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응답한 학생이 87%가 넘었다. 그리고 이동수업으로 수업내용이 달라지지 않았고, 무엇보다 학습분위기가 더 나아지지도 않고 오히려 더 나빠졌다고 응답한 학생이 93%에 이르고, 학습의욕도 오히려 더 떨어졌다고 응답한 학생이 82% 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7차 교육과정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 추진하고 있다.
수준별 교육은 사회계층간의 학업성취 불평등이 심각한 우리 나라의 교육 현실 속에서 오히려 계층간의 학업성취 불평등을 심화시켜주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이 같은 수준별 교육과정은 能力差를 더욱 심화시키는 불평등한 교육과정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없다.
더욱이 7차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은 수준별로 하면서 평가와 내신 등급은 수준별로 하지 않는다는 데 더 큰 문제가 있다. 수준별 교육은 결국 우열반 편성을 하게 되어 위화감을 조성하고 열반학생들에게 열등감을 가져다주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또한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과목별로 여러 명의 교사가 필요하고, 지금보다 더 많은 교실이 필요한데 교사 충원이 없고 교실이 준비되지 않은 현실에서 수준별 반 편성에 의한(최소한 심화, 기본, 보충반) 교수-학습 지도가 되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으며, 도시 학교의 학급당 학생수가 30명 이상 되는 현실에서는 수준별 교육과정은 거의 불가능하며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수준별 교육과정은 아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끝.
※참고문헌
김천기(2001)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김천기 저) 학지사
제7차 교육과정 시행 대비 교원 워크숍 자료(2000) 전북교육청
수준별 교육은 사회계층간의 학업성취 불평등이 심각한 우리 나라의 교육 현실 속에서 오히려 계층간의 학업성취 불평등을 심화시켜주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이 같은 수준별 교육과정은 能力差를 더욱 심화시키는 불평등한 교육과정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없다.
더욱이 7차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은 수준별로 하면서 평가와 내신 등급은 수준별로 하지 않는다는 데 더 큰 문제가 있다. 수준별 교육은 결국 우열반 편성을 하게 되어 위화감을 조성하고 열반학생들에게 열등감을 가져다주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또한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과목별로 여러 명의 교사가 필요하고, 지금보다 더 많은 교실이 필요한데 교사 충원이 없고 교실이 준비되지 않은 현실에서 수준별 반 편성에 의한(최소한 심화, 기본, 보충반) 교수-학습 지도가 되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으며, 도시 학교의 학급당 학생수가 30명 이상 되는 현실에서는 수준별 교육과정은 거의 불가능하며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수준별 교육과정은 아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끝.
※참고문헌
김천기(2001)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김천기 저) 학지사
제7차 교육과정 시행 대비 교원 워크숍 자료(2000) 전북교육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