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지리학과 천문학에 대한 지식의 확대
1. 지리학의 발달
2. 해도
3. 천문학의 발달
Ⅲ. 조선과 항해기술의 발달
1. 조선술
2. 항해기술의 발달
Ⅳ. 함포술의 발달
Ⅴ. 맺음말
Ⅱ. 지리학과 천문학에 대한 지식의 확대
1. 지리학의 발달
2. 해도
3. 천문학의 발달
Ⅲ. 조선과 항해기술의 발달
1. 조선술
2. 항해기술의 발달
Ⅳ. 함포술의 발달
Ⅴ. 맺음말
본문내용
, 스페인의 대형범선은 상갑판의 너비가 흘수선 부위 너비의 불과 반밖에 되지 않는 것도 있었다. 이러한 배 두 척이 서로 나란히 繫留할 때는 뱃전이 너무나 멀리 떨어지게 되어 다른 배로 건너간다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일이었다. 이는 해상전투에서 포술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15세기에 항해문제에 관한 한 전 유럽을 선도했던 포르투갈인들은 해상전투에 이용할 무기로 보병이 아닌 포의 중요성을 인식한 최초의 사람들이었을 뿐만 아니라, 함포를 적을 살상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배를 침몰시킬 목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사람들이기도 했다.
Ⅴ. 맺음말
신세계로의 항해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그것을 뒷받침해주는 과학 기술적 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인들은 신세계 발견의 배후에 놓인 지식, 그리고 그 발견을 실제적으로 가능케 했던 중세적 요소의 기술적 수단들을 실질적이고 물질적으로 전환시키는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였다. 고전 고대의 선조들이나 이웃해 있던 동방인들이 가졌던 지식을 받아들이면서도, 현실에 있어서의 응용은 매우 독창적이었다.
15세기 초의 항해자들은 육지를 시야에서 놓치게 되는 순간 자기 위치를 알아낼 다른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그들은 통상적으로 육지를 시야에서 놓치지 않기 위해 주의하였다. 15세기 말 어느 정도 학식을 갖춘 항해자들은 위도를 측정해내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로 당시의 항해자들은 관측위도와 추측항법을 결합하여 항로를 그럭저럭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원양항해에 알맞게 조선술이 발달하였으며, 화기가 발달하여 해전에서 이의 이용이 용이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중세의 항해자들이 대양에 대해 가졌던 두려움은 상당부분 해소되었다. 이러한 모든 성과들은 해상경험과 학술적인 지식이 유례없이 잘 결합되었던 데서 기인한 것이었다. 즉, 이론이 실제로 적응되었던 것이다. 15세기 말에 인도항로를 개척한 바스코 다 가마(Vasco da Gama:1460~1524)는 정확한 항해술로 목적지에 도달했고, 최초로 남아프리카 해안에 상륙함으로써 항해술 상에서 놀랄 만한 업적을 이룩하였던 것도, 과학 기술의 발달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에드워드 맥넬 번즈, 로버트 러너, 『서양 문명의 역사』2, 소나무, 1994.
민석홍, 『서양사개론』, 삼영사, 1997.
차하순, 『서양사총론』 탐구당, 2000.
J.H.패리, 『약탈의 역사』, 신서원, 1998.
15세기에 항해문제에 관한 한 전 유럽을 선도했던 포르투갈인들은 해상전투에 이용할 무기로 보병이 아닌 포의 중요성을 인식한 최초의 사람들이었을 뿐만 아니라, 함포를 적을 살상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배를 침몰시킬 목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사람들이기도 했다.
Ⅴ. 맺음말
신세계로의 항해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그것을 뒷받침해주는 과학 기술적 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인들은 신세계 발견의 배후에 놓인 지식, 그리고 그 발견을 실제적으로 가능케 했던 중세적 요소의 기술적 수단들을 실질적이고 물질적으로 전환시키는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였다. 고전 고대의 선조들이나 이웃해 있던 동방인들이 가졌던 지식을 받아들이면서도, 현실에 있어서의 응용은 매우 독창적이었다.
15세기 초의 항해자들은 육지를 시야에서 놓치게 되는 순간 자기 위치를 알아낼 다른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그들은 통상적으로 육지를 시야에서 놓치지 않기 위해 주의하였다. 15세기 말 어느 정도 학식을 갖춘 항해자들은 위도를 측정해내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로 당시의 항해자들은 관측위도와 추측항법을 결합하여 항로를 그럭저럭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원양항해에 알맞게 조선술이 발달하였으며, 화기가 발달하여 해전에서 이의 이용이 용이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중세의 항해자들이 대양에 대해 가졌던 두려움은 상당부분 해소되었다. 이러한 모든 성과들은 해상경험과 학술적인 지식이 유례없이 잘 결합되었던 데서 기인한 것이었다. 즉, 이론이 실제로 적응되었던 것이다. 15세기 말에 인도항로를 개척한 바스코 다 가마(Vasco da Gama:1460~1524)는 정확한 항해술로 목적지에 도달했고, 최초로 남아프리카 해안에 상륙함으로써 항해술 상에서 놀랄 만한 업적을 이룩하였던 것도, 과학 기술의 발달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에드워드 맥넬 번즈, 로버트 러너, 『서양 문명의 역사』2, 소나무, 1994.
민석홍, 『서양사개론』, 삼영사, 1997.
차하순, 『서양사총론』 탐구당, 2000.
J.H.패리, 『약탈의 역사』, 신서원, 1998.
추천자료
서양국가들의 기원(역사)
30년 전쟁이 가져온 유럽의 변화 - 경제를 중심으로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창덕궁 기행문
동서양교류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담배 속의 화학물질들, 니코틴 중독증
[현대의 서양문화 B형] 현대서양의 대중문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 중에서 비서구 사회에도 널...
서유럽 세계의 일본진출과 근세 일본의 대외관계 변화
내가 바라본 조선업계의 전망
동방견문록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영국의 대중국 경제·종교적 팽창의 군사적 결정성 - 아편전쟁기를 ...
[해양팽창과 근대세계의 형성] 정복과 선교 - ‘말’을 통한 이해
[국제무역사] 17세기 네덜란드의 무역활동 (네덜란드인들의 경제관념,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본 교재 4장 “서구와 이슬람 사회” 부분을 참고하여, 서구의 이슬람 정책에 대해 기술하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