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중국 자동차 산업의 연구 목적
제 2 장 중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정
1. 중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
2. 중국 정책
3. 중국 자동차 생산 규모와 특징
제 3 장 중국 자동차 시장 현황과 전망
1. 중국의 자동차 생산 현황
2. 중국의 자동차 시장 현황
3. 중국의 자동차 시장 전망
제 4 장 세계 의 중국 진출 현황과 전략
1. 주요 외국 기업의 중국 진출 현황과 전략
2. 기타 외국 기업의 중국 진출 현황과 계획
제 5 장 중국 자동차 시장 진출 전략
1. 한중간 자동차 교역 현황
2. 한중간 자동차 투자협력
3. 진출 전략
<참고문헌>
제 2 장 중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정
1. 중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
2. 중국 정책
3. 중국 자동차 생산 규모와 특징
제 3 장 중국 자동차 시장 현황과 전망
1. 중국의 자동차 생산 현황
2. 중국의 자동차 시장 현황
3. 중국의 자동차 시장 전망
제 4 장 세계 의 중국 진출 현황과 전략
1. 주요 외국 기업의 중국 진출 현황과 전략
2. 기타 외국 기업의 중국 진출 현황과 계획
제 5 장 중국 자동차 시장 진출 전략
1. 한중간 자동차 교역 현황
2. 한중간 자동차 투자협력
3. 진출 전략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 광서계림승합차(廣西桂林客車)와 3천만불 규모의 대형버스공장 투자계약 체결, 94년 8월부터 생산개시
한편,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인수대상에서 제외된 대우자동차 버스공장인 부산공장과 중국 계림공장은 영안모자㈜에서 1천4백억원에 인수하기로 대우차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2002. 8. 9)
96년 8월 山東省 정부, 山東第一자동차와 합작으로 자동차 엔진생산공장(一汽大宇汽車發動機有限公司)를 설립했으나, 현재 가동 중단
96년 7월 산둥성 정부, '한국델파이'와 합작으로 제동장치, 엔진부품 등을 생산하는 공장(山東大宇汽車零附件유한공사)를 설립했으나, 현재 가동 중단
또한 대우자동차는 장춘제일자동차와 합작으로 연산 15만 대 규모의 자동차 조립공정을 설립하여 2003년부터 생산에 들어갈 계획임.
3. 중국 자동차 시장 진출전략
장기적·전략적 관점에서 중국 활용 필요
전세계적인 자동차산업의 공급과잉과 그에따른 산업의 재편과정에서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진출은 불가피함. 특히 시기적으로 중국 자동차산업내의 재편이 완성되기 이전에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측면에서 지금이 중국시장 진출의 適期라 할 수 있음.
그러나 중국의 자동차 시장이 대규모 생산에 적합한 수준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임. 또한 신모델 투입과 수입장벽 완화에 따른 가격인하 경쟁이 촉발되고 있어 수익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큼.
따라서 중국을 단순한 시장으로서만이 아니라, 글로벌 생산기지 내지 아웃소싱기지로 이용하는 보다 중장기적인 기업의 생존전략 차원에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함.
3大 기업 등 중국 현지 유력기업을 중심으로 제휴 확대
중국 정부는 난립해 있는 자동차 메이커를 유력기업 중심으로 통합해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음. 따라서 유력기업이 아닌 기업과 제휴할 경우, 향후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 과정 중 유력기업에 흡수 합병되어, 입지가 약화될 수 있음.
중국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과 합종연횡 가운데 유리한 위치에 점할 수 있도록 제휴시 중국의 유력 기업과의 제휴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함.
중국내 사업확대시 신규 투자보다는 기존 중국업체에 대한 M&A와 전략적 제휴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임.
완성차, 부품업체, 할부금융의 일괄 진출 필요
중국의 자동차 산업진출은 완성차 조립과 동시에 부품업체의 동반진출을 통해 초기 부품조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함.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자동차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국 현지 부품메이커를 적절하게 선별, 조직하여 현지조달비율울 높여가야 함.
중국의 자동차 시장이 성숙되기까지는 자동차 구매에 대한 금융지원이 불가피함. 따라서 최근 중국정부는 금융기관(은행)을 통한 자동차 구매자금 대출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그 규모의 한계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자동차 할부 등의 판매 금융업의 동반진출이 불가피함.
GM, FORD 등 외국계 자동차기업들이 할부금융사 설립을 인가 받은 데 이어, 중국의 상하이 자동차 역시 자동차 할부금융사를 설립하였음.
차종의 선정 : 중국의 다양한 시장수요 분석을 통한 틈새 공략
중국내에서 시장선점효과를 누리고 있는 폭스바겐과는 달리, 후발주자로서 철저한 시장분석을 통해 지역별, 계층별로 다양한 각종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함.
특히 우리 업체의 경우 세계적인 메이커에 비해 브랜드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비교적 브랜드가 중요치 않고 실용적인 자동차를 선호하는 내륙 등 지방으로 진출을 통해 입지를 굳힌 후, 상해, 북경 등의 중국내 주요 각축장으로 진출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임.
