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색의 생성
2. 음양오행
1) 음양오행사상
2) 오방색
3) 태극기
3. 의. 식. 주에 나타난 한국인의 색채 문화, 의식
1) '의' 생활
2) '식' 생활
3) '주' 생활
4. 언어에 나타난 색관념
1) 색깔에 관련된 언어
2) 색과 관련된 직업 계층
Ⅲ. 결론
* 참고문헌
* 관련한자
Ⅱ. 본론
1. 색의 생성
2. 음양오행
1) 음양오행사상
2) 오방색
3) 태극기
3. 의. 식. 주에 나타난 한국인의 색채 문화, 의식
1) '의' 생활
2) '식' 생활
3) '주' 생활
4. 언어에 나타난 색관념
1) 색깔에 관련된 언어
2) 색과 관련된 직업 계층
Ⅲ. 결론
* 참고문헌
* 관련한자
본문내용
새로운 노동자계급으로서, 지식산업사회에서는 블루칼라도 화이트칼라도 아닌 골든칼라가 바로 노동의 주역이라는 것이다.
미국의 경영학자인 드러커도 골든칼라와 유사한 개념의 지식노동자(knowledge worker)계급을 설정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지식노동자는 실물도구를 가지고 일하는 생산노동자와는 달리 보이지 않는 것을 가지고 일하는 노동자이다. 비유하면 생산노동자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역할을 하고, 지식노동자는 컴퓨터설계나 작동 원리 등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노동자라는 것이다.
IV. 결론
흔히 남자아이가 태어나면 파란색깔의 옷을 입히고 여자아이에게는 분홍색깔의 옷을 입힌다. 이것은 우리의 고정관념과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는 이러해야 한다는 성역할의 차이에 있다. 옛날에는 정치적으로 제도적으로 색깔의 인식이 규정되었다면 지금은 남자와 여자라는 그리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색깔에 대한 가치관을 상이하게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색깔을 인식하고 관념화 하는데 개인마다, 지역마다, 시대마다, 차이가 있는 것일까? 우리는 색 관념이란 레포트를 쓰면서 색에 대한 많은 질문에 파묻혔다.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주야로 책을 뒤져야 했다.
먼저 색깔에 대한 인식이 세계적으로 시대와 공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테면 파란색의 사용이 옛날 사람들에게는 환대받지 못했고 천한 색으로 인식하였으며. 그 이전에는 파란색이란 개념자체가 없었다. 그리고 노란색은 중국 황제의 색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사용이 엄격하게 규제를 받았다. 그리고 조선의 왕조차 황복을 걸칠 수 없었다.이것은 조선과 중국의 사대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써 나라사이의 관계가 국가의 정치, 경제 뿐 만아니라 문화와 심지어 색깔에까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대외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대내적인 시대 상황에도 영향을 받는다. 즉 과거 색깔의 규제가 제도적이어서 사적일수 없었던 색이 지금은 색의 전반적인 인식이 개인적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과거에 비해 색깔의 종류도 다양해 질 수 있었다. 대단편적인 예로 자동차 색깔인데 군사 정권 시대에는 대부분이 흔히 어른들이 말하는 쥐색, 군청색, 회색, 검정색 이었다. 하지만 자유화 물결이 흐르고 문민정부가 들어선 이후 자동차 색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다. 즉 과감한 빨간 색깔이 등장하는가 하면 노란색, 파스텔계통의 색깔의 자동차들이 등장했다. 이렇게 볼 때 색깔의 사용이나 선택에 있어 지금은 옛날에 비해 아주 자유롭고 개방적이었다. 그래서 지금은 색이란 것이 개인의 개성으로 표현되고 개인의 기호와 성향을 결정하는 것이 되었다.
그리고 색이 단순히 아름다움을 위해 사용되지 않았다. 계급과 신분을 나타내는 다른 도구에 비해 색은 절대적으로 권위나 권력을 표현하는데 용이하다. 중국의 황제의 옷 색깔은 어느 누구도 사용할 수 없는 그런 위압감을 준다. 뿐만 아니라 지금도 검정색 고급 승용차는 그 사람의 신분을 알 수 있는 도구가 된다. 그리고 식욕을 돋우기 위해 주황색을 사용하거나, 자녀들의 정서적 안정감을 주기위해 방을 녹색으로 꾸며 주는 등의 예는 색의 미적 기능 뿐 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보여준다.
