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rterial catheter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압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압
본문내용
ree way의 stopcock에 의하여 압력계와 수액병에 연결된다. 중심정맥압 측정만을 위하여 사용할 때에는 헤파린이 함유된 수액을 천천히 점적시킨다. Stopcock를 용액쪽에서 압력계를 향하여 돌리면 압력계의 수은주가 20-25cm까지 채워진다. 다음은 실제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stopcock를 압력계 쪽에서 대상자 팔의 방향으로 돌리면 대상자의 호흡운동에 따라서 압력계의 물기둥이 움직이게 된다. 물기둥이 고정된 후에 최고점을 읽으면 중심 정맥압 수치를 얻을 수 있다.
정맥압을 계속해서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리 미세점적기(micro-dripper)나 속도 조절 펌프를 중심정맥압 라인에 장치하여 수액병 속에 들어있는 헤파린용액이 대상자 정맥계로 천천히 흐르도록 조절해 놓는다. 중심정맥압은 앙와위에서 측정함이 원칙이나 기좌호흡으로 평평한 앙와위를 취할 수 없을 때는 좌위(45°)에서 우심방의위치(좌측 중앙 쇄골선과 4번째 늑관지점)에 압력계의 “0”점을 맞추고 측정한다. 또 정맥압 측정시에 대상자가 긴장이나 기침, 기타의 행동을 하게 되면 흉강내압을 상승시켜 정맥압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편안히 쉬는 상태에서 재야한다.
항상 같은 위치에서 중심정맥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가슴에 압력계의 기본 위치를 표시하면 편리하다. 경정맥이나 쇄골하정맥은 혈관이 크고 빨리 눈에 띄므로 쇽과 같은 응급상태에서 중심정맥압을 측정할 때 자주 이용된다.
※중심정맥압 사정을 위한 경정맥압 측정
① 외경정맥을 확인한다.
② 내경정맥의 박동을 찾는다.
③ 내경정맥 박동의 최고점을 확인한다.
④ 이점과 흉골각 사이의 수직거리를 측정한다.
⑤ 내경정맥의 박동이 보이지 않을 때는 외경정맥이 허탈(collapsed)되어 보이는 곳의 윗점 을 확인한다.
⑥ 이와 같은 방법으로 흉골각 상부를 cm으로 수직거리를 확인하여 기록한다.(예, 침상머리 45° 상승으로 내경정맥의 박동이 흉골각에서 4cm이다.)
※ 중심정맥압의 측정절차
① 압력계와 정맥관을 연결한다.
② 압력계에 용액을 채우기 위해 threeway stopcock를 돌린다.
③ 정맥관 쪽의 stopcock를 잠그고 압력계 안의 용액이 대상자 정맥내로 흐르게 한다.
④ 수액이 대상자에게 흐르도록 stopcock를 연다.
⑤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내 우심방과 접한 부위에 놓이게 조절한다.
⑥ 압력계의 “0”점이 액와 중앙선(우심방위치)에 있나 확인 후 측정한다.
참고자료
1. 성인간호학하. 수문사. 서문자,이정희,김영숙 외. 2000년2월25일.
2. 울산대학교병원 침습적 절차 임상 매뉴얼
3. www.medicine.skku.ac.kr/a2_dept/1200
4. www.vetmed.chonnam.ac.kr/cvmlabs/surgery
5. www.snuh.snu.ac.kr/Web/info/info_second/internal
6. www.cpl.yonsei.ac.kr/micro/infect
7. www.ezliver.com/diagnosis/e_angiography.html
정맥압을 계속해서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리 미세점적기(micro-dripper)나 속도 조절 펌프를 중심정맥압 라인에 장치하여 수액병 속에 들어있는 헤파린용액이 대상자 정맥계로 천천히 흐르도록 조절해 놓는다. 중심정맥압은 앙와위에서 측정함이 원칙이나 기좌호흡으로 평평한 앙와위를 취할 수 없을 때는 좌위(45°)에서 우심방의위치(좌측 중앙 쇄골선과 4번째 늑관지점)에 압력계의 “0”점을 맞추고 측정한다. 또 정맥압 측정시에 대상자가 긴장이나 기침, 기타의 행동을 하게 되면 흉강내압을 상승시켜 정맥압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편안히 쉬는 상태에서 재야한다.
항상 같은 위치에서 중심정맥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가슴에 압력계의 기본 위치를 표시하면 편리하다. 경정맥이나 쇄골하정맥은 혈관이 크고 빨리 눈에 띄므로 쇽과 같은 응급상태에서 중심정맥압을 측정할 때 자주 이용된다.
※중심정맥압 사정을 위한 경정맥압 측정
① 외경정맥을 확인한다.
② 내경정맥의 박동을 찾는다.
③ 내경정맥 박동의 최고점을 확인한다.
④ 이점과 흉골각 사이의 수직거리를 측정한다.
⑤ 내경정맥의 박동이 보이지 않을 때는 외경정맥이 허탈(collapsed)되어 보이는 곳의 윗점 을 확인한다.
⑥ 이와 같은 방법으로 흉골각 상부를 cm으로 수직거리를 확인하여 기록한다.(예, 침상머리 45° 상승으로 내경정맥의 박동이 흉골각에서 4cm이다.)
※ 중심정맥압의 측정절차
① 압력계와 정맥관을 연결한다.
② 압력계에 용액을 채우기 위해 threeway stopcock를 돌린다.
③ 정맥관 쪽의 stopcock를 잠그고 압력계 안의 용액이 대상자 정맥내로 흐르게 한다.
④ 수액이 대상자에게 흐르도록 stopcock를 연다.
⑤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내 우심방과 접한 부위에 놓이게 조절한다.
⑥ 압력계의 “0”점이 액와 중앙선(우심방위치)에 있나 확인 후 측정한다.
참고자료
1. 성인간호학하. 수문사. 서문자,이정희,김영숙 외. 2000년2월25일.
2. 울산대학교병원 침습적 절차 임상 매뉴얼
3. www.medicine.skku.ac.kr/a2_dept/1200
4. www.vetmed.chonnam.ac.kr/cvmlabs/surgery
5. www.snuh.snu.ac.kr/Web/info/info_second/internal
6. www.cpl.yonsei.ac.kr/micro/infect
7. www.ezliver.com/diagnosis/e_angiography.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