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terial cannulation (동맥 캐뉼라 삽관법)
1)적응증 :
2)삽입할 수 있는 동맥 :
3)시술 전-Allen Test
4)합병증
5)시술 실패시
♣ABP동맥내 혈압측정(Arterial Blood pressure monitor)
1)목적
♣중심정맥주사법
1)적응증:
2)종류
①내경정맥 카테터 삽입법
②쇄골하정맥 카테터 삽입법⇒
③대퇴골 정맥 카테터 삽입법
♣쇄골하정맥 카테터 삽입
1)적응증
2)체위
3)합병증
♣CVP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1)목적
2)영향요인
3)정상 중심 정맥압
♣Swan Ganz catheterization
1) Swan-Ganz 카테터 삽입
2) Swan-Ganz 카테터로 측정한 혈역학 변수들의 임상적 응용
♣폐동맥압 측정(Pulmonary artery and Pulmonary Capillary Wedge)
1)폐동맥쐐기압의 임상적 의미
2)적응증
3)정상치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
1)심박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심박출량 평가
3)심박출량 측정
♣혼합정맥 산소포화도(mixed venous O2 saturation)
1) 혼합정맥혈 채취
2) 임상적 이용
♣Cardiac output measurement
1)목적
1)적응증 :
2)삽입할 수 있는 동맥 :
3)시술 전-Allen Test
4)합병증
5)시술 실패시
♣ABP동맥내 혈압측정(Arterial Blood pressure monitor)
1)목적
♣중심정맥주사법
1)적응증:
2)종류
①내경정맥 카테터 삽입법
②쇄골하정맥 카테터 삽입법⇒
③대퇴골 정맥 카테터 삽입법
♣쇄골하정맥 카테터 삽입
1)적응증
2)체위
3)합병증
♣CVP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1)목적
2)영향요인
3)정상 중심 정맥압
♣Swan Ganz catheterization
1) Swan-Ganz 카테터 삽입
2) Swan-Ganz 카테터로 측정한 혈역학 변수들의 임상적 응용
♣폐동맥압 측정(Pulmonary artery and Pulmonary Capillary Wedge)
1)폐동맥쐐기압의 임상적 의미
2)적응증
3)정상치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
1)심박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심박출량 평가
3)심박출량 측정
♣혼합정맥 산소포화도(mixed venous O2 saturation)
1) 혼합정맥혈 채취
2) 임상적 이용
♣Cardiac output measurement
1)목적
본문내용
체표면적으로 나눈 값인 심박출계수(cardiac index; CI)를 사용하여 조직관류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신체구성(지방조직이 많은 사람과 근육이 많은 사람의 대사율 차이), 갑상선 기능장애 등의 특정 질환, 부종 등이 대사율에 영향을 미치므로 심장지수 계산시 주의를 요한다.
앙와위에서 측정한 심박출량은 서 있는 상태보다 20% 감소한다. 따라서, 매 측정시마다 가능하면 심한 체위변경(앙와위에서 반좌위로의 변경 등)을 피하여 체위에 의한 측정값의 변화가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심박출량 평가
-환자의 피부 상태(색깔, 온도, 발한정도), 의식상태, 맥박 양상 등 환자에 대한 임상적 관찰과 함께 평가되어야 한다.
3)심박출량 측정
-Fick 원리, 지시물질 희석법(indicator dilution method), Doppler를 이용하여 심박출량을 측정할 수 있으나,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지시물질 희석법의 일종인 Swan-Ganz 카테터를 이용한 열희석법(thermodilution method) 측정이다. 열희석법에 의한 측정은 심박출량이 낮은 경우 가장 부정확하며, 심박출량이 높은 경우 가장 정확한 측정법이다.
♣혼합정맥 산소포화도(mixed venous O2 saturation)
: 신체조직의 산소이용 및 조직수준에서의 산소공급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정상값은 60~80%(75%)이며, 이때 정맥에서의 산소분압은 40 mmHg이다.
심박출량, 헤모글로빈, 동맥 산소포화도, 조직대사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1) 혼합정맥혈 채취
Swan-Ganz 카테터의 말단구를 통해 원하는 간격으로 혼합정맥혈을 채취하여 혈액가스분석을 한다. 혈액채취 시 풍선은 수축상태에 있어야 한다. 폐동맥카테터의 말단구에서 2~5 ml 정도의 혈액을 서서히(1 cc당 20초의 비율) 뽑아내어 수액과 폐동맥혈의 혼합액을 버린다. 그 후, 2 ml의 혈액을 다시 서서히 채취하여 냉각된 상태로 검사실에 보낸다. 급속히 혈액을 채취할 경우 산소분압이 높은 폐모세혈관의 혈액이 섞일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검체가 의심될 경우 동맥혈의 이산화탄소분압과 비교한다. 혼합정맥혈의 이산화탄소분압이 동맥혈과 동일하거나 낮으면, 폐모세혈관의 혈액이 검체로 이용되었음을 의미한다.