또한 서양과 동양의 색 관념에 특이한 점이 있다. 동, 서양 모두 색의 역사와 기원을 흑색과 흰색으로 보는데 일치성이 보인다. 하지만 색을 분류하고 색깔을 인식하는데 차이점이 있다. 즉 서양의 색 분류법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이다. 빛의 파장의 차이를 이용한 스펙트럼의 사용은 색을 분류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색에 대한 인식도 사람들의 심리 상태를 통계적으로 종합하여 정리한 것으로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동양의 색 분류는 음양 오행론을 기반으로 오방과 간색으로 분류하고, 오방간색을 정신적, 종교적 논리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색에 대한 인식도 아주 주관적이고 정서적이고 주술적인 면이 많다. 예를 들면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빨간색이 들어간 팥죽을 먹는다든지, 득남을 하면 빨간 고추를 매달아야 한다는 이런 민간습속은 색깔과 아주 연관 되어 있다. 하지만 이것은 예부터 전승 되어 오는 것으로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색에 대한 한자를 찾으면서 의문점이 생겼다. 같은 뜻인데도 음이 다른 한자가 여러 개 있었는데 이런 한자들의 쓰임이 어떻게 다른지 궁금했다. 즉 푸르다는 뜻이 청, 벽, 창, 희다는 뜻이 소,백, 붉다는 뜻이 적, 홍, 단 등이 있는데 그 쓰임은 각각 어떻게 다를까?
푸른 구름을 창운, 청운, 벽운으로 붉은 모시를 적삼, 단삼, 홍삼으로 각각 표기해도 괜찮은 것일까? 그리고 한자의 갑골문을 찾으면서 하나의 글자에 대한 견해가 여러 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레포트를 정리하면서 느낀 것은 단순히 색은 색이 아니다. 색은 인류 생활의 역사와 문화의 반영물이며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 생활에 깊숙이 관념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앞으로도 색은 또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고 인식 되어 질 것이다.
* 참고문헌 *
색의 유혹 1, 2 (에바 헬런/예담,2002)
색의 비밀 (미셸 파스투로/미술문화,2003)
색채 그 화려한 역사 (만리오 브루사틴/까치,2000)
신기 (권오순 역해/홍성신서)
Young-Helmholtz의 Trichromatic, 또는 Three-Receptor theory 참조
徐兢, 高麗圖經, 亞細亞文化社
世宗莊憲大王實錄, 132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한국인의 집 이야기, 한국의 음식 이야기, 한국인의 옷 이야기 ( 이규태 / 기린원)
단 청 (임영주 /대원사)
팔도음식 전통음식 (한복진/대원사)
떡과 과자 (한복려/대원사)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하용득/명지출판)
한국문화 상징사전 (동아출판)
논 문
정시화 한국인의 색채의식 국민대
김영숙 한국 복식사에 나타난 전통색 연구 숙명여대
문정선 복식에 나타난 전통색의 비교연구 동의대
기 타
이어령 오색과 오미의 우주론
김은영 언어에 나타난 한국인의 색감 이화여대
조선대 디자인학부 한국의 색
인터넷 사이트
한국복식
http://spnode10.knou.ac.kr/korea_costume/main.html
<관련한자>
+ 오방색
+ 간색
미국의 경영학자인 드러커도 골든칼라와 유사한 개념의 지식노동자(knowledge worker)계급을 설정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지식노동자는 실물도구를 가지고 일하는 생산노동자와는 달리 보이지 않는 것을 가지고 일하는 노동자이다. 비유하면 생산노동자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역할을 하고, 지식노동자는 컴퓨터설계나 작동 원리 등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노동자라는 것이다.
IV. 결론
흔히 남자아이가 태어나면 파란색깔의 옷을 입히고 여자아이에게는 분홍색깔의 옷을 입힌다. 이것은 우리의 고정관념과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는 이러해야 한다는 성역할의 차이에 있다. 옛날에는 정치적으로 제도적으로 색깔의 인식이 규정되었다면 지금은 남자와 여자라는 그리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색깔에 대한 가치관을 상이하게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색깔을 인식하고 관념화 하는데 개인마다, 지역마다, 시대마다, 차이가 있는 것일까? 우리는 색 관념이란 레포트를 쓰면서 색에 대한 많은 질문에 파묻혔다.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주야로 책을 뒤져야 했다.
먼저 색깔에 대한 인식이 세계적으로 시대와 공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테면 파란색의 사용이 옛날 사람들에게는 환대받지 못했고 천한 색으로 인식하였으며. 그 이전에는 파란색이란 개념자체가 없었다. 그리고 노란색은 중국 황제의 색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사용이 엄격하게 규제를 받았다. 그리고 조선의 왕조차 황복을 걸칠 수 없었다.이것은 조선과 중국의 사대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써 나라사이의 관계가 국가의 정치, 경제 뿐 만아니라 문화와 심지어 색깔에까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대외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대내적인 시대 상황에도 영향을 받는다. 즉 과거 색깔의 규제가 제도적이어서 사적일수 없었던 색이 지금은 색의 전반적인 인식이 개인적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과거에 비해 색깔의 종류도 다양해 질 수 있었다. 대단편적인 예로 자동차 색깔인데 군사 정권 시대에는 대부분이 흔히 어른들이 말하는 쥐색, 군청색, 회색, 검정색 이었다. 하지만 자유화 물결이 흐르고 문민정부가 들어선 이후 자동차 색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다. 즉 과감한 빨간 색깔이 등장하는가 하면 노란색, 파스텔계통의 색깔의 자동차들이 등장했다. 이렇게 볼 때 색깔의 사용이나 선택에 있어 지금은 옛날에 비해 아주 자유롭고 개방적이었다. 그래서 지금은 색이란 것이 개인의 개성으로 표현되고 개인의 기호와 성향을 결정하는 것이 되었다.
