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동조합 및 쟁의행위에 관한 인식
2. 법 소개
3. 최근 개정된 법안과 논쟁
4. 사례
5. 정리 및 방향제시
2. 법 소개
3. 최근 개정된 법안과 논쟁
4. 사례
5. 정리 및 방향제시
본문내용
1. 총칙
1) 제1조
헌법에 의한 근로자의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보장
2) 제2조
노동조합은 근로자 주체의 자주적 단결로 근로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하는 단체
단, 다음의 경우 노동조합으로 보지 않는다.
- 사용자의 이익 대표자 참가를 허용하는 경우
- 대부분의 경비를 사용자로부터 원조 받는 경우
- 복리사업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 근로자가 아닌 자의 가입을 허용하는 경우
- 정치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3) 제3조
이 법에 의한 단체교섭 또는 쟁의행위로 인하여 입은 손해를
노동조합이나 근로자에게 배상을 청구 할 수 없다.
2. 노동조합
1) 제5조
근로자는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조직, 가입
하지만, 공무원과 교원에 대하여는 따로 법률로 정한다.
- 공무원은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에 의함.
- 사립학교 교원의 경우, 사립학교법에 의해 단결활동이 금지됨.
1) 제1조
헌법에 의한 근로자의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보장
2) 제2조
노동조합은 근로자 주체의 자주적 단결로 근로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하는 단체
단, 다음의 경우 노동조합으로 보지 않는다.
- 사용자의 이익 대표자 참가를 허용하는 경우
- 대부분의 경비를 사용자로부터 원조 받는 경우
- 복리사업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 근로자가 아닌 자의 가입을 허용하는 경우
- 정치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3) 제3조
이 법에 의한 단체교섭 또는 쟁의행위로 인하여 입은 손해를
노동조합이나 근로자에게 배상을 청구 할 수 없다.
2. 노동조합
1) 제5조
근로자는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조직, 가입
하지만, 공무원과 교원에 대하여는 따로 법률로 정한다.
- 공무원은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에 의함.
- 사립학교 교원의 경우, 사립학교법에 의해 단결활동이 금지됨.
추천자료
부당노동행위
롯데호텔 단체교섭 및 단체협약
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작업장 폐쇄)의 문제 [A+대박자료]
노사관계 개선전략(A+레포트)★★★★★
[민주주의] 산업민주주의
07개정법에 따른 조정쟁의의 대상사항
[부당노동행위][부당노동행위에 대한 법규정][부당노동행위 구제]부당노동행위의 유형, 부당...
타임오프제 사용과 부당노동행위 및 쟁의행위 정당성
사회적기본권 에대한 모든것
[노동법, 노동법 전개, 노동법 역사, 노동법 성립, 노동법 본질, 노동법 주체, 노동법 체계]...
[노동관계전문가][공인노무사][노무사][노동]노동관계전문가(공인노무사)의 특성, 노동관계전...
부당노동행위
<쟁의 행위 및 조정제도> 쟁의행위의 의의와 원칙, 쟁의행위의 요건, 쟁의행위의 수단, 조정...
제주대 이러닝 강영순교수님 노사관계론 족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