 밤 생긴 일
1936년 모던 타임즈
1937년 월트 디즈니, 백설 공주
1938년 톰소여의 모험
1939년 서부 영화의 진가- 역마차
1940년 대공황기 미국 농촌 풍경을 다룬 존 스타인 벡 원작의 분노의 포도
4. 인물분석
1) Scarlett O'Hara
전쟁 전의 스칼렛은 모든 남자를 소유하려 하며 오만하기 그지없다. 특히 좋아하던 Ashley를 소유할 수 없게 되자 집착하게 된다. 이 모든 것이 욕심 때문이다. 전쟁 후, 변화하는 사회에서 목화 농사로는 평화를 지킬 수 없게 되자 'Charles'라는 동생 애인을 가로챔으로써, 다리 역할을 삼아 산업 사회로 진출하여 북부인과도 거래를 한다. 이것은 적과의 타협으로, 이러기 위해 예전의 관습을 버려야 했다. 평화를 이루는 그녀의 방법은 항상 돈이었다. Rhett와의 부부생활에서의 Scarlett은 진실한 사랑을 깨닫지 못하며, 솔직하지 못한 자존심으로 가정생활의 평화를 깨뜨리게 된다.
2) Rhett Butler
전쟁전의 시대 파악능력과 전쟁을 통한 그의 행동으로 미루어 보아 대단히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면을 추구하는 인물로 판단된다. 또한, 결정적인 순간에 인간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남북전쟁 시, 의식이 우물 안 개구리였던 남부인들 보다 깨어있었으며 양쪽에서 적절히 타협할 줄 알았다. Rhett의 Scarlett에 대한 사랑은 아주 오랜 시간의 갈구였다. 그러나 그녀를 사랑이 보답 받지 못함으로써, 딸 Bonnie에게 대리만족식의 사랑을 쏟아 붓는다.
3) Melanie Hamilton
그 시대의 관용과 용서를 상징하는 인물. 선하고 바른 마음을 가지며 인간 본연에 대한 커다란 믿음을 생에 걸쳐 단 한번도 의심하지 않는다. 천사 혹은 성녀의 이미지로 형상화되는 전형적 캐릭터이며, 궁극적으로 분쟁도 전쟁도 없는 평화를 추구한다. 그러나 폭풍과 같은 전쟁 상황에서, 자신이 믿는 바대로 꿋꿋이 실천할 줄 아는 조용한 용기를 지녔다. 강한 자아로 인해 끊임없이 부딪히는 Scarlett과 Rhett 사이에서 부드러운 완충작용을 한다.
4) Ashley Wilkes
전통적인 남부의 신사로서 무기력하게 무너져가는 남부상류층을 나타낸다. 그는 전쟁 후에 재기의 뚜렷한 강력한 의지도 나타내지 못하고 적응하지도 못하는데, 그가 전쟁 후 목장에서 늘어놓는 사회현실에 대한 한탄과 푸념은 회의주의에 빠진 지식층의 모습과도 같다. 그러나 비록 우유부단하고 허무 한 모습만이 시종 드러날지라도, 그는 그 시대의 명예와 명분이란 가치를 담고 있는 캐릭터라 할 수 있다. 그가 추구하는 가치의 성격 때문에, 그는 지성적이고 명상적이고 따라서 비행동적이고 비실질적인 인물로 그려지는 것이다.
5. 인물과 그 밖의 상징성
1)주요 인물들의 상징적 의미
Ashley - 명예, 명분
Scarlett과 Rhett - 실리, 타협
Melanie - 관용, 포용
2) Scarlett의 마지막 대사 "Tomorrow is another day"
(1) 결코 좌절하지 않는다는 불굴의 의지.
(2) 현재에 급급하여 미래에 대한 이상을 세우지 못하는 근시안적인 가치관, 그녀의 정신적 나태(懶怠) 를 여실히 보여 주는 대사이기도 하다.
(3) 근거 없는 철 없는 유아적 낙관주의
3) 라는 제목의 의미
사랑하는 Rhett가 떠나버리자 Scarlett에게 남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그녀의 외롭고 막막한 마음을 대변해줌과 동시에 전쟁으로 인해 사라져간 미국 남부의 전통과 문명을 의미한다.
4) 코르셋
여러 사람들이 Scarlett의 18인치 허리를 극찬하고 또한 허리사이즈가 여성매력의 기준이 되어 모든 여성들이 코르셋을 사용했다는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단순히 외형적인 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성에 대한 사회적 압박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5) 타라
표면적으로는 전쟁으로 인해 이미 사라져버린 옛 고향의 터전이며 옛날부터 사랑했던 전통적 삶이라고 할 수 있다. 내면적으로는 아련한 기억 속에서만 존재하는 옛 시절과의 마지막 유대이며 현실에서는 돌아갈 수 없는 곳이기에 오히려 현실에서의 슬픔을 잊을 수 있는 유일한 돌파구이다.
6. 작품의 주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전쟁으로 인해 모든 것을 잃은 사람들의 상실감과 허무감을 그리고 있지만 궁극적인 주제는 「결코 좌절하지 않는 불굴의 의지」라고 할 수 있다.
7. 영화와 관련된 이색 기록들
마가렛 미첼 여사 원작 판권료: 5만 달러, Scarlett 판권료: 9만 달러
의상 소비수: 총 4118 벌( Scarlett 44벌, Rhett: 36벌)
의상비: 153,818 달러
촬영기간: 140일
출연, 스태프진 총수: 4천 4백명
Scarlett 후보자: (영화) 1400명, (TV) 2천명
등장 동물수: 말 1100말리, 돼지 375 마리 등
최초로 아카데미를 탄 흑인 배우: 여우조연상을 탄 Hattie McDaniel이 최초
<참고 문헌>
세계 영화계를 흔든 100대 사건, 우리 문학사, 1995.10.17, 이경기 지음,102-105p
http://home.nownuri.net/%7Eloyu/03.htm
http://home.hanmir.com/~lemontree1018/hernovels.htm
http://galaxy.channeli.net/aster12/iam.htm
http://my.netian.com/~julius2k/kim4-1.htm
Margaret Mitchell ( http://home.hanmir.com/~lemontree1018/index.htm )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1.31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