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습목적
2.실습내용
3.실습대상
4.측량장비
5.실습순서/방법
6.실습이론
야장
8.고찰(문제점/해경방안)
9.참고문헌
2.실습내용
3.실습대상
4.측량장비
5.실습순서/방법
6.실습이론
야장
8.고찰(문제점/해경방안)
9.참고문헌
본문내용
° 33′ 59.96″
(AD)
327° 14′ 0.77″
(BC)
338° 33′59.96″
-(a2)
23° 38′ 44.53″
(CB)
158° 33′ 59.96″
(BD)
303° 35′ 16.24″
+(a7)
44° 2′ 53.79″
-(a5)
33° 35′16.25″
(CA)
202° 36′ 53.75″
(BA)
270°
(AC)
22° 36′ 53.75″
+(a4)
67° 23′ 6.25″
(AB)
90°
△ABD에서의 방위각은 삼각망이 반시계방향 배열이므로,
(AD) = (AB) -∠A , (BD) = (AD) - ∠B, (AB) = (BD) - ∠D
△ABC에서의 방위각은 삼각망이 시계방향이므로,
(BC) = (BA) - ∠B, (CA) = (CB) - ∠B, (AB) = (AC) - ∠A
▶ 좌표계산
측선
측정된 거리
방위각
X
Y
측점
A-D
30.258
327° 14′ 0.77″
1500000
500000
A
1499983.624
500025.444
D
B-D
45.992
303° 35′ 16.24″
1500021.937
500000
B
= 1500000 + 30.258*sin(327° 14′ 0.77″) = 1499983.624
= 500000 + 30.258*cos(327° 14′ 0.77″) = 500025.4440
측선
측정된 거리
방위각
X
Y
측점
B-C
29.126
338° 33′59.96″
1500000
500000
A
1500011.294
500027.113
C
C-A
29.371
202° 36′ 53.75″
1500021.937
500000
B
= 1500021.937 + 29.126*sin(338° 33′59.96″) = 1500011.294
= 500000 + 29.126*cos(338° 33′59.96″) = 500027.113
▶ 측선의 거리와 방위각
30.258
(AD)° = 327° 14′ 3.42″
29.371
(AC)° = 22° 36′ 51.53″
45.992
(BD)° =303° 35′ 18.55″
29.127
(BC)° = 338° 34′ 4.41″
27.720
(DC)° 86° 32′ 53.57″
측선
계산된 거리 °
초기 방위각 °
AD
30.258
30.258
327° 14′ 3.42″
AC
29.371
29.371
22° 36′ 51.53″
BD
45.992
45.992
303° 35′ 18.55″
BC
29.126
29.127
338° 34′ 4.41″
DC
27.767
27.721
86° 32′ 53.57″
▶ 관측방정식
0.54121224
-0.84090157
-0.38482896
-0.92312145
행렬 A는
그런데, 중량 행렬 W를 같은 값으로 가정했기 때문에 단위행렬 W를 상수 I행렬로 보게 되면 W가 제거되어 위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 할 수 있다.
이 값을 C, D의 초기 근사좌표에 더하면 최종적으로 조정된 C,D의 좌표를 얻을 수 있다.
X
Y
C
1500011.294 + 0.022770005
≒ 1500011.317
500027.113 - 0.000529867
≒ 500027.1125
≒ 500027.112
D
1499983.624 - 0.01667905
≒ 1499983.607
500025.444 - 0.010055781
≒ 500025.4339
≒ 500025.434
X
Y
A
1500000
500000
B
1500021.937
500000
C
1500011.317
500027.112
D
1499983.607
500025.434
8. 오차
문 제 점
해 결 방 안
측량 위치선정에 있어서 지반이 견고하지 못한 잔디밭을 선정
견고한 지반 (아스팔트 도로 등)을 선정하되 부득이한 경우 넓은 판을 받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
잔디밭에서 실습을 하다보니 측점이 나무에 가려 시준상 애로사항 발생
최소 삼각점을 선정할 때 수칙을 잘 숙지하고 각 점이 서로 잘 보이는 곳으로 삼각점을 선정
측표가 잔디밭속으로 파뭍혀서 찾는데 애로사항 발생
멀리서도 눈에 잘 띌 수 있는 물체를 사용하여 측표를 설치
(뒤에 흰종이를 갖다댔음)
구심과 정준의 부정확의 오차
측점을 이동하여 구심과 정준을 재조정할 때 보다 끈기있고, 신중한 측정자의 노력이 필요
내업시 계산실수로 인해 오차발생
정확히 계산을 하여 틀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평거리를 측정하지 않고
경사거리를 측정함
경사거리가 아닌 수평거리를 측정해야한다.
