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에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발해의 건국
2. 발해의 성장
3. 발해의 내치
4. 발해의 멸망

Ⅲ. 결 론

본문내용

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옮겨진 발해인은 점차 한인(漢人)에 동화되어 소멸되어 갔다.
발해는 예맥계 주민이 만주지역에 건설하였던 마지막 국가였다. 발해의 멸망과 이어 있었던 몇 차례의 발해인에 대한 강제 이주로 만주지역의 주민구성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후 만주지역은 말갈-여진계 사람들의 거주 공간이 되었다. 지금의 화룡현 일대인 노성(盧城)은 발해 당시 쌀의 산지로 유명하였다. 그 땅에 다시 쌀농사가 지어진 것은 19세기 후반 조선인들이 이주하면서부터였다.
Ⅲ. 결 론
발해가 진정한 의미에서 고구려의 후계자란 것이 밝혀지기 위해서는 지배층 뿐만 아니라 발해 주민들 전체가 자신들을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하는 점도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발해인의 문화나 언어, 그 밖의 생활 양식이 어떠하였는가도 밝혀져야 한다. 우리는 발해 인들이 스스로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알 수 없다. 그들이 직접 기록한 역사책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후대의 중국이나 여진족(말갈족의 후예)이 건국한 청, 그리고 우리나라의 옛 역사책에서 각기 발해를 자국 역사의 일부로 파악하고 이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다행히 발해가 있던 지역에서 점차 유적과 유물이 발굴, 출토되면서 베일에 싸인 발해의 문화가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하였고, 발해 문화의 역사적 성격도 어느 정도 파악되기 시작하였다.
1949년, 발해의 첫 도읍지였던 돈화 부근의 육정산 고분군에서 발해의 3대 왕인 문왕의 둘째 딸 정혜공주의 묘와 묘비가 발견되었다. 이 유적을 통해 발해 왕실의 무덤 양식이나 장례법이 고구려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음이 밝혀 졌다. 발해 주민의 문화에서는 특히 묘제나 주거 양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상 숭배의식이 매우 높던 고대 사회에서 무덤의 양식은 쉽게 변하지 않는 것이고, 주거 양식 또한 자연환경이 변하지 않는 한 오랜 세월 동안 그대로 전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족마다 서로 다른 무덤 양식과 주거 양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것에 대한 비교 조사는 발해 문화의 뿌리를 해명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발해의 각 지역에서 발굴된 토광묘나 북한 지역인 자강도 자성군 법동리 하구미와 대성산 기슭에서 발견된 '배가 부른 항아리 모양의 단지'와 같은 생활 용품은 고구려와 발해의 서민들이 사용하던 것이다. 그리고 만주와 연해주의 고구려, 발해 유적에서는 지배층과 피지배층을 막론하고 온돌이 발견되고 있다. 고구려의 고유 문화이자 한민족의 대표적인 주거 문화인 온들이 발견되는 것에서 발해 문화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발해의 문화와 역사를 단지 고구려의 계승이라는 시각에서만 바라보아서는 곤란하다. 발해는 고구려의 전통을 이어받았지만, 곧 고구려는 아니기 때문이다. 발해는 고구려 멸망 후 만주 지역과 한반도 북부를 중심으로 200여년 동안 존재한 독자적인 국가였다. 발해는 고구려 문화뿐만 아니라 말갈, 중국 그리고 신라와 일본 등의 문화를 흡수하면서, '발해 문화'라는 새로운 문화를 이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발해의 역사적 뿌리로서의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 전통뿐 아니라 그 뿌리를 기반으로 찬란하게 꽃핀 발해의 역사와 문화의 내용을 풍부하게 이해하는 것이 올바를 태도일 것이다.
참고 문헌: 발해의 역사(번역총서1)--저자 : 王承禮(왕승례)
발행처 : 길림대학 출판부
편집인 : 길림아시아문화연구소
인쇄소 : 강원일보 출판국
1987년 2월 22일 인쇄
1987년 2월 28일 발행
발해사연구---------저자 : 연변대학출판사
발행인 : 김종운
발행처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년 11월 25일 초판 제 1쇄 인쇄
1993년 11월 30일 초판 제 1쇄 발행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2.06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