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눈의 구조와 기능
2. 눈과 시각의 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진단검사
4. 눈의 장애
1) 선천성 장애
2) 여러 요인에 의한 장애
3) 퇴행성 장애
4) 면역성 장애
5) 감염성 장애
6) 신생물 장애
5. 치료
1) 약물
2) 외과적 관리
6. 안수술 환자의 간호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Ⅲ.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눈의 구조와 기능
2. 눈과 시각의 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진단검사
4. 눈의 장애
1) 선천성 장애
2) 여러 요인에 의한 장애
3) 퇴행성 장애
4) 면역성 장애
5) 감염성 장애
6) 신생물 장애
5. 치료
1) 약물
2) 외과적 관리
6. 안수술 환자의 간호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Ⅲ.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함께 계획한다.
-환자가 가정에서 자가 간호를 수행 할 수 있도록 가구배치 및 물건들의 위치변화를 상의하며 환자가 직장과 가사일을 지속하는데 필요한 변화들도 논한다.
⑮ 환자와 가족에게 맹견과 맹인학교와 같은 시력손상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활용 가능한 자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환자에게 신체적 안녕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의 능력에 맞는 정기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실천하도록 격려한다.
환자에게 수술 후에 가능한 활동에 대해 교육한다.
-눈에 편안함을 느끼는 한 계단을 오르고, TV를 보고, 책을 읽는 것과 같은 일상활동의 수행은 가능하다.
-6주 동안 심한 육체활동을 피한다.
-눈이 회복될 때까지 침상목욕을 하도록 하고 잘 때나 누워있을 때는 금속이나 플라스 틱으로 만든 눈가리개로 눈을 보호하도록 한다.
-머리감을 때 안대나 눈가리개로 눈을 보호하며 머리를 앞으로 숙이지 말고 뒤로 기울 여 감는다.
-산동제를 투여하는 환자는 강한 햇빛을 피하고 검은 안경을 사용하도록 한다.
-양눈을 가리고 퇴원하는 환자는 의자에 앉을 때는 양손으로 붙잡도록 하고 미끄러지 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부축하도록 한다.
-더러운 수건으로 눈을 비비거나 닦지 않도록 하며 눈에 이상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의 료기관을 방문하도록 한다.
-눈물, 눈의 분비물이 나올 때 소독된 솜뭉치와 물로 천천히 씻어내도록 설명한다.
[눈의 안전수칙]
① 눈 가까이에서 분무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② 라켓볼 같은 격렬한 스포츠를 하는 동안 보호용 안경을 쓴다.
③ 오븐, 주전자, 압력솥, 전자렌지용 팝콘 주머니로부터 증기를 천천히 방출한다.
④ 위험한 작업을 할 때나 위험한 작업장에 있을 때에는 반드시 보호용 안경을 쓴다.
⑤ 모든 기계들은 안전 규정을 지켜 작동시킨다.
⑥ 위험한 물건들과 화학물질은 아이들에게서 멀리 둔다.
⑦ 날카로운 물체를 안전하게 보관한다.
Ⅲ.결론
지금까지 안수술환자의 간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안구는 매우 예민하기 때문에 수술 후에 대상자에게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수술 후 정기적인 검진과 추후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만약 시력을 상실하게 될 경우에는 지지적인 간호와 더불어 최상의 건강행위와 일상행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상실에 대한 우울과 분노 등의 감정을 표현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절친한 친구의 아버지께서도 외상으로 인해 전혀 앞을 보실 수 없으시지만 점자를 통해 책도 읽으시며, 주변 환경에 적응하셔서 집안이나 근처 집밖에서 일상생활을 하시고 작은 소일거리를 하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건강하지 못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포기하기 보다는 장애를 가진 상황에서 최상의 건강을 실천 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간호사가 자조그룹이나 맹인학교와 같은 지지체계를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외과적 처치가 필요하기 전에 질병을 조기발견 하여 치료 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시력검사나 안저검사 등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고위험 집단의 경우 계속적인 관리를 통해 질병의 급속한 진행을 예방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최신 임상간호 메뉴얼/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 편찬/ 현문사
성인간호학 3/ 김조자 외/ 현문사
건강사정/ 노명희 외/ 정담미디어
성인간호학 Ⅴ-근골격계,신경,감각계 / 고금자 외/ 정담
임상간호 메뉴얼 / 한윤복 외 /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 / 전시자 외 / 현문사
최신 수술실환자간호 / 김문실 외/ 수문사
안과학 / 이상옥 외 / 수문사
-환자가 가정에서 자가 간호를 수행 할 수 있도록 가구배치 및 물건들의 위치변화를 상의하며 환자가 직장과 가사일을 지속하는데 필요한 변화들도 논한다.
