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온 왈라스(Leon Walra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생애

2. 사상

3. 한계효용학파의 성립

4. 일반균형이론

5. 모색과정

6. 왈라스, 제본스, 맹거의 공통점 및 차이점

7. 평가

본문내용

막으로 남은 문제는 수학적 근에 상응하는 균형치를 경쟁이 지배하는 현실적인 시장에서 구하는 방안이었다. "이미 알고 있는 과학적인 근을 많은 재화가 교환되는 시장에서 경쟁메커니즘으로 실제로 어떻게 해결되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왈라스는 자신의 합리적 방법에 입각해 우선 상품의 완전한 시장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이를 토대로 수학적 근이 경쟁이 지배하는 완전한 시장에서 수요, 공급의 원칙에 의해서만 균형가격에 도달하는 모색과정를 고안하였다.
⑤ 왈라스 이론의 수동성
왈라스의 모색과정에서 제시되고 있는 경제변수의 방향은 이미 수학적 근에 의해 주어졌다. 모색의 실질과정은 이미 순수이론에 의해 정해진 이상적인 균형을 향하여 진행되어지기 때문에 왈라스 체계에서는 세상의 실질적 과정은 미리 설정되어져 있다. 따라서 실질시간에서 진행되는 역사는 역학법칙에 의해 제시된 합리주의적인 유토피아를 향하여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왈라스 이론체계에서의 역사는 경제주체들의 산물이 아니고 이상적이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왈라스 이론에서 경제주체의 역할은 역사속에서 수동성일 수밖에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6. 왈라스, 제본스, 맹거의 공통점 및 차이점
- 공통점
고전파 경제학의 가치이론을 부정하고 한계효용 개념을 토대로 하는 새로운 하나의 틀로 구성된 가격이론을 만들었다.
객관성을 강조한 고전파의 가치이론과는 상이한 주관적인 가치이론을 도입함으로써 한계 혁명을 주도 하였다.
- 차이점
수학적 방법의 차이 : 왈라스, 제본슨는 수학적 방법의 도입에 적극적이었던 반면, 맹거는 경제학에 수학을 도입하는 행위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었다.
7. 평가
- 왈라스는 '보이지 않는 손'을 '보이는 손'으로 모형화한 최초의 경제학자.
- 현대경제학이론의 기초(다수의 재화들로 구성된 경제의 동시적 균형을 수학적으로 정식화 하고, 그 상호의존관계를 밝혀 순수한 완전경쟁시장에서의 일반균형의 가능성을 밝혔다)
- 순수경제학의 확립(경제학 이론체계에 있어서 진정한 과학적 가치를 주장. 수학을 본격적 으로 도입. 인과관계가 아닌 객관적으로 성립하는 경제제량간의 상호의존관계에 입각한 함수관계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참고문헌
『신경제학사』 박유영, 오성동, 박광서 저 문영사
『10대 경제학자』 J.A.슘페터 저 한길사
『마르크스와 오스트리아학파의 경제사상』 홍훈 저 아카넷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04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