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심리학의 학습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학습이론의 기초

Ⅱ.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발달과정과 기본가정

Ⅲ. Watson의 실험

Ⅳ. Pavolv의 고전적 조건화

본문내용

eph Wolpe(1985)는 고전적 조건형성의 원리를 심리치료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한 체계적 둔감법(體系的 鈍感法 : systematic desensitization)은 조건자극과 조건화된 불안반응의 연합을 약화시키려는 것이다. 이 방법은 고전적 조건형성의 원리를 응용하여 불안이나 공포를 일으키는 자극에 이완을 결합시켜 공포를 극복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자극에 대한 공포나 불안을 이완으로 대치시키려는 역조건형성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체계적 둔감법은 공포를 일으키는 자극에 유쾌한 경험을 결합시켜 공포를 제거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 예컨대, 토끼에 대해 공포감을 갖고 있는 소년을 치료하기 위해 소년이 과자를 먹고 있을 때 토끼를 먼 곳에서부터 서서히 가까이 제시함으로써 토끼에 대한 공포심을 치료할 수 있다. 주로 공포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 기법은 크게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단계1 : 불안위계의 작성
불안을 일으키는 사상들을 확인한 다음 불안을 일으키는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한다. 비행공포증 환자의 불안위계는 다음과 같이 작성될 수 있다.
비행공포증 환자의 불안위계
1. 비행기를 타고 여행을 한다.
2. 비행기 좌석에 앉아 있다.
3. 비행기 가까이 다가간다.
4. 멀리서 비행기를 바라 본다.
5. 공항에 들어간다.
6. 비행기 소리를 듣는다.
7. 비행기 타는 것에 대해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한다.
8. 비행기를 포함하지 않는 여행 계획을 세운다.
단계2 : 이완훈련
근육을 이완시키는 연습을 통해 불안을 경험하지 않을 때 느낌이 어떤지 경험하도록 한다.
단계3 : 상상하면서 이완하기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 불안위계에 포함된 항목 중 가장 약한 불안을 일으키는 항목에 대해 상상하도록 한다. 만약 이 상태에서 불안을 느낀다면 그 항목에 대한 상상을 중지하고 이완을 시킨다. 환자가 충분하게 이완되었다고 판단되면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을 상상하도록 하면서 이완을 하도록 훈련시킨다. 이렇게 하여 하위수준의 자극에 대해 불안을 느끼지 않으면 상위 수준의 자극과 이완을 결합시킨다. 환자가 가상적인 자극에 대해 더 이상 불안을 느끼지 않게 되면 실제적 자극에 직면시켜 그 자극에 대해 불안반응을 전혀 나타내지 않을 때까지 계속한다.
⑤혐오치료
혐오치료(嫌惡治療 : aversion therapy)는 고전적 조건형성절차를 이용해서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유발하는 조건자극과 혐오자극을 짝지어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소거시키려는 기법이다. 이 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한 반응을 직접 소거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이나 장면을 회피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컨대, 알코올 중독증을 치료하기 위해 술과 구토제를 짝지어 제시하여 술에 대해 조건화된 혐오반응(구역질)을 경험하도록 하여 술을 끊도록 하는 방법이다. 술을 마시면 구토와 혐오감이 자동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술을 마시려는 욕구가 억제된다. 혐오치료는 담배를 피울 때 메스꺼움과 구토를 일으키는 약물을 주사하여 담배를 끊도록 하는 기법으로 활용되었다.
7.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인지적 설명
Pavlov에 의하면 고전적 조건형성은 CS와 UCS의 반복적 결합을 통해 일어나는 자동적 과정이기 때문에 CS와 UCS가 계속 결합되지 않으면 조건반응이 소거된다. 그러나 사람의 경우 조건형성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심지어 단 1회의 CS-UCS 결합만으로도 조건형성이 되기도 하며, CS가 UCS와 계속적으로 결합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조건반응이 소거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Pavlov의 주장과 배치된다. 심지어 CS와 UCS에 관련된다는 말만 들어도 조건형성이 이루어지며, CS가 UCS와 관련되지 않는다는 말만 들어도 소거가 이루어진다. 학습자가 CS와 UCS의 관계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조건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실제로 두 자극이 아무 관련이 없는 데도 관련된다고 생각하면 조건형성이 된다.
이것은 조건형성이 자동적인 과정이 아니라 인지과정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조건형성을 인지적 관점에서 해석하면 중립자극이 무조건자극에 대한 기대를 형성했기 때문에 조건형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자극이 조건자극이 되려면 무조건 자극이 주어지는 시기와 장소, 무조건 자극의 양과 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8. 고전적 조건형성의 교실에의 적용
①학습활동을 긍정적이고 즐거운 것과 연결시키도록 힘쓴다.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일수록 긍정적이고 즐거운 것과 연결하여 좋은 감정이 조건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②불안감이 많은 아이는 점진적 소멸법을 이용하여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운다. 공포가 심한 경우에는 작은 단계로 나누어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③예를 들면 체육시간에 대해 공포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게는 제일 먼저 운동하는 멋진 사진을 보여 주고 그 다음 쉬는 시간에 다른 아이들이 즐겁게 노는 것을 보게 하며 운동시합을 보고 득점을 계산하게 하고 나서 체육시간에 서서히 참여하게 한다.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목적
중립자극에 대한 새로운 반응형성
반응확률의 증가 또는 감소
반응의 성질
불수의적 반응
유도된 반응(elicited response)
수의적 반응
방출된 반응(emitted response)
반응-강화 관계
강화(무조건 자극)가 반응에 선행
강화가 반응 뒤에 수반된다.
절차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의 결합
반응과 강화의 결합
Skinner는 대응적 행동을 조건형성시키는 절차를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S형 조건형성(Type S conditioning)이라고 불렀다.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에 조작적 행동을 조건형성 시키는 절차는 반응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의미에서 R형 조건형성(Type R conditioning)이라고 불렀다. S형 조건형성에서 조건형성의 강도는 조건반응의 강도를 의미하지만 R형 조건형성에서 조건형성의 강도는 반응확률을 의미한다. Skinner는 조건형성을 두 가지로 구분한 다음 R형 조건형성의 과정을 규명하는 데 전력을 다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2.25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