⑮ 환자와 가족에게 맹견과 맹인학교와 같은 시력손상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활용 가능한 자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환자에게 신체적 안녕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의 능력에 맞는 정기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실천하도록 격려한다.
환자에게 수술 후에 가능한 활동에 대해 교육한다.
-눈에 편안함을 느끼는 한 계단을 오르고, TV를 보고, 책을 읽는 것과 같은 일상활동의 수행은 가능하다.
-6주 동안 심한 육체활동을 피한다.
-눈이 회복될 때까지 침상목욕을 하도록 하고 잘 때나 누워있을 때는 금속이나 플라스 틱으로 만든 눈가리개로 눈을 보호하도록 한다.
-머리감을 때 안대나 눈가리개로 눈을 보호하며 머리를 앞으로 숙이지 말고 뒤로 기울 여 감는다.
-산동제를 투여하는 환자는 강한 햇빛을 피하고 검은 안경을 사용하도록 한다.
-양눈을 가리고 퇴원하는 환자는 의자에 앉을 때는 양손으로 붙잡도록 하고 미끄러지 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부축하도록 한다.
-더러운 수건으로 눈을 비비거나 닦지 않도록 하며 눈에 이상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의 료기관을 방문하도록 한다.
-눈물, 눈의 분비물이 나올 때 소독된 솜뭉치와 물로 천천히 씻어내도록 설명한다.
[눈의 안전수칙]
① 눈 가까이에서 분무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② 라켓볼 같은 격렬한 스포츠를 하는 동안 보호용 안경을 쓴다.
③ 오븐, 주전자, 압력솥, 전자렌지용 팝콘 주머니로부터 증기를 천천히 방출한다.
④ 위험한 작업을 할 때나 위험한 작업장에 있을 때에는 반드시 보호용 안경을 쓴다.
⑤ 모든 기계들은 안전 규정을 지켜 작동시킨다.
⑥ 위험한 물건들과 화학물질은 아이들에게서 멀리 둔다.
⑦ 날카로운 물체를 안전하게 보관한다.
Ⅲ.결론
지금까지 안수술환자의 간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안구는 매우 예민하기 때문에 수술 후에 대상자에게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수술 후 정기적인 검진과 추후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만약 시력을 상실하게 될 경우에는 지지적인 간호와 더불어 최상의 건강행위와 일상행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상실에 대한 우울과 분노 등의 감정을 표현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절친한 친구의 아버지께서도 외상으로 인해 전혀 앞을 보실 수 없으시지만 점자를 통해 책도 읽으시며, 주변 환경에 적응하셔서 집안이나 근처 집밖에서 일상생활을 하시고 작은 소일거리를 하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건강하지 못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포기하기 보다는 장애를 가진 상황에서 최상의 건강을 실천 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간호사가 자조그룹이나 맹인학교와 같은 지지체계를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외과적 처치가 필요하기 전에 질병을 조기발견 하여 치료 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시력검사나 안저검사 등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고위험 집단의 경우 계속적인 관리를 통해 질병의 급속한 진행을 예방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최신 임상간호 메뉴얼/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 편찬/ 현문사
성인간호학 3/ 김조자 외/ 현문사
건강사정/ 노명희 외/ 정담미디어
성인간호학 Ⅴ-근골격계,신경,감각계 / 고금자 외/ 정담
임상간호 메뉴얼 / 한윤복 외 /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 / 전시자 외 / 현문사
최신 수술실환자간호 / 김문실 외/ 수문사
안과학 / 이상옥 외 /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