2) 임상적 이용
혼합정맥 산소측정은 심박출량과 조직 산소이용의 적정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정상인과 대부분의 환자에서 산소전달량[심박출량(CO)×동맥산소량(CaO2)]이 감소하면 조직에서 말초혈액으로부터의 산소섭취는 증가하므로 조직 산소소모량은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혼합정맥의 산소량은 감소하게 되므로 혼합정맥산소의 감소는 심박출량이 감소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혼합정맥 산소포화도가 40% 이하이면 이는 심한 조직의 저산소증을 의미하며 염기성 대사(anaerobic metabolism)에 의하여 혈중 락트산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패혈증이나 급성호흡부전증같이 말초단락이 있거나 동맥산소분압 자체가 낮은 경우에는 혼합정맥산소 측정이 유용하지 못하다.
혼합정맥산소는 심박출량 감소 이외에도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는 오한, 고체온, 발작, 통증시에도 감소한다.
말단구와 근접구에서 동시에 채취한 혈액간의 산소포화도 증가(O2 step-up)가 있음은 심방중격 결손증, 심실중격 결손증 등의 좌-우단락이 있음을 의미하며 급성심근경색환자에서 급성승모판 폐쇄부전증과 심실중격 결손증을 감별진단하는데 사용된다.
♣Cardiac output measurement
1)목적
Cardiac output (C.O)는 Cardiovascular disease 환자에서 정확한 Cardic function을 사정하기 위함이다
앙와위에서 측정한 심박출량은 서 있는 상태보다 20% 감소한다. 따라서, 매 측정시마다 가능하면 심한 체위변경(앙와위에서 반좌위로의 변경 등)을 피하여 체위에 의한 측정값의 변화가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심박출량 평가
-환자의 피부 상태(색깔, 온도, 발한정도), 의식상태, 맥박 양상 등 환자에 대한 임상적 관찰과 함께 평가되어야 한다.
3)심박출량 측정
-Fick 원리, 지시물질 희석법(indicator dilution method), Doppler를 이용하여 심박출량을 측정할 수 있으나,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지시물질 희석법의 일종인 Swan-Ganz 카테터를 이용한 열희석법(thermodilution method) 측정이다. 열희석법에 의한 측정은 심박출량이 낮은 경우 가장 부정확하며, 심박출량이 높은 경우 가장 정확한 측정법이다.
♣혼합정맥 산소포화도(mixed venous O2 saturation)
: 신체조직의 산소이용 및 조직수준에서의 산소공급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정상값은 60~80%(75%)이며, 이때 정맥에서의 산소분압은 40 mmHg이다.
심박출량, 헤모글로빈, 동맥 산소포화도, 조직대사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1) 혼합정맥혈 채취
Swan-Ganz 카테터의 말단구를 통해 원하는 간격으로 혼합정맥혈을 채취하여 혈액가스분석을 한다. 혈액채취 시 풍선은 수축상태에 있어야 한다. 폐동맥카테터의 말단구에서 2~5 ml 정도의 혈액을 서서히(1 cc당 20초의 비율) 뽑아내어 수액과 폐동맥혈의 혼합액을 버린다. 그 후, 2 ml의 혈액을 다시 서서히 채취하여 냉각된 상태로 검사실에 보낸다. 급속히 혈액을 채취할 경우 산소분압이 높은 폐모세혈관의 혈액이 섞일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검체가 의심될 경우 동맥혈의 이산화탄소분압과 비교한다. 혼합정맥혈의 이산화탄소분압이 동맥혈과 동일하거나 낮으면, 폐모세혈관의 혈액이 검체로 이용되었음을 의미한다.
2) 임상적 이용
혼합정맥 산소측정은 심박출량과 조직 산소이용의 적정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정상인과 대부분의 환자에서 산소전달량[심박출량(CO)×동맥산소량(CaO2)]이 감소하면 조직에서 말초혈액으로부터의 산소섭취는 증가하므로 조직 산소소모량은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혼합정맥의 산소량은 감소하게 되므로 혼합정맥산소의 감소는 심박출량이 감소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혼합정맥 산소포화도가 40% 이하이면 이는 심한 조직의 저산소증을 의미하며 염기성 대사(anaerobic metabolism)에 의하여 혈중 락트산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패혈증이나 급성호흡부전증같이 말초단락이 있거나 동맥산소분압 자체가 낮은 경우에는 혼합정맥산소 측정이 유용하지 못하다.
혼합정맥산소는 심박출량 감소 이외에도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는 오한, 고체온, 발작, 통증시에도 감소한다.
말단구와 근접구에서 동시에 채취한 혈액간의 산소포화도 증가(O2 step-up)가 있음은 심방중격 결손증, 심실중격 결손증 등의 좌-우단락이 있음을 의미하며 급성심근경색환자에서 급성승모판 폐쇄부전증과 심실중격 결손증을 감별진단하는데 사용된다.
♣Cardiac output measurement
1)목적
Cardiac output (C.O)는 Cardiovascular disease 환자에서 정확한 Cardic function을 사정하기 위함이다
추천자료
허혈성심질환과 간호
Respiratory Emergencies에 관한 정리
간외성 담관폐쇄
아동신비뇨기계구조와 장애
아동 의학용어
신경외과 중환자실(NICU) 실습 case study (뇌경색)
응급실케이스.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이하선종양[1]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맥관계의 구조와 기능,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ICU 과제
성인호흡곤란증후군 (ARDS)
신경계 질환 - 뇌졸중, 섬망, 치매
대퇴경부골절 케이스(Femur neck FX, 대퇴경부골절 케이스, 대퇴경부골절 간호과정, 대퇴경부...
간장, 담낭, 췌장의 구조와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