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학교 제2외국어 교육 현황
2. 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 현황
3. 제2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4. 제2외국어 교육의 개선방안
2. 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 현황
3. 제2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4. 제2외국어 교육의 개선방안
본문내용
위해 유럽어권(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과 아시아권(일어, 중국어 러시아어, 아랍어) 언어로 구분하는 안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유럽어권에서 1개, 아시아어권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배우도록 한다면 편중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어 지식도 국제화촹다변화에 걸맞은 교육이 될 것입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외국어 교육은 중촹고등학교에서 철저하게 외면당하고 있으며 고사 상태에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우리는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이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이웃과 공존할 수 없으며 세계화촹정보화 시대에 뒤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21세기의 세계화촹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중촹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의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하고 제2외국어 교육을 균형있게 활성화시키는 개선방안들을 찾아내어 실천에 옮겨야 할 것입니다. 또한, 앞으로 제8차 교육과정은 영어 교육과 다른 외국어 교육의 불균형 상태를 지양하고 'English only'의 외국어 교육정책을 국제화와 지역분권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외국어 교육으로 전환하여야 할 것입니다.
추천자료
조기 영어교육의 미래
빈도를 나타내는 시간부사의 어휘교육 방안
중국어 교육의 중요성과 문제점, 현재우리의 현황,지도제언등 정리
특목고 교육의 현황과 대안
[한국어교육]한국어 국제화의 필요성 및 방안
한국어 말하기 교육
외국어습득이론(크라센)의 적용, 외국어습득이론(크라센)의 자연순서가설, 외국어습득이론(크...
[외국어][외래어][외국어의 차용][외국어의 상표이미지][외국어의 외래어화][외국어의 사용 ...
[논문]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초등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조기 영어 교육론의 문제
아랍어 교육에의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적용
한국어 문법 교육론 - PPP 수업 모형을 활용하여 연결어미 교안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