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의 기업경영분석과 글로벌 시장진출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풍산의 기업경영분석과 글로벌 시장진출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기업소개

2. 외부 환경

3. 내부 환경

4. 풍산의 경쟁력

5. 전망 및 제안

본문내용

과 크기 등이 제각각이었다. 이런 주화의 혼용은 계산할 시에 필리핀 국민에게 큰 부담감이 되었으며, 이런 필리핀의 현황을 큰 시장기회로 본 풍산이 필리핀 중앙은행에 화폐 통일을 제안하게 된다. 필리핀 중앙은행에 사업 계획서를 제출한 이후, 풍산이 필리핀에 소전을 납품함에 따라 필리핀 주화 시장을 통일하는데 큰 도움을 주게 되었다.
ㄴ. 1998년 스페인
스페인에서 최초의 유로화 납품 계약을 얻어낸 풍산은 곧 초도 생산분을 스페인 조폐국으로 납품하였으나, 생산 물량 일부가 운송재 외벽과 닿아 부식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이는 스페인 조폐국의 유로화 생산 계획에 큰 차질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으나, 풍산은 자사의 손실을 각오하면서 여분의 유로화를 생산, 부식된 소전과 전량 교환함으로써 스페인 조폐국의 생산 계획 차질을 막아낼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풍산은 스페인 조폐국에 좋은 인상을 남겨주게 되고 타 유로화 사용 국가에 납품을 하게 될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풍산 사내자료 외)
이런 우수한 품질과 납기에 관한 꾸준한 신뢰 구축으로 인해 풍산은 2004년 기준으로 세계 소전시장의 42%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풍산의 뒤를 따르는 2,3위 기업 점유율을 합치는 것보다 우위에 있다.
5. 전망 및 제안
1) 향후 국내 동산업 동향 및 전망
동은 전력, 기기금속제품, 자동차, 산업기계선박, 건설 등 산업전반의 기초소재로 사용되고 있고 전기, 전자통신 분야 등 차세대산업의 핵심부품으로의 활용이 예상되어 국내수요뿐만 아니라 수출의 계속적인 증대가 예상되고 있다. 동판대의 경우 이동통신의 증가가 예상되나 반도체산업과 정보 기술 분야의 수요증가가 예상되고 소전은 유로화 등 수주물량 증가로 가동 상태 지속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동제품의 계속적인 수요창출과 부가가치화 및 전기전자분야의 고기능화를 위해서는 전기부품과 컴퓨터 및 정보통신 부품의 개발 등 21세기 첨단기술 NT, IT 신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활용 영역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리드프레임 용 특수 동합금제조, 동합금기 복합재료제조, 동극박판제조, 층상 복합재 Wire제조, 난가공 소재의 신주조등의 기술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20세기의 전 세계 동 소비는 매년 3.3% 증가하였고 21세기에도 이와 비슷한 수준의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2005년도 세계 동 수요는 약 1564~1614만 톤, 2010년에는 1763~1834만 톤, 매년 2.6~3.0%, 2.4~2.6%의 증가율이 예상되고 아시아지역의 경제회복 및 중국의 발전이 기대되어진다. 일본금속경제연구소
2) 풍산의 구체적 세계화 전략 (미발표부분)
향후 기대되는 동수요 분야로는 아시아의 컴퓨터의 성장, 자동차용 전기전자부품수요의 증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자의 일반화, 디지털 무선서비스의 보급 확대, 인터넷의 보급에 따르는 부품 및 가정용전선 등이 예측된다.
일본의 경우 2004년 동수요는 전선수요가 내외수 92만 톤(+0.5%/년), 신동품이 114만 톤(+1%/년)으로 예상되고 전선은 광화이바망정비의 진전, 전력설비 투자의 억제 전선사용원단위의 저하 등에 의해 통신, 전력, 전기, 기계 부문은 감소하고 건설 등 부분은 기술혁신에 의한 투자 등에 의해 41만 톤, 신동품은 반도체 및 IT 관련 산업의 투자로 매년 2.7%로 추정되며, 황동봉의 경우 27만 톤 정도가 예상된다. 일본전선협회, 일본신동협회
또한 주택관련수요의 저감으로 황동봉의 수요가 감소하는 경향이지만 컴퓨터 등 IT 산업관련기기의 호조로 반도체 및 커넥터 등 전자부품용 동판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정책 하에서 1990년대 년 평균 10%를 넘는 경제성장을 달성하였고, 건설업의 부흥 등에 힘입어 1999년 전기동소비는 1990년에 비해 약 3배로 증가하였다. 동의 수요분야는 중국고도성장을 위한 인라인투자, 전력, 통신부분에서 고 성장을 하고 있다.
⇒ 세계의 공장 중국의 기존 압연 비철금속 시장(상대적 Low tech) 진출로 인하여 좀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High tech 동 산업으로의 진출이 요구되고 있다. (동 극세사, 반도체 리드프레임의 생산 등)
이런 결과들로 미루어보아 풍산이 다음 타겟으로 봐야 할 부분은 아시아시장, 그 중에서도 급성장중인 중국시장이다. 중국의 동수요 경향을 보면 주택관련수요인 황동봉, 동판 등 비교적 저 기술적이면서 대량생산을 요하는 분야이다. 이런 이유에서 중국에 현지 대량 생산 공장을 WOS방식으로 짓는 전략을 제안한다. 기술이전의 위험보다는 풍산의 경영방식이 HQ를 중심으로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리고 동의 국내수요량 조절과 가격통제 등 여러 가지 이유로 WOS전략을 선택하였다. 풍산과 풍국통상의 PNP tech 가 중국에 동반진출한다는 전략을 가지고 있기에 더 유효할 것이라 생각한다. JV - 합작법인의 WOS 사례로 기록이 가능할 것 이라 생각된다.
이렇게 중국에 현지 공장을 설립하여 동생산량을 늘려서 중국 및 아시아 각국에 공급하고, 나아가 동 생산 세계 1위사인 KME를 앞지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생산량의 차이는 큰 편이지만 중국에서 대량으로 저기술, 저가격의 동을 생산하고, 그것과 더불어 국내 생산 시설에서의 고부가가치 산업 생산량도 증가된다면 따라잡기 불가능한 수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중국 생산 공장을 발판으로 하여 세계 1위 생산회사가 된 다음엔, 현재 풍산의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좀 더 하이테크 기술개발에 매진하여 규모의 우위와 기술의 우위를 동시에 이루어낸다는 것이 우리의 바람이다.
또한 비관련 다각화 역시 시도해볼만한 것이라 생각하는데, 풍산 마이크로텍의 경우 기존의 리드프레임 생산과 더불어 LED 관련 소자를 생산하는 등의 동에서 관련된 다각화 역시 시도하려는 중이다. 또한 풍산 FNS (Fuse & Sensors - 방위산업, 신관장치 등) 등의 사업같은 경우 풍산기계와 더불어 정밀기계, 정밀가공 분야로 나아가는데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며, 한화와 ADD(국방과학 연구소)등과의 합작으로 좀 더 심화된 방위산업체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02.05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3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