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제기
2. 해외 입양의 배경
3. 해외 입양을 위한 전제
4. 입양 특례법에서의 해외 입양 관련 사항
5. 해외 입양아동을 소재로 다룬 영상물
6. 해외 입양의 문제점과 사후 대책
7. 결론
2. 해외 입양의 배경
3. 해외 입양을 위한 전제
4. 입양 특례법에서의 해외 입양 관련 사항
5. 해외 입양아동을 소재로 다룬 영상물
6. 해외 입양의 문제점과 사후 대책
7. 결론
본문내용
이나 그 부모들은 한국에서 여행자 또는 이방인으로 잠깐 방문하는 경우가 아니라 한국이 모국이라는 인식과 모국에는 입양인 들이 안식하고 즐겁게 활동할 수 있고, 한국과 각국의 또래집단과 교류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계획으로 가칭 '홀트랜드' 설립 계획이 있다.
㉰모국으로 돌아오는 해외입양인을 위한 전문기관
ⓐG.O.A.'L
; G.O.A.'L은 유럽과 미국에서 온 입양인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한국의 행동 양식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해주며, 일반 대중들에게 입양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입양인들을 돕고 있다. 또한 한국 정부, 입양기관, 그리고 한국 사회에 입양에 대한 인식을 촉구하고 있다.
* 전 세계에 여러 가지 언어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해외입양 자원 센터 공급
* 해외 입양 단체들을 위한 네트워크 링크 제공
* 한국에 있는 고아들과 함께 하는 Big Brother(형 대신이 되어 선도하는 남자)/
Big Sister(누나 대신이 되어 선도하는 여자) 프로그램 제공
* 친모와 양모를 위한 지원 그룹 마련
* 대중매체 / 토크쇼를 통해 한국인들을 교육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연 1회의 회의와 세미나 개최 - 계간지 준비
* 한국에 거주하거나 방문하는 성인 입양인 사회를 위한 서적 출판
* 한국에서의 합법적 신분 획득
* 주택과 휴양 시설이 있는 입양인 회관 설립
* 입양 역사와 이슈에 대한 입양인 전시관 설립
ⓑ뿌리의 집
; 뿌리의 집은 해외 입양인의 모국 방문시 저렴한 비용의 숙소 제공하고 해외 입양인들간의 정보 교류 센터역할 수행하는 등, 모국을 방문하고자 하는 해외 입양인들이 좀더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고 또 국내에 체류하는 동안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해외 입양인의 모국 방문을 위한 전문기관이다.
* 입양인 숙소제공
* 국내 체류 입양인에 대한 한국문화 제공
* 입양인들을 위한 국내 홈스테이 연결
* 인터넷을 통한 해외입양인들에 한국 정보제공
* 각국의 입양인들의 자기 문화를 국내에 소개하는 행사 지원
* 해외 각 나라별 해외입양인 조직과의 네트워크 연결
* 해외입양인에 대한 한국인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각종 행사 개최
* 국내 체류 입양인을 위한 일자리 안내
3)사후 대책의 목적
㉮우리나라의 입양정책방향이 가정이 필요한 아동에게 새로운 가정을 찾아 주는데 주력한 입양정책에서 입양 후 건전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아동의 생애에 걸쳐 필요한 정책적 노력을 모색.
㉯입양인의 기능이 사회적으로 그가 속한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세계화 속에서 기능하도록 각종 지원이 필요.
㉰입양 후 사후지원방법이 모국방문, 뿌리 찾기 등 과거지향적인 모델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앞으로는 미래지향적으로 입양인의 현실적 요구해결과 성장과정에 정체성 (identity)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입양사후지원방향과 방안이 수립되어야 함. 다시 말하자면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한국적 문화, 전통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글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함.
㉱입양사후지원방향으로는 비용·효율성도 검토되어야 함. 종래와 같이 모국방문이나 모국연수 및 여름학교 운영 등은 off line에 속한 것으로 막대한 비용을 수반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스스로 제한될 수밖에 없었음. 따라서 정보화시대에 알맞은 인터넷을 통한 한글 보급, 한국문화 및 전통을 가르치고 입양인 들의 요구를 즉시 공급하는 on line 서비스를 구축하면 비용·효과면 에서 큰 기여를 할뿐더러 수많은 입양인과 관심 자들에게 그들의 요구를 일시에 해결해줄 수 있음.
