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초등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및 절차
3. 선행 연구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3. 연구 절차
4. 연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5. 자료 분석

Ⅲ. 결과 분석 및 논의
1. 영어에 대한 인식
2. 영어 교육에 대한 인식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학생들에게 질적연구의 한 방법인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영어에 대한 인식과 영어 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그들의 생각을 들었다.
먼저 정보자 A는 성취도가 가장 높은 학생이다. 하지만 A는 영어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보단 부정적인 인식이 높았다. 영어를 왜 자신이 공부하는지 모르고, 어른이 잘해야 된다고 해서 수동적으로 공부하고 있다고 했고, 영어 교과를 미래를 위한 대비책으로 따지며 공부를 해서 통과해야하는 시험으로 보고 있었다. 자신의 의사소통 기능과는 관계없이 영어를 잘하기 위한 영어 시험의 전략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고 공부했다는 말이다. 또한 영어 공교육은 지루하고, 재미 없다고 응답하며 사교육을 더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이 사교육을 통해 자신은 영어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얻었다고 응답하며, 그 이유는 자세히 가르쳐 성적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보자 A는 영어를 성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이를 위해서 공부할 뿐이지 자신이 영어에 대해 흥미가 있어서 공부하고 있는 건 아니라고 대답했다. 또한 영어는 미래의 취직, 원하는 직장, 또는 대학에 가기 위해 공부할 뿐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고 대답하였다. 이런 인식은 초등학교 때부터 겪어 왔으며, 중학교의 시험 중심, 문법 중심의 교육에서 더 굳혀졌다고 말했다. 이 아이가 성취도가 높은 이유는 흥미도, 학구적 열정보다는 자신의 미래를 위한 필요성, 사교육의 도움이 크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정보자 B는 성취도가 중인 학생이다. B는 자신이 생각하기에 영어는 성적이고, 영어와 영어교과는 엄연히 구분된 것이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영어를 오로지 성적만을 위해서 공부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며, 자신은 영어에 대해 어느정도 흥미를 가지고 있다고 대답했다. 이를 위해 비형식적인 사교육(태권도장에서의 의사소통 연습)을 하고 있으며, 사교육(과외)에서도 문법을 배우기도 하지만 의사소통에 대한 것도 배우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이는 B가 말한 효과적인 수업 방법과 연관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반면에 공교육에 대해서는 초등학교나 중학교 모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비긍정적 경험은 공교육의 시험에서 겪었으며, 선생님의 수업 스타일 등 역시 전혀 마음에 들지 않았다고 대답했다. 정보자 B 역시 A와 같이 공교육보단 사교육의 수업 스타일이나 분위기 등이 더 좋다고 대답하였다.
정보자 C는 성취도가 가장 낮은 학생이다. C는 영어를 아예 싫어하고 있었다. 자신이 공부를 하는 이유는(전혀 지금 하고 있진 않지만) 부모님이 떠밀거나 모르면 쪽팔리기 때문에 하는 것이고, 초등학교든 중학교든 영어는 정말 짜증나고 싫은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C는 A, B와는 달리 긍정적인 경험을 찾을 수 없었다. 반면에 부정적인 경험은 굉장히 많았다. 또한 영어 교과의 수업 방식이나 선생님을 싫어하는 이유는 A와 B처럼 구체적이지 않았고, 단지 ‘그냥, 짜증나요’라고 대답하였다. C는 영어와 영어교과를 구분하지 않았다. 둘다 똑같은 영어고, 다른 점이 없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이 대답 역시 구체적인 이유는 설명하지 못했다. ‘그냥 영어잖아요’라는 말만 되풀이 할 뿐이었다. 또한 이 아이는 유치원부터 영어를 배워 조기교육을 받은 상태였다. 하지만 오히려 이 경험이 C에게 부정적인 경험으로 남은 거 같았다. 초등학교 때는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영어가 매우 싫었었고, 중학교 때는 가장 싫은 과목이 영어라고 대답했다. 이는 그 조기 교육에서 겪은 어떤 부정적인 경험이 이 아이의 영어에 대한 정의적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하게 만든 계기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3명의 정보자들의 인지구조를 분석한 결과 학습에 대한 인식은 그 핵심에 ‘공교육의 시험결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구분하는 의미가 없었다. 3명의 초등학교 선생님의 수업 스타일은 쓰기 위주의 수업이었고, 이는 초등영어교육의 목표와는 전혀 맞지 않았다. 이 쓰기 위주의 수업이 현재 중학교의 문법 위주의 수업과 거의 다를 바가 없다고 대답해주었다. A와 B는 공교육이 아닌 사교육을 통해 평가 점수가 상당히 올랐고, 이를 긍정적인 경험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즉, 3명의 정보자들에게 중요한 건 공교육 성적을 올리는 데 무엇이 기여 하였는가 이다. 이에 3명 모두 사교육의 영향이 제일 컸다고 말했다. 이 성적을 기준으로 영어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이 바뀌었고, 흥미도와 학구적 열정, 기대감, 필요성 등이 정의 되었다.
이길영(2002)의 ‘초등영어교육을 경험한 학습자의 중학교 영어학습태도’연구에서도 공교육이 학생들의 정의적 동기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고 말한다. 이에 이길영의 연구는 학생들의 필요에 맞는 교수방법과 학습 전략 보강 등에 더 많은 탐구를 요구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보면 학교의 교수방법과 전략, 수업 스타일 보다 학교 성적에 목메는 학생들의 인식 또는 교육 현실이 바뀌는 것이 필요하다.
Ⅴ. 참고 문헌
교육인적자원부(2006)「초등 영어교육 10년의 성과 분석을 통한 초·중등 영어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
김진철, 박기화(1999) ‘초등영어교육 실시 효과에 관한 연구’ 「초등영어교육」제 5호
백민혜(2006) 「초등학교 영어교육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소현수(1997) 「조기영어교육과 중학교 영어학습관의 연계성 연구」, 서 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은영(2000) 「초등영어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 조사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오순임(2001) 「초등학교 학생이 바라본 영어교육 실태 분석, 공주교육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오영희(1999) 「한국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동엽(1991) 「중학교 영어 학습에 나타난 조기 영어교육의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길영(2002) ‘초등영어교육을 경험한 학습자의 중학교 영어학습태도’,「영어교육」, 57권 2호.
이완기외(1999) ‘초등영어교육 현장연구’,「초등영어교육」, 제 5호
  • 가격12,6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2.09.21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8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