9. 고찰(문제점/해결방안)
1학기때부터 많은 기준점 측량을 했다.
트래버스, 삼각측량, 이번엔 삼변측량을 했다. 트래버스는 모든 거리와 각을 쟀다. 하지만 삼각측량에서는 최소한의 거리(기선)과 삼각점사이의 각도만을 쟀다.
이번에는 삼각점사이의 거리만을 재는 삼변측량이었다.
장비로는 토탈스테이션이었다. 정준과 구심을 맞추는 등의 기본 방법은 데오도라이트와 같았다. 이 장비는 데오도라이트보다 더 정밀한 기계였다. 정준과 구심이 맞춰지지 않으면 전원이 켜지지 않아서 데오도라이트때 눈짐작으로 구심과 정준을 맞춰서 나오는 오차를 조금 줄일 수 있는 좋은 장비다. 또한 거리를 재면서 저절로 햇빛에 의한 보정도 하기 때문에 데오도라이트때보다 훨씬 정밀한 측량을 할 수 있었다.
프리즘을 땅에 고정시키고 기계와 전자파를 이용한다. 허나 프리즘의 움직임과 기상조건의 변화(바람 등)으로 미세하지만 측정치가 약 0.001정도씩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측량장비를 이용할 때는 전자파의 모든 경로의 기상조건을 알아야하는데 그럴 수 없는 상황으로 어쩔 수 없었던 오차같다.
측점간의 거리를 잴 때 최소거리인 수평거리를 재야한다. 하지만 잔디밭에서 재었고 평평한 바닥이 아니었기 때문에 수평거리로 환산하여 계산해야했지만 그러지 못하였다.
관측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을 했다. 많은 계산과 소수점들의 오차 때문에 또 계산실수로 인해 많은 오차들이 발생했을 것이다.
수천만원이 나가는 장비를 직접 다뤄볼 수 있다는 실습에 감동받았다. 다음주엔 기준점측량의 마지막으로 GPS측량을 한다. 또 어떤 점이 다른가, 실습방법이나 내업방법등을 공부하여 더 효율적인 측량을 해야겠다.
10. 참고문헌
측량정보공학 조규정 저 P355~374
(AD)
327° 14′ 0.77″
(BC)
338° 33′59.96″
-(a2)
23° 38′ 44.53″
(CB)
158° 33′ 59.96″
(BD)
303° 35′ 16.24″
+(a7)
44° 2′ 53.79″
-(a5)
33° 35′16.25″
(CA)
202° 36′ 53.75″
(BA)
270°
(AC)
22° 36′ 53.75″
+(a4)
67° 23′ 6.25″
(AB)
90°
△ABD에서의 방위각은 삼각망이 반시계방향 배열이므로,
(AD) = (AB) -∠A , (BD) = (AD) - ∠B, (AB) = (BD) - ∠D
△ABC에서의 방위각은 삼각망이 시계방향이므로,
(BC) = (BA) - ∠B, (CA) = (CB) - ∠B, (AB) = (AC) - ∠A
▶ 좌표계산
측선
측정된 거리
방위각
X
Y
측점
A-D
30.258
327° 14′ 0.77″
1500000
500000
A
1499983.624
500025.444
D
B-D
45.992
303° 35′ 16.24″
1500021.937
500000
B
= 1500000 + 30.258*sin(327° 14′ 0.77″) = 1499983.624
= 500000 + 30.258*cos(327° 14′ 0.77″) = 500025.4440
측선
측정된 거리
방위각
X
Y
측점
B-C
29.126
338° 33′59.96″
1500000
500000
A
1500011.294
500027.113
C
C-A
29.371
202° 36′ 53.75″
1500021.937
500000
B
= 1500021.937 + 29.126*sin(338° 33′59.96″) = 1500011.294
= 500000 + 29.126*cos(338° 33′59.96″) = 500027.113
▶ 측선의 거리와 방위각
30.258
(AD)° = 327° 14′ 3.42″
29.371
(AC)° = 22° 36′ 51.53″
45.992
(BD)° =303° 35′ 18.55″
29.127
(BC)° = 338° 34′ 4.41″
27.720
(DC)° 86° 32′ 53.57″
측선
계산된 거리 °
초기 방위각 °
AD
30.258
30.258
327° 14′ 3.42″
AC
29.371
29.371
22° 36′ 51.53″
BD
45.992
45.992
303° 35′ 18.55″
BC
29.126
29.127
338° 34′ 4.41″
DC
27.767
27.721
86° 32′ 53.57″
▶ 관측방정식
0.54121224
-0.84090157
-0.38482896
-0.92312145
행렬 A는
그런데, 중량 행렬 W를 같은 값으로 가정했기 때문에 단위행렬 W를 상수 I행렬로 보게 되면 W가 제거되어 위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 할 수 있다.