㉲입양사후지원업무는 입양기관에 한정된 기능이 아니라 거국적 노력이 필요하며 정부에서도 적극적인 방안을 수립하여 지원해야 함. 입양사후지원은 입양인의 개인적 정체성 확립에도 도움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입양인과 양부모로 형성된 국제적 infra structure 가 한국과의 이해와 깊은 관계를 맺을 수 있으므로 이들의 기능을 한국에 유익한 집단으로 활동하는 행동체계로 활용해야 함.
7. 결론
입양은 농사의 경우 '씨를 밭에 뿌리는' 것과 흡사하며, 입양사후지원 프로그램은 '수확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과거 50여 년간 입양업무를 수행하면서 씨 뿌리는 행위에는 익숙해 왔으나 입양 후 그들이 성장하면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가 속한 지역사회의 건설을 위한 일원으로서, 나아가 국가와 세계의 발전에 그들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능한 지원을 행함으로서 이제 '수확하는' 사업을 위한 프로그램 설정에 노력할 때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 모두는 관련된 해외 협력기관은 물론 정부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태세를 갖추어야 한다고 본다. 정부에서 최근 재외동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거국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입양인 들도 입양동포로서 광의의 재외동포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봄으로써 이 범주 안에서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사실 입양인과 입양인 가족의 영향력은 우리가 상상하는 이상의 힘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고 공적, 사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야 하겠다. 또한 입양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아동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그들을 위한 입양을 포함한 복지 프로그램의 발전이 중요할 것이다. 특히 해외입양 단원을 공부하면서 여러 자료와 사례들을 많이 살펴보았는데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기도 하였다. “해외입양이 뭐가 나쁜가? 한국에서 못먹고 못살바에야 좋은 미국이나 외국에 가서 좋은 환경에 부모님 밑에서 성장하고, 오히려 영어까지 잘할 수 있으니 오히려 좋다”라고 말이다. 그러나 항상 ‘나는 정말 누구인가’ ‘왜 나의 부모는 나를 버릴 수밖에 없었는가?’ 하는 정체성의 혼란과 잊고 살아가려 할수록 더욱 자신을 뒤흔드는 수많은 것들을 짊어지고 살아가야만 하는 그들이 정말 행복할 것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참고 자료*
-카톨릭 신문
-동아 일보
-홀트 아동 복지회 www.holt.or.kr
-우리 아기 해외 입양 반대 (다음 카페)
-G.O.A.L : 해외 입양 반대 (다음 카페)
-한국 입양 가정 연구소
-www.imbc.com
-중앙 일보
㉰모국으로 돌아오는 해외입양인을 위한 전문기관
ⓐG.O.A.'L
; G.O.A.'L은 유럽과 미국에서 온 입양인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한국의 행동 양식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해주며, 일반 대중들에게 입양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입양인들을 돕고 있다. 또한 한국 정부, 입양기관, 그리고 한국 사회에 입양에 대한 인식을 촉구하고 있다.
* 전 세계에 여러 가지 언어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해외입양 자원 센터 공급
* 해외 입양 단체들을 위한 네트워크 링크 제공
* 한국에 있는 고아들과 함께 하는 Big Brother(형 대신이 되어 선도하는 남자)/
Big Sister(누나 대신이 되어 선도하는 여자) 프로그램 제공
* 친모와 양모를 위한 지원 그룹 마련
* 대중매체 / 토크쇼를 통해 한국인들을 교육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연 1회의 회의와 세미나 개최 - 계간지 준비
* 한국에 거주하거나 방문하는 성인 입양인 사회를 위한 서적 출판
* 한국에서의 합법적 신분 획득
* 주택과 휴양 시설이 있는 입양인 회관 설립
* 입양 역사와 이슈에 대한 입양인 전시관 설립
ⓑ뿌리의 집
; 뿌리의 집은 해외 입양인의 모국 방문시 저렴한 비용의 숙소 제공하고 해외 입양인들간의 정보 교류 센터역할 수행하는 등, 모국을 방문하고자 하는 해외 입양인들이 좀더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고 또 국내에 체류하는 동안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해외 입양인의 모국 방문을 위한 전문기관이다.
* 입양인 숙소제공
* 국내 체류 입양인에 대한 한국문화 제공
* 입양인들을 위한 국내 홈스테이 연결
* 인터넷을 통한 해외입양인들에 한국 정보제공
* 각국의 입양인들의 자기 문화를 국내에 소개하는 행사 지원
* 해외 각 나라별 해외입양인 조직과의 네트워크 연결
* 해외입양인에 대한 한국인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각종 행사 개최
* 국내 체류 입양인을 위한 일자리 안내
3)사후 대책의 목적
㉮우리나라의 입양정책방향이 가정이 필요한 아동에게 새로운 가정을 찾아 주는데 주력한 입양정책에서 입양 후 건전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아동의 생애에 걸쳐 필요한 정책적 노력을 모색.
