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장애인복지법
1. 의의
2. 입법과정
3. 내용
Ⅲ. 장애인관련법규
1. 장애인복지 관련법의 종류
2. 장애인복지 관련법령의 주요 내용
Ⅳ. 장애인복지법 및 관련법의 문제점
1. 사회보장의 문제점
2. 복지서비스 차원에서의 문제점
3. 장애인복지정책간 상호연계성 미흡 : 행정체계의 분산
Ⅴ. 장애인복지법 및 관련법의 개선방안
1. 사회보장 개선방안
2. 복지서비스 차원에서 개선방안
3. 장애인복지정책간 상호연계성에 대한 개선방안
4. 소득보장을 위한 직업재활의 활성화
5.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시책의 개선방향
Ⅵ. 마무리를 지으며
◎ 참고문헌
◎ 부록
《별첨 1》 - 장애인복지의 세부적 발달과정
Ⅱ. 장애인복지법
1. 의의
2. 입법과정
3. 내용
Ⅲ. 장애인관련법규
1. 장애인복지 관련법의 종류
2. 장애인복지 관련법령의 주요 내용
Ⅳ. 장애인복지법 및 관련법의 문제점
1. 사회보장의 문제점
2. 복지서비스 차원에서의 문제점
3. 장애인복지정책간 상호연계성 미흡 : 행정체계의 분산
Ⅴ. 장애인복지법 및 관련법의 개선방안
1. 사회보장 개선방안
2. 복지서비스 차원에서 개선방안
3. 장애인복지정책간 상호연계성에 대한 개선방안
4. 소득보장을 위한 직업재활의 활성화
5.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시책의 개선방향
Ⅵ. 마무리를 지으며
◎ 참고문헌
◎ 부록
《별첨 1》 - 장애인복지의 세부적 발달과정
본문내용
체육회 설립
1989. 7 : 전화요금 감면
1989. 8 : 장애인종합복지대책안 건의
1989. 12 : 심신장애자복지법 전문개정, 장애인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규정
1990. 1 : 저소득 중증, 중복장애인 생계보조수당 지금, 의료비 지원
1990. 1 : 장애인 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제정, 공포
1990. 5 : 장애인 승용자동차 LPG연료 사용 허용
1990. 9 : 국공립 박물관, 고궁, 능원의 장애인 무료입장
1991. 1 : 장애인 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시행
1991. 1 : 철도 및 지하철도요금 50% 할인
1991. 5 : ‘91 서울 국제 재활용품 전시회 개최
1991. 8 : 대한항공 국내선 항공료 50% 할인
1992. 1 : 저소득 장애인가구 자녀 교육비 지원 및 자립자금 대여
1992. 1 : 재가장애인 순회재활서비스센터 설치운영
1992. 9 : 제9회 바르셀로나 장애인올림픽대회 참가
1992. 12 : UN에서 매년 12월 3일을 세계 장애인의 날로 규정
1993. 1 : 장애인종합복지관 분관 설치운영
1993. 4 : 지하철 무임승차제 실시
1993. 8 : 장애인자동차 표시제 실시(주차요금 할인, 10부제 적용 제외, 계도위주 단속)
장애인 보철용 승용차 특소세 면세용도증명서 발급시 LPG 사용증명서 동시 발급제 실시, 국내선 항공료 50% 할인 확대(아시아나)
1993. 9 : 장애인승용차 LPG 사용범위 확대
1993. 11 : 영구임대주택 입주 신청시 가산점 부여 확대(10점)
1994. 1 : 1가구 2차량일 때 중과세 대상에서 장애인차량 제외
1994. 4 : 장애인승용차 LPG 사용범위 확대(세대를 같이 하는 보호자 명의 등록차량까지)
1994. 4 : 국립재활원 확대개원(병원부 설치)
1994. 4 : 재활과를 장애인복지과로 직제 개정
1994. 6 : 장애인보장구의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품목 확대(보조기, 지체장애이용 지팡이 및 목발 추가)
1994. 8 : 재활 및 물리치료보험수가 적용확대 및 연간 급여비용의 상한액상향조정(150만원)
1994. 9 : 지체장애인 1종 운전면허 허용
1994. 11 :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감면 품목 확대(54종, 맹도견 포함)
