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예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일기예보
*일기예보의 과정

*예보의 종류
1. 종관적 예보(Synoptic weather forecasting)
2. 통계적 예보(Statistical weather forecasting)
3. 수치 예보(Numerical weather prediction)
4. 단기 예보
5. 장기 예보

*예보 용어 개요

본문내용

싸락눈을 중심으로 하여 물방울들이 그 주위에 얼어 붙은 것 또는 싸락눈이 부분적으로 녹았다가 얼어서 엷은 얼음층을 이룬 것이다.싸락우박은 보통 지상기온이 0℃이상인 때에 내린다.
우박(hail)
얼음의 입자나 덩어리로 된 강수로서 직경이 5mm에서 50mm 또는 그 이상되는 것도 있다. 우박은 얼음덩어리만으로 될 수도 있고 투명한 층(보통 1mm 이상)과 반투명한 층이 서로 겹쳐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우박은 강한 뇌전에 동반하여 비에 섞여 내리는 수가 많다.
얼음침(ice prisms)
극히 작은 얼음 입자들이 서서히 내리는 현상으로서 침상, 각주상 또는 판상 등의 결정으로 되며 대기중에 떠다니는 것같이 보인다.
안개(fog)
극히 작은 물방울들이 대기중에 떠 있어서 수평시정이 1km 미만인 때를 말한다. 충분히 햇빛이 비칠 때에는 안개방울 하나 하나를 눈으로 볼 수 있으며 그때에 안개방울들은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안개속에서의 대기는 습하고 차갑게 느껴지며 상대습도는 100%에 가깝다.

박무(mist)
극히 작은 물방울이나 흡수성의 수용액 입자가 공기중에 떠있는 수평시정이 1km 이상인 때를 말한다.박무가 낀 때의 대기는

땅 날린눈(drifting snow)
지면에서 극히 낮은 고도로 날려오른 상태로서 날린 눈들은 지면을 쓸고 있는 것같이 움직이며 이로 인해서 낮은 지물들은 어렴풋이 보이든가 아주 가려져 안보인다.

높은 날린눈(blowing snow)
일단 지면에 내려 쌓인 눈이 높게 날리어 올려진 현상으로 눈 높이의 수평시정은 대단히 약화된다.

눈보라(snow storm)
높은 날린 눈과 눈이 동시에 일어나느 현상을 말한다.

이슬(dew)
대기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이 되어서 지면이나 지상의 물체 등에 붙어 있는 현상으로 다른 지상의 물체나 지면에는 나타나지 않고 초목의 잎사귀에만 생기는 물방울은 이슬로 취급하지 않는다.

언 이슬(white dew)
이슬의 입자들이 빙결된것

서리(Hora frost)
대기중의 수증기가 승화작용에 의해서 지면이나 지상물에 얼음의 결정체로 되어 붙어 있는 현상

서릿발(Ice columns)
지면에 가늘고 수직으로 생기는 섬유상태의 얼음기둥을 말하며, 이것은 땅속의 수분이 모세관 작용으로 스며 나와 지표면에서 언 현상

적설 (Snow coverage)
관측지점 주변에 지면(또는 노장)이 반이상의 눈, 싸락눈, 또는 싸락우박으로 덮여 있는 상태

결빙(freezing)
옥외에 있는 물이 동결하는 현상

용오름(spout)
격심한 회오리 바람을 동반하는 기둥모양 또는 깔대기 모양의 구름이 적란운(Cb) 밑에서 지면 또는 해면까지 닿아 있으며, 해면에서 불려 올려진 물방울들이나 지면에서 불려올려진 먼지나 모래가 섞여있는 현상
대기중의 먼지현상 (Lithometerors)
기호
현상
정 의
연무(Haze)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극히 작고 건조한 고체입자가 대기중에 떠다니고 있는 현상으로서 그 수가 많기 때문에 대기가 우유빛으로 흐려 보이고 시정을 악화시킨다.
먼지연무(dust haze)
바람에 의해서 지면으로부터 불려올라간 먼지나 모래의 작은 입자가 대기중에 떠있는 현상
황사(yellow sand)
먼지연무의 일종으로서 주로 대륙의 황토지대에서 불려올라간 다량의 먼지가 온 하늘을 덮고 떠다니며 서서히 하강하는 형상이다. 심할때는 천공이 황갈색으로 보이고 햇빛이 흐려지며 노출된 지면이나 지물에 흙먼지가 쌓이는 수도 있다.
대기중의 빛현상 (Photometereors)
기호
현상
정 의
,
무리 (Halo phenomena)
대기중에 떠 있는 얼음 입자들이 빛을 반사 또는 굴절하여 생기는 광륜,호, 기둥, 점 등의 광학적 현상을 말한다.해를 둘러싸고 있는 광륜을 햇무리(Solar halo), 달을 싸고 있는 광륜의 달무리(Lunar halo)라고 하며, 그 밖에 환일, 환월, 광주 등 여러 가지 현상이 나타난다.
,
코로나(corona)
해나 달을 중심으로 비교적 작은 직경(보통 시각 반경이 5도미만)의 색채를 띤 광륜으로 안쪽은 남색 또는 청색이고 바깥쪽은 적색에 가깝다.해에 걸리는 것을 해코로나, 달에 걸리는 것을 달코로나라고 한다. 코로나는 햇빛이나 달빛이 안개속이나 작은 수적, 또는 얼음 입자로 된 엷은 구름층을 통과할 때 회절현상에 의해서 생긴다.
채운(Irisation)
구름에 색채가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불규칙하게 나열되나 때로는 구름의 연변에 평행한 줄무늬로 나타나며 녹색이나 복숭아색이 탁월하다.
무지개(Rainbow)
대기중에 떠 있는 많은 물방울들이 빛의 굴절, 반사 또는 간섭에 의하여 생기는 현상으로서, 태양과 대칭되는 점을 중심으로 시각 반경 42도의 스펙트랄색을 띠는 동심호를 주무지개라 한다.주무지개는 안쪽이 보라색, 바깥쪽이 빨강색이며, 하늘의 색은 무지개의 바깥쪽이 안쪽보다 어둡게 보인다. 때로는 주무지개의 바깥쪽 시각 반경 51도-54도에 부무지개가 나타나는 수가 있다. 주무지개에 비하면 빛이 희미하고 폭은 주무지개의 2배가 되며 안쪽이 빨강색, 바깥쪽이 보라색이 된다.
아지랭이(shimmer)
수평으로 지상의 물체를 바라볼 때 아른아른 흔들려 보이는 현상. 아지랭이는 강한 때에 지표면에 접한 대기층이 가열되어 짧은 주기의 파동을 함으로써 발생한다.
놀(twilight colours)
일출 또는 일몰시에 하늘이나 산봉우리가 여러 가지 색채로 물드는 현상으로 태양광선이 대기층을 통과할 때 선택흡수, 산란, 혹은 굴절하여 생긴다.
대기중의 전기현상(Electrometeors)
기호
현상
정 의
뇌전(thunderstorm)
번개와 천둥을 동반하는 급격한 방전현상.뇌전은 발달한 적란운에서 구름과 구름사이 또는 구름과 지면 사이의 방전으로 나타나며 소낙성의 비를 동반하는 수가 많다.
번개(lightning)
구름과 구름사이 또는 구름과 지면사이의 급격한 방전에 의한 발광현상
천둥(thunder)
뇌전에 수반되어 일어나는 예리한 소리 또는 우릉우릉 울리는 소리.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2.27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