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호파>를 보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호파>를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영화「호파(Hoffa)」


Ⅱ. James R. Hoffa & R. Kennedy


Ⅲ. 팀스터 노동조합


Ⅳ. 「호파」와 미국 노동운동

본문내용

노동계급의 침묵하는 다수가 불참한 가운데 행해졌다. 한 때 미국에서는 노동당과 노동절을 창시하였지만 현재 미국에는 프롤레타리아트의 독자적인 정당이 없다는 사실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 다른 이유로 미국이라는 나라의 독특하고 특수한 역사를 들 수 있다. 유럽은 봉건제도와 산업혁명을 경험하면서 계급적 투쟁의식이 성장한 반면 미국은 종교적 자유를 찾아 온 청교도들이 성실한 자본주의적 사고아래 이뤄낸 국가이기 때문에 자본주의에 대한 반감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이다. 또한 단일민족이 아니라 다민족으로 구성되어 노동자라는 이름으로 단결하기에 앞서 민족과 피부색으로 단합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렇기에 미국 노동자들은 매우 역설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노동자로서 권익을 주장함에 불구하고 자본가 계급의 세력 확대의 첨명 역할도 동시에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적인 것은 미국 대공항의 경험이었다. 생산체계의 파국적인 붕괴라든가 공황으로 야기된 경제적인 계급전쟁 등에도 불구하고 미국 자본주의의 정치적 요새들은 굳건하기만 했다. 오히려 정치체제로서의 헤게모니는 이 기간 동안에 보강되고 확대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플린트에서 주방위군의 총부리에 맞서 싸우고 봉기에 가까운 미니애폴리스 총파업 때 경찰을 거리에서 쫓아낸 바로 그 노동자들이 선거에서는 로즈벨트를 지지하는 주춧돌 역할을 한 것이다. 산별노조투쟁에 참가한 수백만의 젊은 노동자들이 한편으로는 미국 자본주주의의 구원이라는 깃발을 들고 나온 한 준귀족적인 정치가들의 돌격부대로 동원되었다. 이른바 노동자 정당이나 농민 노동자 정당 들이 중서부와 북동부의 공업지역에서 출연하였지만 이들도 뉴딜의 선발부대나 위성에 가까웠다. 경제적 계급투쟁의 모습이 나타나고 신좌파라고 불리는 사회주의자들의 활동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어떤 유럽국가 보다도 강력한 자본의 통치아래 있던 미국 사회 내에서는 유럽과는 다른 형태의 노동조합의 모습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순수하고 열정적으로 노동자들에게 노동운동의 필요성을 역설했던 호파는 캐딜락 뒤에 누어 부패한 갱스터 보스를 기다리며 자신의 심복에게 욕이나 하는 타락한 노동운동 지도자로 변했다. 노동자들의 열화와 같은 지지를 받으며 영웅이 되었던 호파는 마피아의 청년 킬러의 총에 어이없이 죽게 된다. 이는 감독이 호파를 통해 갈수록 쇠퇴해져가고 자본화이익집단화 되어 가는 미국 노동운동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02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