1994. 12 : 장애인 편의시설 및 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정
1995. 1 : 저소득 장애인가구 자녀 실업계 고교생학비 지원, 장애인 정원외 대학입학 허용
장애인 승용자동차 특별소비세 면제범위 확대(1~3급 장애인 명의 1500cc 이하)
장애인승용차 자동차세 면제범위 확대(18세 이상의 1~3급 지체 및 1~4급 시각장 애인 명의 2000cc 이하), 공항터미널 이용료 및 주차료 50% 감면
1995. 4 : 장애인 시외전화료 감면
1995. 7 : 청각장애인 운전면허 허용
1995. 8 : 장애인 수입물품 관세 감면 품목 확대(69종)
1995. 12 : 자동차 운전교습학원에 장애인 교습차량 보유 의무화
1995. 12 : KBS사랑의 소리 방송 개국
1996. 1 : 주간 및 단기보호시설 설치운영
자동차세 면제범위확대(1~3급 장애인 및 1~4급 시각장애인명의 2000cc이하 확대)
1996. 3 : 장애인 생산품 공판장 개장
1996. 4 : 장애인단체에 대한 기부금의 소득세, 법인세 손비처리 또는 필요경비 산정
1996. 4 : “장애인 먼저운동” 선포
1996. 5 : 중증장애인의 보호자 1인에 대해 지하철료 면제
1996. 6 : 무선호출기 기본사용료 20% 할인, 이동전화 신규가입비 면제
1996. 8 :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장애인보기대책위원회 설치
1996. 8 : 제 10회 아틀랜타 장애인올림픽 참가
1996. 9 : 제1회 루즈벨트 국제장애인상 수상
1997. 1 :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설치운영
보장구에 대한 의료보험(보호)급여 실시:적용대상품목(4종)의 상한액 범위내 구입 시 구입비용의 80% 지원, 시각 및 청각장애인가정의 TV 수신료 면제,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 감면 폼목 확대(70종), 재활병의원에서 사용하는 의료용구 관세 감 면, 상속세 인적 공제 확대, 승용자동차 특별소비세 면제범위 확대(1~3급 장애인 본인명의 또는 생계를 함께 하는 자와 공동명의로 등록한 1500cc 이하 승용차 1대)
1997. 3 : 1~3급 장애인(시각장애인은 1~4급) 본인, 부모, 배우자명의로 등록한 2000cc이하 승용자동차 및 이륜자동차 1대의 등록세, 취득세 면제
철도요금 할인대상을 무궁화호까지 확대
1997. 4 : 이동전화요금 기본료 30% 할인
시내외 전화요금 할인율 확대(장애등급과 상관없이 50%)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제정, 공포
제 1회 <올해의 장애 극복상>시상
1997. 5 : 장애인복지심의관실 설치, 그 아래 장애인제도과와 재활지원과 설치
1997. 6 : 시티폰 가입비 면제 및 사용료 20% 할인
1997. 8 : 장애인 또는 장애인과 생계를 같이 하는 보호자명의로 등록한 배기량 2000cc 이하 차량에 등록장애인이 승차시 고속도로 통행료 50%할인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 감면 품목 확대(84개)
1997. 9 : <서울국제장애인복지대회> 개최
1997. 10 : 등록장애인인 무주택 세대주대상 85m이하의 공동주택 공급시 일부 특별분양알선
무료 법률구조제도 실시
장애인용 차량 구입시 채권 구입 면제
1997. 11 : 철도요금 할인대상 확대(1~3급 장애인의 보호자 50% 할인)
1997. 12 : <장애복지발전 5개년 계획> 확정
1998. 1 : 자동차 구입시 등록세, 취득세, 자동차세 면제범위 확대(직계 존비속 명의도 포함)
의료보험(보호) 적용대상 보장구 범위 확대(휠체어, 목발, 흰지팡이 등 3종 추가
1998. 5 : 국공립공연장 관람료 50% 할인(본인 및 중증장애인의 보호자 1인)
1998. 8 :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범위 확대(1톤 이하 화물차, 12인승 이하 승합차 포함)
1998. 12 : 「장애인 인권헌장」제정선포
1999. 1 : 장애인 승용차 특별소비세 면제범위 확대(배기량 제한 철폐)
1999. 1 : 장애인복지법 개정(장애범주 확대 등)
