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방성 상처
(1) 개방성 상처의 종류
(2) 개방성 상처의 응급처치
(3) 결출상의 응급처치
(4) 절단상의 응급처치
(5) 신체에 박힌 이물질에 대한 응급처치
2. 폐쇄성 상처
(1) 폐쇄성 상처의 종류
(2) 폐쇄성 상처의 응급처치
(1) 개방성 상처의 종류
(2) 개방성 상처의 응급처치
(3) 결출상의 응급처치
(4) 절단상의 응급처치
(5) 신체에 박힌 이물질에 대한 응급처치
2. 폐쇄성 상처
(1) 폐쇄성 상처의 종류
(2) 폐쇄성 상처의 응급처치
본문내용
‘RICES’ 라고 한다.
① 휴식(Rest)
작은 반상출혈만 관찰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응급처치가 없어도 휴식을 취하면 지혈, 동통과 부종이 감소된다.
② 냉포(Ice)
냉포(얼음물 찜질)는 혈관을 수축시켜서 출혈량을 감소시키거나 지혈시킬 수 있으며, 종창과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③ 압박(Compression)
국소 압박법을 시행함으로써 심부 연부조직의 출혈을 지혈하고, 종창을 조절할 수 있다.
④ 거상(Elevation)
환자의 심장보다 위쪽으로 상처부위를 위치시키면 중력에 의하여 부종액이 밑으로 이동하므로 국소적인 종창의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크기가 감소된다.
⑤ 부목(Splint)
부목으로 연부조직 손상부위를 고정시키는 것은 지혈과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2차 손상을 예방한다.
① 휴식(Rest)
작은 반상출혈만 관찰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응급처치가 없어도 휴식을 취하면 지혈, 동통과 부종이 감소된다.
② 냉포(Ice)
냉포(얼음물 찜질)는 혈관을 수축시켜서 출혈량을 감소시키거나 지혈시킬 수 있으며, 종창과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③ 압박(Compression)
국소 압박법을 시행함으로써 심부 연부조직의 출혈을 지혈하고, 종창을 조절할 수 있다.
④ 거상(Elevation)
환자의 심장보다 위쪽으로 상처부위를 위치시키면 중력에 의하여 부종액이 밑으로 이동하므로 국소적인 종창의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크기가 감소된다.
⑤ 부목(Splint)
부목으로 연부조직 손상부위를 고정시키는 것은 지혈과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2차 손상을 예방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