그리고 색이 단순히 아름다움을 위해 사용되지 않았다. 계급과 신분을 나타내는 다른 도구에 비해 색은 절대적으로 권위나 권력을 표현하는데 용이하다. 중국의 황제의 옷 색깔은 어느 누구도 사용할 수 없는 그런 위압감을 준다. 뿐만 아니라 지금도 검정색 고급 승용차는 그 사람의 신분을 알 수 있는 도구가 된다. 그리고 식욕을 돋우기 위해 주황색을 사용하거나, 자녀들의 정서적 안정감을 주기위해 방을 녹색으로 꾸며 주는 등의 예는 색의 미적 기능 뿐 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보여준다.
또한 서양과 동양의 색 관념에 특이한 점이 있다. 동, 서양 모두 색의 역사와 기원을 흑색과 흰색으로 보는데 일치성이 보인다. 하지만 색을 분류하고 색깔을 인식하는데 차이점이 있다. 즉 서양의 색 분류법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이다. 빛의 파장의 차이를 이용한 스펙트럼의 사용은 색을 분류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색에 대한 인식도 사람들의 심리 상태를 통계적으로 종합하여 정리한 것으로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동양의 색 분류는 음양 오행론을 기반으로 오방과 간색으로 분류하고, 오방간색을 정신적, 종교적 논리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색에 대한 인식도 아주 주관적이고 정서적이고 주술적인 면이 많다. 예를 들면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빨간색이 들어간 팥죽을 먹는다든지, 득남을 하면 빨간 고추를 매달아야 한다는 이런 민간습속은 색깔과 아주 연관 되어 있다. 하지만 이것은 예부터 전승 되어 오는 것으로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색에 대한 한자를 찾으면서 의문점이 생겼다. 같은 뜻인데도 음이 다른 한자가 여러 개 있었는데 이런 한자들의 쓰임이 어떻게 다른지 궁금했다. 즉 푸르다는 뜻이 청, 벽, 창, 희다는 뜻이 소,백, 붉다는 뜻이 적, 홍, 단 등이 있는데 그 쓰임은 각각 어떻게 다를까?
푸른 구름을 창운, 청운, 벽운으로 붉은 모시를 적삼, 단삼, 홍삼으로 각각 표기해도 괜찮은 것일까? 그리고 한자의 갑골문을 찾으면서 하나의 글자에 대한 견해가 여러 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레포트를 정리하면서 느낀 것은 단순히 색은 색이 아니다. 색은 인류 생활의 역사와 문화의 반영물이며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 생활에 깊숙이 관념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앞으로도 색은 또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고 인식 되어 질 것이다.
* 참고문헌 *
색의 유혹 1, 2 (에바 헬런/예담,2002)
색의 비밀 (미셸 파스투로/미술문화,2003)
색채 그 화려한 역사 (만리오 브루사틴/까치,2000)
신기 (권오순 역해/홍성신서)
Young-Helmholtz의 Trichromatic, 또는 Three-Receptor theory 참조
徐兢, 高麗圖經, 亞細亞文化社
世宗莊憲大王實錄, 132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한국인의 집 이야기, 한국의 음식 이야기, 한국인의 옷 이야기 ( 이규태 / 기린원)
단 청 (임영주 /대원사)
팔도음식 전통음식 (한복진/대원사)
떡과 과자 (한복려/대원사)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하용득/명지출판)
한국문화 상징사전 (동아출판)
논 문
정시화 한국인의 색채의식 국민대
김영숙 한국 복식사에 나타난 전통색 연구 숙명여대
문정선 복식에 나타난 전통색의 비교연구 동의대
기 타
이어령 오색과 오미의 우주론
김은영 언어에 나타난 한국인의 색감 이화여대
조선대 디자인학부 한국의 색
인터넷 사이트
한국복식
http://spnode10.knou.ac.kr/korea_costume/main.html
<관련한자>
+ 오방색
+ 간색
키워드
추천자료
‘ 한국 문화 유산 7 천년 사료 대전’ 을 다녀와서...
한복의 세계화(문화교류론)
디즈니 애니메이션 뮬란 분석 - 문화콘텐츠 만화 애니메이션 분석
한국의 비즈니스 문화(제출용)
[영남대] 다문화교육과정책의이해 타이핑
2011년 동계계절시험 패션과 문화 시험범위 핵심체크
전통과 현대의 의복생활 문화 조사분석
(영남대) 패션과 문화 타이핑 기말고사 09주차~14주차
중국인의 일반적 특성 및 문화적 금기 사항에 대한이해 (중국인의 단점,장점,중국지역별 성향...
2013년 1학기 패션과 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한국과 중국의 음식 문화를 일반적 특징부터 지역별 특징, 명절 음식, 식사 예절에 이르기 ...
건축학 - 중국의 주거문화 역사에 관해서
한국사회문제_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가 한 지역 내에서 공존하는 문제가 왜 어렵지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