여타의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국진출이 늦었던 일본 도요타의 경우 폭스바겐이나혼다 등에 의해 이미 포화된 중소형차 시장 대신, 향후 성장이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되는 틈새시장인 고급차종 시장에 주목하고 있음.
기업 및 브랜드 이미지 구축
중국 자동차 소비자의 대부분이 처음으로 자동차를 구매하게 되므로, 판매되는 차는 엔트리카(생애 첫차)로서 차량 및 기업에 특히 깊은 인상을 갖게됨.
확실한 품질과 서비스로 기업의 첫인상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하여, 최초 고객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임.
중국 정부의 정책 및 의도 파악
중국이 자동차 산업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육성하고 구조를 재편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정부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
일례로, 중국에서 자동차의 개인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중국 정부는 10차 5개년 계획에서 '패밀리 카의 급속한 보급은 바라지 않는다'라고 명시하고 있어,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일반 국민의 자동차 구입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형차 판매가 위축될 수도 있음.
중국 경쟁자 출현에 따른 대응 필요
중국의 자동차 시장의 확대는 여러 메이커들에게 기회인 동시에 새로운 경쟁자의 성장을 의미함. 중국은 조만간 세계 자동차 메이커들의 글로벌 생산 및 아웃소싱기지로 발전할 것임.
특히 해외 메이커들의 경쟁적인 중국진출로 해외 자본의 투자와 생산규모의 대형화는 물론, 기술이전도 확대되고 있어 중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참고문헌>
·심윤섭, 양평섭 "중국 자동차 시장 현황과 우리의 진출전략", 무역연구소 동북아팀, 2002. 10. 4.
·이시영 손동진, "중국주요산업의 경쟁력 현황과 우리의 대응방안", 동국대학교 중국산업경제연구소, 2003. 1.
·朴重 , 徐東赫, 金弘錫, 李熒周, 金正洪, 조철, 李基東, "世界 自動車産業의 構造改編과 韓國에 대한 示唆", KIET 산업연구소, 1998. 2. 25.
·이문형, 「21세기 중국 승용차 산업 발전 전략과 한·중 협력 증진 방안」, KIET,
2000. 7.
·이시영, 손동진, 「중국 자동차 산업 발전의 추세와 전망」,동국대학교 중국산업경제연구소 기획연구 2003-3, 2001. 1.
·(財)海外投融資情財 編著, "中國の産業力", 蒼蒼社, URL http://www.joi.or.jp,
2002. 9. 20
·중국 전문가 포럼, http://csf.kiep.go.kr/home.nsf/intro.htm
한편,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인수대상에서 제외된 대우자동차 버스공장인 부산공장과 중국 계림공장은 영안모자㈜에서 1천4백억원에 인수하기로 대우차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2002. 8. 9)
96년 8월 山東省 정부, 山東第一자동차와 합작으로 자동차 엔진생산공장(一汽大宇汽車發動機有限公司)를 설립했으나, 현재 가동 중단
96년 7월 산둥성 정부, '한국델파이'와 합작으로 제동장치, 엔진부품 등을 생산하는 공장(山東大宇汽車零附件유한공사)를 설립했으나, 현재 가동 중단
또한 대우자동차는 장춘제일자동차와 합작으로 연산 15만 대 규모의 자동차 조립공정을 설립하여 2003년부터 생산에 들어갈 계획임.
3. 중국 자동차 시장 진출전략
장기적·전략적 관점에서 중국 활용 필요
전세계적인 자동차산업의 공급과잉과 그에따른 산업의 재편과정에서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진출은 불가피함. 특히 시기적으로 중국 자동차산업내의 재편이 완성되기 이전에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측면에서 지금이 중국시장 진출의 適期라 할 수 있음.
그러나 중국의 자동차 시장이 대규모 생산에 적합한 수준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임. 또한 신모델 투입과 수입장벽 완화에 따른 가격인하 경쟁이 촉발되고 있어 수익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큼.
따라서 중국을 단순한 시장으로서만이 아니라, 글로벌 생산기지 내지 아웃소싱기지로 이용하는 보다 중장기적인 기업의 생존전략 차원에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함.
3大 기업 등 중국 현지 유력기업을 중심으로 제휴 확대
중국 정부는 난립해 있는 자동차 메이커를 유력기업 중심으로 통합해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음. 따라서 유력기업이 아닌 기업과 제휴할 경우, 향후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 과정 중 유력기업에 흡수 합병되어, 입지가 약화될 수 있음.
중국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과 합종연횡 가운데 유리한 위치에 점할 수 있도록 제휴시 중국의 유력 기업과의 제휴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함.
중국내 사업확대시 신규 투자보다는 기존 중국업체에 대한 M&A와 전략적 제휴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임.
