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세의 시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한국사의 고대・중세 구분
1. 한국 중세시대 구분
2. 고대 사회의 특징
3. 중세 사회의 성립
4. 중세 사회로의 변화

○토지제도의 변화로 본 중세의 시작과 봉건사회론
1. 나말여초의 녹읍
2. 중세 봉건사회론

본문내용

배계급의 정치적 조직으로서 하나의 통치형태를 뜻하는 말
1) 봉건제도
(1) 정치적 측면
① 주종제도(主從制度)와 봉토의 분급
(여기서 주종제도와 봉보유자간의 특정한 결합관계가 주목되며, 이러한 주종관계는 국왕 또는 보다 세력이 큰 전사 집단인 영주와 전사계급인 기사 사이에만 존재한다.)
② 봉(封)을 매개로 쌍무적 계약관계 성립 주인은 托身(탁신)한 家臣(騎士)에게 보호와 부양의 의무를, 가신은 상전에게 공경과 봉사의 의무를 지게 된다.
③ 분급된 토지봉토는 단순한 토지의 지급이 아닌 불입권 봉토내의 농노를 부역에 동원시킬 수 있고 벌금과 지방세를 징수할 수 있으며, 영지내의 민에 대한 재판권도 이양 받았다.
④ 매매와 증여의 대상은 될 수 없었으나 장자상속 인정
☞ 봉건제도는 통치 구조상 지방분권적이라는 특징
(2) 경제적 측면
① 장원제도 장원을 군사적, 경제적 기본 단위로 하는 사회체제. 즉, 영주의 장원을 중심으로 농노가 영주의 직영지와 자신의 땅을 번갈아 경작하고, 영주는 대신에 영주민을 군사적으로 보호하는 체제
에 의한 농업 경영.
② 토지의 소유주는 국가(국왕)이나 사실상 영주가 토지의 지배자
2) 한국사에 비쳐 본 봉건사회
(1) 정치적 측면에서 비교
① 주종관계: 국왕과 신하사이 충성의 맹세과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신하는 임금에게 충 성 해야 한다는 도덕적 이념(犬馬之勞)은 있었으나 계약의 관계는 아니었다. 주군은 신하를 언제든지 삭탈관직 또는 사사할 수 있어서 한국 중세의 군신관계는 주군우위의 일방적 명령체계를 그 특징으로 한다.
}
② 봉토(封土)의 경우: 서양은 봉토가 주종관계의 매개물이나 우리나라는 관직수여가 매 개물이고 토지지급은 직역에 대한 보수로 일종의 생활보장책
③ 토지의 상속: 봉건제의 장자상속에 비해 한국은 균분상속(均分相續) ☞개인의 부를 분산함으로써 중앙집권적인 통치체제를 추구
(2) 경제적 측면에서 비교
① 우리나라의 토지제도는 소유권적 사전으로 民田에 기초한 토지사유제의 원칙에 입각
이는 원칙적으로 토지국유제에 입각한 유럽의 봉건제와는 다르다.
② 농민의 경우 우리나라는 자유인으로 예속신분은 아니었으나 유럽의 농노는 부자유민으 로 영주에 예속 되었다. -굳이 농노의 성격을 찾는다면 외거노비가 이에 해당하나 당 시 농민 계층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양인층이었으므로 한국의 중세사회에 있어 농민에게 농노적 성격을 찾는다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다.
3) 맺음말
● 중세시대의 시작에 대표적인 토지제도인 녹읍이 서구의 봉건제적 요소와 비슷하다 하여 도 이는 근본적으로 같지 않으며, 일부 봉건제적 요소는 오랜 기간 유지된 서유럽의 봉 건제와 달리 존재의 시기가 짧았다.
● 중세사회에 있어서 서유럽과 일본에 봉건제도가 있었다면 우리나라는 나름대로의 특 수성을 유지하며 사회발전단계를 이룬 것으로 보아야 한다.
● 한국사의 시대구분에 있어서 중세의 시작은 봉건제의 시작이란 생각으로 서구의 봉건제 를 우리 역사 속에 맞추지 말고 우리나라 나름대로의 중세사회가 있었다고 보는 것이 옳 은 생각일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2.03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