1989. 7 : 전화요금 감면
1989. 8 : 장애인종합복지대책안 건의
1989. 12 : 심신장애자복지법 전문개정, 장애인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규정
1990. 1 : 저소득 중증, 중복장애인 생계보조수당 지금, 의료비 지원
1990. 1 : 장애인 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제정, 공포
1990. 5 : 장애인 승용자동차 LPG연료 사용 허용
1990. 9 : 국공립 박물관, 고궁, 능원의 장애인 무료입장
1991. 1 : 장애인 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시행
1991. 1 : 철도 및 지하철도요금 50% 할인
1991. 5 : ‘91 서울 국제 재활용품 전시회 개최
1991. 8 : 대한항공 국내선 항공료 50% 할인
1992. 1 : 저소득 장애인가구 자녀 교육비 지원 및 자립자금 대여
1992. 1 : 재가장애인 순회재활서비스센터 설치운영
1992. 9 : 제9회 바르셀로나 장애인올림픽대회 참가
1992. 12 : UN에서 매년 12월 3일을 세계 장애인의 날로 규정
1993. 1 : 장애인종합복지관 분관 설치운영
1993. 4 : 지하철 무임승차제 실시
1993. 8 : 장애인자동차 표시제 실시(주차요금 할인, 10부제 적용 제외, 계도위주 단속)
장애인 보철용 승용차 특소세 면세용도증명서 발급시 LPG 사용증명서 동시 발급제 실시, 국내선 항공료 50% 할인 확대(아시아나)
1993. 9 : 장애인승용차 LPG 사용범위 확대
1993. 11 : 영구임대주택 입주 신청시 가산점 부여 확대(10점)
1994. 1 : 1가구 2차량일 때 중과세 대상에서 장애인차량 제외
1994. 4 : 장애인승용차 LPG 사용범위 확대(세대를 같이 하는 보호자 명의 등록차량까지)
1994. 4 : 국립재활원 확대개원(병원부 설치)
1994. 4 : 재활과를 장애인복지과로 직제 개정
1994. 6 : 장애인보장구의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품목 확대(보조기, 지체장애이용 지팡이 및 목발 추가)
1994. 8 : 재활 및 물리치료보험수가 적용확대 및 연간 급여비용의 상한액상향조정(150만원)
1994. 9 : 지체장애인 1종 운전면허 허용
1994. 11 :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감면 품목 확대(54종, 맹도견 포함)
1994. 12 : 장애인 편의시설 및 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정
1995. 1 : 저소득 장애인가구 자녀 실업계 고교생학비 지원, 장애인 정원외 대학입학 허용
장애인 승용자동차 특별소비세 면제범위 확대(1~3급 장애인 명의 1500cc 이하)
장애인승용차 자동차세 면제범위 확대(18세 이상의 1~3급 지체 및 1~4급 시각장 애인 명의 2000cc 이하), 공항터미널 이용료 및 주차료 50% 감면
1995. 4 : 장애인 시외전화료 감면
1995. 7 : 청각장애인 운전면허 허용
1995. 8 : 장애인 수입물품 관세 감면 품목 확대(69종)
1995. 12 : 자동차 운전교습학원에 장애인 교습차량 보유 의무화
1995. 12 : KBS사랑의 소리 방송 개국
1996. 1 : 주간 및 단기보호시설 설치운영
자동차세 면제범위확대(1~3급 장애인 및 1~4급 시각장애인명의 2000cc이하 확대)
1996. 3 : 장애인 생산품 공판장 개장
1996. 4 : 장애인단체에 대한 기부금의 소득세, 법인세 손비처리 또는 필요경비 산정
1996. 4 : “장애인 먼저운동” 선포
1996. 5 : 중증장애인의 보호자 1인에 대해 지하철료 면제
1996. 6 : 무선호출기 기본사용료 20% 할인, 이동전화 신규가입비 면제
1996. 8 :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장애인보기대책위원회 설치
1996. 8 : 제 10회 아틀랜타 장애인올림픽 참가
1996. 9 : 제1회 루즈벨트 국제장애인상 수상
1997. 1 :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설치운영