㉯입양인의 기능이 사회적으로 그가 속한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세계화 속에서 기능하도록 각종 지원이 필요.
㉰입양 후 사후지원방법이 모국방문, 뿌리 찾기 등 과거지향적인 모델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앞으로는 미래지향적으로 입양인의 현실적 요구해결과 성장과정에 정체성 (identity)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입양사후지원방향과 방안이 수립되어야 함. 다시 말하자면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한국적 문화, 전통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글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함.
㉱입양사후지원방향으로는 비용·효율성도 검토되어야 함. 종래와 같이 모국방문이나 모국연수 및 여름학교 운영 등은 off line에 속한 것으로 막대한 비용을 수반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스스로 제한될 수밖에 없었음. 따라서 정보화시대에 알맞은 인터넷을 통한 한글 보급, 한국문화 및 전통을 가르치고 입양인 들의 요구를 즉시 공급하는 on line 서비스를 구축하면 비용·효과면 에서 큰 기여를 할뿐더러 수많은 입양인과 관심 자들에게 그들의 요구를 일시에 해결해줄 수 있음.
㉲입양사후지원업무는 입양기관에 한정된 기능이 아니라 거국적 노력이 필요하며 정부에서도 적극적인 방안을 수립하여 지원해야 함. 입양사후지원은 입양인의 개인적 정체성 확립에도 도움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입양인과 양부모로 형성된 국제적 infra structure 가 한국과의 이해와 깊은 관계를 맺을 수 있으므로 이들의 기능을 한국에 유익한 집단으로 활동하는 행동체계로 활용해야 함.
7. 결론
입양은 농사의 경우 '씨를 밭에 뿌리는' 것과 흡사하며, 입양사후지원 프로그램은 '수확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과거 50여 년간 입양업무를 수행하면서 씨 뿌리는 행위에는 익숙해 왔으나 입양 후 그들이 성장하면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가 속한 지역사회의 건설을 위한 일원으로서, 나아가 국가와 세계의 발전에 그들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능한 지원을 행함으로서 이제 '수확하는' 사업을 위한 프로그램 설정에 노력할 때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 모두는 관련된 해외 협력기관은 물론 정부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태세를 갖추어야 한다고 본다. 정부에서 최근 재외동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거국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입양인 들도 입양동포로서 광의의 재외동포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봄으로써 이 범주 안에서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사실 입양인과 입양인 가족의 영향력은 우리가 상상하는 이상의 힘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고 공적, 사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야 하겠다. 또한 입양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아동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그들을 위한 입양을 포함한 복지 프로그램의 발전이 중요할 것이다. 특히 해외입양 단원을 공부하면서 여러 자료와 사례들을 많이 살펴보았는데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기도 하였다. “해외입양이 뭐가 나쁜가? 한국에서 못먹고 못살바에야 좋은 미국이나 외국에 가서 좋은 환경에 부모님 밑에서 성장하고, 오히려 영어까지 잘할 수 있으니 오히려 좋다”라고 말이다. 그러나 항상 ‘나는 정말 누구인가’ ‘왜 나의 부모는 나를 버릴 수밖에 없었는가?’ 하는 정체성의 혼란과 잊고 살아가려 할수록 더욱 자신을 뒤흔드는 수많은 것들을 짊어지고 살아가야만 하는 그들이 정말 행복할 것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참고 자료*
-카톨릭 신문
-동아 일보
-홀트 아동 복지회 www.holt.or.kr
-우리 아기 해외 입양 반대 (다음 카페)
-G.O.A.L : 해외 입양 반대 (다음 카페)
-한국 입양 가정 연구소
-www.imbc.com
-중앙 일보
추천자료
사회문제론 - 입양
우리나라 입양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해 논하시오.
우리나라 입양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정위탁보호와 입양문제
우리나라 입양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한 정리.
우리나라 입양서비스의 현황, 그 특징 그리고 발전방안
트렌스젠더 하리수의 입양문제로 바라본 우리의 현실
우리나라 입양서비스의 실태와 발전방안을 논하시오jo
국내의 입양서비스 활성화방안
[복지]입양가족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
[아동복지론-_]_국내입양의_문제점과_활성화_방안
현재 우리나라의 입양정책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밝히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