완성차, 부품업체, 할부금융의 일괄 진출 필요
중국의 자동차 산업진출은 완성차 조립과 동시에 부품업체의 동반진출을 통해 초기 부품조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함.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자동차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국 현지 부품메이커를 적절하게 선별, 조직하여 현지조달비율울 높여가야 함.
중국의 자동차 시장이 성숙되기까지는 자동차 구매에 대한 금융지원이 불가피함. 따라서 최근 중국정부는 금융기관(은행)을 통한 자동차 구매자금 대출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그 규모의 한계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자동차 할부 등의 판매 금융업의 동반진출이 불가피함.
GM, FORD 등 외국계 자동차기업들이 할부금융사 설립을 인가 받은 데 이어, 중국의 상하이 자동차 역시 자동차 할부금융사를 설립하였음.
차종의 선정 : 중국의 다양한 시장수요 분석을 통한 틈새 공략
중국내에서 시장선점효과를 누리고 있는 폭스바겐과는 달리, 후발주자로서 철저한 시장분석을 통해 지역별, 계층별로 다양한 각종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함.
특히 우리 업체의 경우 세계적인 메이커에 비해 브랜드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비교적 브랜드가 중요치 않고 실용적인 자동차를 선호하는 내륙 등 지방으로 진출을 통해 입지를 굳힌 후, 상해, 북경 등의 중국내 주요 각축장으로 진출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임.
여타의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국진출이 늦었던 일본 도요타의 경우 폭스바겐이나혼다 등에 의해 이미 포화된 중소형차 시장 대신, 향후 성장이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되는 틈새시장인 고급차종 시장에 주목하고 있음.
기업 및 브랜드 이미지 구축
중국 자동차 소비자의 대부분이 처음으로 자동차를 구매하게 되므로, 판매되는 차는 엔트리카(생애 첫차)로서 차량 및 기업에 특히 깊은 인상을 갖게됨.
확실한 품질과 서비스로 기업의 첫인상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하여, 최초 고객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임.
중국 정부의 정책 및 의도 파악
중국이 자동차 산업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육성하고 구조를 재편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정부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
일례로, 중국에서 자동차의 개인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중국 정부는 10차 5개년 계획에서 '패밀리 카의 급속한 보급은 바라지 않는다'라고 명시하고 있어,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일반 국민의 자동차 구입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형차 판매가 위축될 수도 있음.
중국 경쟁자 출현에 따른 대응 필요
중국의 자동차 시장의 확대는 여러 메이커들에게 기회인 동시에 새로운 경쟁자의 성장을 의미함. 중국은 조만간 세계 자동차 메이커들의 글로벌 생산 및 아웃소싱기지로 발전할 것임.
특히 해외 메이커들의 경쟁적인 중국진출로 해외 자본의 투자와 생산규모의 대형화는 물론, 기술이전도 확대되고 있어 중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참고문헌>
·심윤섭, 양평섭 "중국 자동차 시장 현황과 우리의 진출전략", 무역연구소 동북아팀, 2002. 10. 4.
·이시영 손동진, "중국주요산업의 경쟁력 현황과 우리의 대응방안", 동국대학교 중국산업경제연구소, 2003. 1.
·朴重 , 徐東赫, 金弘錫, 李熒周, 金正洪, 조철, 李基東, "世界 自動車産業의 構造改編과 韓國에 대한 示唆", KIET 산업연구소, 1998. 2. 25.
·이문형, 「21세기 중국 승용차 산업 발전 전략과 한·중 협력 증진 방안」, KIET,
2000. 7.
·이시영, 손동진, 「중국 자동차 산업 발전의 추세와 전망」,동국대학교 중국산업경제연구소 기획연구 2003-3, 2001. 1.
·(財)海外投融資情財 編著, "中國の産業力", 蒼蒼社, URL http://www.joi.or.jp,
2002. 9. 20
·중국 전문가 포럼, http://csf.kiep.go.kr/home.nsf/intro.htm
키워드
추천자료
자동차시장의 떠오르는 강자
[자동차시장]한국 자동차 시장의 발전과 향후 발전 전략 분석
2006년도 자동차매매시장 동향
한미 FTA가 국내 자동차시장에 미치는 영향
경영자료분석_미국자동차판매시장에서의 현대자동차 신규 전략 방안
국내자동차시장
세계자동차시장의경쟁관계와국내자동차기업의생존전략
자동차시장,한국자동차,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르노삼성자동차마케팅사례,시장실패사례,실패요인,자동차시장분석,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Leadership with trust 글로벌 M&A 전략을 통한 TATA 그룹의 성장 - 세계에서 가장 싼 차...
현대, 도요타 , GM 기업분석 - 현대vs도요타vsGM,현대자동차분석,도요타자동차분석,GM자동차...
렉서스(Lexus) (렉서스마케팅전략,렉서스분석,국내수입자동차시장분석,수입자동차분석,4P,SWO...
자동차시장-자동차산업,닛산기업분석,닛산경영사례,니산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경영환경변화에 따른 세계자동차시장과 전기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