이 값을 C, D의 초기 근사좌표에 더하면 최종적으로 조정된 C,D의 좌표를 얻을 수 있다.
X
Y
C
1500011.294 + 0.022770005
≒ 1500011.317
500027.113 - 0.000529867
≒ 500027.1125
≒ 500027.112
D
1499983.624 - 0.01667905
≒ 1499983.607
500025.444 - 0.010055781
≒ 500025.4339
≒ 500025.434
X
Y
A
1500000
500000
B
1500021.937
500000
C
1500011.317
500027.112
D
1499983.607
500025.434
8. 오차
문 제 점
해 결 방 안
측량 위치선정에 있어서 지반이 견고하지 못한 잔디밭을 선정
견고한 지반 (아스팔트 도로 등)을 선정하되 부득이한 경우 넓은 판을 받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
잔디밭에서 실습을 하다보니 측점이 나무에 가려 시준상 애로사항 발생
최소 삼각점을 선정할 때 수칙을 잘 숙지하고 각 점이 서로 잘 보이는 곳으로 삼각점을 선정
측표가 잔디밭속으로 파뭍혀서 찾는데 애로사항 발생
멀리서도 눈에 잘 띌 수 있는 물체를 사용하여 측표를 설치
(뒤에 흰종이를 갖다댔음)
구심과 정준의 부정확의 오차
측점을 이동하여 구심과 정준을 재조정할 때 보다 끈기있고, 신중한 측정자의 노력이 필요
내업시 계산실수로 인해 오차발생
정확히 계산을 하여 틀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평거리를 측정하지 않고
경사거리를 측정함
경사거리가 아닌 수평거리를 측정해야한다.
9. 고찰(문제점/해결방안)
1학기때부터 많은 기준점 측량을 했다.
트래버스, 삼각측량, 이번엔 삼변측량을 했다. 트래버스는 모든 거리와 각을 쟀다. 하지만 삼각측량에서는 최소한의 거리(기선)과 삼각점사이의 각도만을 쟀다.
이번에는 삼각점사이의 거리만을 재는 삼변측량이었다.
장비로는 토탈스테이션이었다. 정준과 구심을 맞추는 등의 기본 방법은 데오도라이트와 같았다. 이 장비는 데오도라이트보다 더 정밀한 기계였다. 정준과 구심이 맞춰지지 않으면 전원이 켜지지 않아서 데오도라이트때 눈짐작으로 구심과 정준을 맞춰서 나오는 오차를 조금 줄일 수 있는 좋은 장비다. 또한 거리를 재면서 저절로 햇빛에 의한 보정도 하기 때문에 데오도라이트때보다 훨씬 정밀한 측량을 할 수 있었다.
프리즘을 땅에 고정시키고 기계와 전자파를 이용한다. 허나 프리즘의 움직임과 기상조건의 변화(바람 등)으로 미세하지만 측정치가 약 0.001정도씩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측량장비를 이용할 때는 전자파의 모든 경로의 기상조건을 알아야하는데 그럴 수 없는 상황으로 어쩔 수 없었던 오차같다.
측점간의 거리를 잴 때 최소거리인 수평거리를 재야한다. 하지만 잔디밭에서 재었고 평평한 바닥이 아니었기 때문에 수평거리로 환산하여 계산해야했지만 그러지 못하였다.
관측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을 했다. 많은 계산과 소수점들의 오차 때문에 또 계산실수로 인해 많은 오차들이 발생했을 것이다.
수천만원이 나가는 장비를 직접 다뤄볼 수 있다는 실습에 감동받았다. 다음주엔 기준점측량의 마지막으로 GPS측량을 한다. 또 어떤 점이 다른가, 실습방법이나 내업방법등을 공부하여 더 효율적인 측량을 해야겠다.
10. 참고문헌
측량정보공학 조규정 저 P355~37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