보장구에 대한 의료보험(보호)급여 실시:적용대상품목(4종)의 상한액 범위내 구입 시 구입비용의 80% 지원, 시각 및 청각장애인가정의 TV 수신료 면제,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 감면 폼목 확대(70종), 재활병의원에서 사용하는 의료용구 관세 감 면, 상속세 인적 공제 확대, 승용자동차 특별소비세 면제범위 확대(1~3급 장애인 본인명의 또는 생계를 함께 하는 자와 공동명의로 등록한 1500cc 이하 승용차 1대)
1997. 3 : 1~3급 장애인(시각장애인은 1~4급) 본인, 부모, 배우자명의로 등록한 2000cc이하 승용자동차 및 이륜자동차 1대의 등록세, 취득세 면제
철도요금 할인대상을 무궁화호까지 확대
1997. 4 : 이동전화요금 기본료 30% 할인
시내외 전화요금 할인율 확대(장애등급과 상관없이 50%)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제정, 공포
제 1회 <올해의 장애 극복상>시상
1997. 5 : 장애인복지심의관실 설치, 그 아래 장애인제도과와 재활지원과 설치
1997. 6 : 시티폰 가입비 면제 및 사용료 20% 할인
1997. 8 : 장애인 또는 장애인과 생계를 같이 하는 보호자명의로 등록한 배기량 2000cc 이하 차량에 등록장애인이 승차시 고속도로 통행료 50%할인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 감면 품목 확대(84개)
1997. 9 : <서울국제장애인복지대회> 개최
1997. 10 : 등록장애인인 무주택 세대주대상 85m이하의 공동주택 공급시 일부 특별분양알선
무료 법률구조제도 실시
장애인용 차량 구입시 채권 구입 면제
1997. 11 : 철도요금 할인대상 확대(1~3급 장애인의 보호자 50% 할인)
1997. 12 : <장애복지발전 5개년 계획> 확정
1998. 1 : 자동차 구입시 등록세, 취득세, 자동차세 면제범위 확대(직계 존비속 명의도 포함)
의료보험(보호) 적용대상 보장구 범위 확대(휠체어, 목발, 흰지팡이 등 3종 추가
1998. 5 : 국공립공연장 관람료 50% 할인(본인 및 중증장애인의 보호자 1인)
1998. 8 :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범위 확대(1톤 이하 화물차, 12인승 이하 승합차 포함)
1998. 12 : 「장애인 인권헌장」제정선포
1999. 1 : 장애인 승용차 특별소비세 면제범위 확대(배기량 제한 철폐)
1999. 1 : 장애인복지법 개정(장애범주 확대 등)
추천자료
장애인 복지 법
(사회복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주요내용정리 및 정책 제안 보고서
장애인 복지법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의 주된 내용과 사회복지법적인의의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의 주된 내용과 사회복지법적인 의의
장애인의 인권 문제를 사회복지법적 차원에서 조사하여 재출하시오
사회복지법의 목적으로서 사회적 통합, 장애인에 대한 성폭력범죄의 법리적 문제와 입법론적 ...
사회복지법제론 - 국제법과 사회복지(국제인권규약, 사회보장에 관한 다양한 국제 조약 및 선...
가족복지 관련법 중 건강가정 기본법은 건강가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 일...
[사회복지와 인권] 정신장애인에 관한 차별 (이슈, 국내법, 국제법, 해외사례, 문제점, 해결...
[장애인 복지론] 장애인 독립 위해 법제도를 실생활에 맞게 변경 적용.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차별금지법의 현황과 문제점 및 대안
[장애인 차별, 차별의 개념, 해결방안] 장애인, 장애인 차별금지법, 장애인의 복지욕구, 선호...
[사회복지법제연구]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에 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