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성의 확보와 고향 - 민촌 이기영 고향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총체성의 확보와 고향 - 민촌 이기영 고향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기존의 논의와 관점의 한계

2.1 루카치의 총체성
2.2 시대적 배경
2.3 민촌 이기영
2.4 '고향'에서 나타난 총체성의 확보 양상
2.5 '고향'을 총체성으로 보았을 때의 한계점과
총체성으로 보아야 하는 이유

3. 결론

본문내용

아닌 것처럼 말이다. 사회와 개인이, 개인과 개인이 모종의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해서 이런 상황이 벌어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고향'에서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인 사랑을 놓칠 가능성이 큰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총체성을 적용해야하는 이유는 이 소설이 역사를 바탕으로 씌여졌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의 역사나 당대의 유교적 관념, 농민과 노동자의 생활난 등을 반영하지 않은 채 '고향'을 읽는다면 이 소설은 지금과 같은 대우를 받지 못했을 것이다.
이기영이 현실세계를 보는 시각도 빈곤했던 작가의 체험에서 비롯되었고, 그가 경향문학의 맹점인 관념성을 극복했다는 평가도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고향'을 총체성의 시각으로 보지 않는다면 이 글의 리얼리티가 매우 감소될 것이며, 총체성으로 보았을 때 놓치는 부분보다 총체성이 아닌 다른 견해로 보았을 때 잃는 것이 많을 것이다.
3. 결론
이상으로 이기영을 도식적으로 보는 견해에서 벗어나보고자 총체성의 시각으로 이기영의 '고향'을 살펴보았다. 논의를 전개하기 전에 루카치의 총체성 개념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고 작품에 드러나는 시대적 배경과 민촌 이기영에 대해서도 간단히 언급해보았다.
다음으로는 사회 전반적으로 드러나던 집단적 문제인 소작쟁의와 노동쟁의가 작품 속에서 원터 마을사람 개개인에게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농촌의 현실, 농민의 노동자화, 소작쟁의와 노동쟁의의 형상화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어떤 이론이나 개념이든지 완벽하게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다. 총체성 역시 단일하게 적용되었을 때 작품 내부에서 독자들이 놓치는 부분이 엄연히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기영의 '고향'을 총체성으로 보아야 하는 이유는 역사와 밀접하게 관계되고, 소위 미학적인 시각으로만 작품을 보았을 때 작가의 체험이나 경향문학의 맹점을 극복한 점, 글의 리얼리티 등이 많은 부분 사장될 것이기 때문이다.
'총체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기영의 '고향'이 위의 논의에 가장 적합한 작품이었으므로 이것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다른 작품을 살펴보지 못했던 부분은 미흡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 번 연구대상으로 삼아 보충하기로 하겠다.
- 참고문헌
* 이기영 / 이기영선집 1故鄕 / 풀빛 / 1991. 10
* 김윤식 외 / 이기영 / 새미 /1995
* 권 유/ 이기영 소설연구 / 태학사 / 1993
* 김상선 / 민촌 이기영 문학 연구 / 국학자료원 / 1999. 11
* 김재용 외 / 한국근대민족문학사 / 한길사 / 1993. 12
* 박종원 외 / 조선문학개관下-북한문학편 / 온누리 / 1988. 12
* 한영우 / 다시찾는 우리역사-제3권(근대·현대) / 경세원 / 1998. 2
* 구인환 외 / 문학교육론 / 삼지원 / 2001
* 게오르그 루카치 / 루카치 소설의 이론 / 심설당 / 1985
* 김병걸 / 1930년대 민족문학의 인식, '이기영의 '고향' 론' / 1990. 9
* 조동걸 / 그래도 역사의 힘을 믿는다 / 푸른역사 / 2001. 3
* 역사학연구소 /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 / 서해문집 / 2004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3.02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8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