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개복에의하여 이루어지던 수술로 수술성공률은
90%정도이고 5년 후 재발율도 10-20%정도로 가장 좋은 수술방법이나 개복에 의한 합병증으로 거의 시술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수술이 가능
♣ 불임
1) 불임의 빈도 - 모든 부부의 10-15%정도
15-24세의 여성 → 4%
25-34세 → 13%,
35-44세 → 30%로 증가
2) 정의 -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면서 1년 내에 임신이 안 되는 경우
·일차성 불임증 - 임신의 경험 이 없는 경우
·이차성 불임증 - 과거에 임신의 경험이 있었던 경우로, 자궁외 임신, 자연유산 포함
3) 원인별 빈도 - 난관과 복막 인자가 약 35%, 남성 요인으로 35%, 배란장애 15%, 원인 불명의 불임증 10%, 그 이외의 인자로 5%
4) 검사
·배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검사 - 난포자극호르몬, 황체자극호르몬, 유즙분비호르몬, 갑상 선기능검사 등
·자궁인자에 대한 검사 - 자궁내막 생검, 자궁난관조영술 등
·난관과 복막인자에 대한 검사 - 자궁난관조영술과 진단적 복강경
·남성요인에 대한 기본적인 검사 - 정액검사, 면역학적요인이 의심되면 항정자 항체를 검사 원인에 따라 특수검사를 시행
5) 치료
·자궁강내 인공수정을 시행(과배란유도), 자궁 근종이 있을때 외과적 치료
·근위부 난관폐쇄시 → 난관자궁각 문합술, 원위부
·난관폐쇄시 → 난관채부 성형술, 신난관개구술
·배란 장애시 → 배란유도제를 사용(자궁강내 인공수정, 생식세포 난관내 이식, 접합자 난 관내 이식체외수정시술등을 시행)
·정자의 수, 운동성, 형태 등이 이상소견시 → 체외수정시
90%정도이고 5년 후 재발율도 10-20%정도로 가장 좋은 수술방법이나 개복에 의한 합병증으로 거의 시술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수술이 가능
♣ 불임
1) 불임의 빈도 - 모든 부부의 10-15%정도
15-24세의 여성 → 4%
25-34세 → 13%,
35-44세 → 30%로 증가
2) 정의 -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면서 1년 내에 임신이 안 되는 경우
·일차성 불임증 - 임신의 경험 이 없는 경우
·이차성 불임증 - 과거에 임신의 경험이 있었던 경우로, 자궁외 임신, 자연유산 포함
3) 원인별 빈도 - 난관과 복막 인자가 약 35%, 남성 요인으로 35%, 배란장애 15%, 원인 불명의 불임증 10%, 그 이외의 인자로 5%
4) 검사
·배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검사 - 난포자극호르몬, 황체자극호르몬, 유즙분비호르몬, 갑상 선기능검사 등
·자궁인자에 대한 검사 - 자궁내막 생검, 자궁난관조영술 등
·난관과 복막인자에 대한 검사 - 자궁난관조영술과 진단적 복강경
·남성요인에 대한 기본적인 검사 - 정액검사, 면역학적요인이 의심되면 항정자 항체를 검사 원인에 따라 특수검사를 시행
5) 치료
·자궁강내 인공수정을 시행(과배란유도), 자궁 근종이 있을때 외과적 치료
·근위부 난관폐쇄시 → 난관자궁각 문합술, 원위부
·난관폐쇄시 → 난관채부 성형술, 신난관개구술
·배란 장애시 → 배란유도제를 사용(자궁강내 인공수정, 생식세포 난관내 이식, 접합자 난 관내 이식체외수정시술등을 시행)
·정자의 수, 운동성, 형태 등이 이상소견시 → 체외수정시
추천자료
치매가족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위암환자 사례간호
(가정복지) 알코올중독과 알코올중독가족에 관한 총체적 이해
자궁근종 case
정신분열병 간호과정과 질병연구
서씨가족사례
케이스스터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모성간호학 실습 - PID case
자궁근종 케이스-myoma uteri case study
난소암 환자 케이스
급성 췌장염 사례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중년남성의 절주교육
[여성간호학실습] 자궁근종 Laparoscopic myomectomy 근종절제술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여성간호학 모성간호학 실습 난소 낭종 (ovarian cystic tumor) + 복강내 출혈 케이스 스터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