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의 장르 논쟁과 금강 속에 나타나는 신동엽의 역사 인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금강의 장르 논쟁과 금강 속에 나타나는 신동엽의 역사 인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1. 「錦江」의 장르 논쟁
2-2. 「錦江」서사성과 역사의식, 현실의식

3. 결론

본문내용

953~4년에 부여, 논산 일대를 탐사하며 민족사상으로서의 동학을 이해하기 위해 남다른 열정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체험은 곧 「錦江」의 창작 토대가 되었다.
「錦江」은 바로 1세기 전에 있었던 농민전쟁을 단순히 객관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동학사상에 뿌리를 두고 전개된 농민전쟁의 사실로 현재화해 보여 주었다. 그러기에 「錦江」에는 동학농민전쟁에 애한 새로운 해석과 변용이 수반되어 있다. 즉, 그는 현실 극복의 차원에서 동학사상을 새롭게 조명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에 차용된 과거는 현재를 철저하게 파악하기 위한 전거가 되며, 미래를 향한 진취적 발판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작품은 1960년대라는 현실과 암유적관계를 통해서 과거와 현재를 대비시켜 놓은 것이다.
) 김창완. 앞의 글. 235~6쪽
3. 결론
신동엽의 「錦江」은 그가 살았던 암울했던 시대를 동학농민전쟁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빌려 담담한 어조로 혹은 격정적 어조로 서술함으로써 현실을 인식하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錦江」은 서사시로써 충분한 텍스트적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르적 논쟁은 심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는 작품이 허구적 인물의 등장과 그 인물들의 서술자의 감정이입이 심하다는 이유로 서정시로 치부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신하늬라는 허구적 인물의 영웅적 행동이다. 이는 텍스트의 형식적 요건 보다는 내용적 측면에서 접근해야 옳다는 이야기이다.
이렇게 내용적 측면을 통해 서사성을 찾는 중요한 이유는 시인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다. 신동엽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은 김주연이 주되게 말하고 있는 '참여'시의 무의미함이나 김우창이 말하는 감동적 서정시와는 거리가 멀다. 그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가 분명하게 이어져 있고, 현실은 역사의 반복이라 말하고 있다.
민족의 수난사를 살다간 시인 신동엽은 분명 할 말이 많았다. 그는 그의 감정을 서사를 통해 드러내 놓았고, 그 작품이 「錦江」이다.
<참고문헌>
1. 이윤진, 『신동엽의 『금강』 구조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 이혜진, 『신동엽의 『금강』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3. 김윤정, 『聖心語文論集 』18·19 「신동엽「금강」연구」, 가톨릭大學校 國語國文學科, 1997
4. 김윤선, 『세종어문연구 』8 「서사시 '금강'에 대하여」, 세종대학교세종어문학회, 1995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19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2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