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측량학실습 삼각측량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용측량학실습 삼각측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일자
2.실험제목
3.실습목적
4.측량장비
5.실습대상
6.실습내용
7.실습순서 및 방법
8.실습이론
9.결과
10.분석 및 고찰

본문내용

.06″ ÷ 4 = 1′50.52″
- (3)과(4)에는 1′50.52″씩 빼주고 (7)과(8)에는 1′50.52″씩 더해준다.
3. 변 방정식
= = 1.001635971
= = 0.001633298
=
0.905437399(1)+0.961984557(2)+1.151519446(3)+0.997308546(4)
+0.95828256(5)+0.908948972(6)+0.999131687(7)+1.149397362(8)
=8.032010529
=
= 41.94″
따라서 홀수각 (1),(3),(5),(7)에는 41.94″ 씩 빼주고, 짝수각 (2),(4),(6),(8)에는 41.94″씩 더해준다.
= = 1.000001525
최종적으로 = = 0.000001525
10. 분석 및 고찰
이번 측량은 데오도라이트를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하는 것이었다. 데오도라이트는 1학기 때 응용측량학실습을 하면서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장비였기 때문에 익숙했지만 사용법이 생각이 나지 않아 처음에는 헤매었다. 그래도 조교님의 설명을 듣고 A지점에 데오도라이트를 설치한 후 실험을 시작하였다. A와B점은 10m의 간격을 두고 지정하였고, C와D점은 임의로 지정하였다. A점에서 C와D점 사이의 각을 측정하였고, 그 다음 D와B점 사이의 각을 측정 하였다. 이 장비로 각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1학기 때도 해봤지만, 이렇게 알아서 각도가 측정되어 결과 값이 나오는 것을 보면서 또 한번 신기하게 느껴졌다. 한 각을 반복법을 이용하여 3번씩 측정 하였는데, 똑같은 각을 측정하는데도 불구하고 조금씩의 차이가 났다. 그래도 3번씩 측정한 각들이 많은 차이가 나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 오차가 그렇게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데오도라이트를 B,C,D 점으로 옮겨 가면서 똑같이 반복법을 이용하여 각을 측정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에 측정 값의 최확 값을 구하여 계산해 본 결과 359°54′47.42″ 가 나왔는데 결과 값으로는 어느정도 만족할만한 값이었다. 이정도의 오차는 예상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아무래도 사람이 직접 측량하다보니 정확 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환경 또한 정확한 값을 측정해 내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우리의 실험값의 오차가 발생한 이유를 생각해보자. 일단 오차는 정오차, 우연오차, 과대오차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오차의 특성에 따른 분류
· 정오차 : 물리학적 법칙에 따라서 일정하게 일어나는 오차. 보정의 대상
· 우연오차 : 오차의 원인도 크기도 알 수 없는, 모든 보정을 완료하고도 남아 있 는 오차. 조정의 대상
· 과대오차 : 관측자 또는 기록자의 실수에 의해 나타난 자료의 오류.
먼저 과대오차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첫 번째로 우리가 데오도라이트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아무래도 전문가가 아니다보니 정확하게 수평을 맞추지 못했을 것이다. 또한 각도를 측정하면서 정준과 구심이 변경되지 않도록 주의 깊게 실험을 하여야 하는데, 못을 찾는 과정에서 계속 장비를 건드리다 보니 각을 측정하는 도중에 정준과 구심이 변경되었을 수 있다. 그래도 최대한 장비가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며 측정하였다.
두번째로는 잔디밭에 못을 박아놔서 정확하게 못이 정중앙에 오기 힘들었을 뿐더러 사람이 직접 보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것은 똑같은 각을 3번 측정하는데 있어 차이가 나는 것을 보고도 알 수 있다. 그리고 똑같은 환경에서 값을 본다고 하더라도 사람마다 시각의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부분의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여러 사람이 돌아가면서 데오도라이트를 보고 각을 측정하는 대신에 한 사람이 계속해서 각을 측정해 나갔다. 이러면 아무래도 사람마다의 시각의 차이에서 나오는 오차는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데오도라이트로 못을 찾을 때 잔디 때문에 못이 정확히 보이지가 않았다. 그래서 못을 위로 조금 올린 적이 있는데 생각해보니 아무리 위로 올렸다고 해도 각도의 미세한 차이를 일으켰을거라고 생각 된다. 이런 부분에서 조금 더 세심하게 생각하고 행동해야겠다.
세 번째로는 실습 후반부로 가면서 시간이 부족해져서, 측정값을 빠른 시간에 확인 하고 넘어가는 부분이었다. 처음에는 한번 한번을 세심하게 측정하였는데 후반부에는 시간에 쫓기다 보니 처음만큼 집중해서 측정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러다 보니 데오도라이트의 정준을 정확하게 하지 못했던 부분과 못을 정중앙에 정확히 맞추지 않고 넘어가는 부분도 있었을 것이다. 또한 각을 측정해서 불러줄 때 잘못 불러주거나, 받아 적는 사람이 잘못 받아 적었을 수 있고, 실험이 끝난 후에 실험 값을 옮겨 적으면서 실수가 있었을 수 있다.
위에서 생각해봤듯이 과대오차 같은 경우에는 우리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서 발생하는 오차이기 때문에 조금만 세심하게 하면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부분이고 또한 반드시 이런 부분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음 정오차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물리학적의 법칙에 의해서 발생하는 오차이기 때문에, 이번 삼각측량에서 정오차를 생각해보면 장비나 못을 들 수 있겠다. 아무래도 이것 또한 미세하겠지만 온도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이 든다. 또한 실험 당시에 날씨가 더운 편이었기 때문에 조금이나마 실험 값에 반영을 했을 것이다.
우연오차 같은 경우에는 오차의 원인과 크기를 알 수 없는 오차이기 때문에 우리 실험 값에 큰 영향을 주었는지 아닌지 확인을 할 수 가 없다.
이렇게 정오차와 우리가 발생시키는 과대오차 등으로 인해서 오차가 발생하여 우리가 측정한 각의 합이 360°가 나오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무래도 정확하게 360°를 측정한다는 것도 힘들기 때문에 최대한 근접하게 값을 나오게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교님 말씀으로는 이번 삼각측량을 잘해야 뒤의 실습 또한 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셨다. 계속해서 삼각측량과 관련된 실습이라고 하셨는데, 이번 실습에서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 있었지만 다음 부터는 최대한 오차가 적게 나도록 특히 과대오차 같은 경우는 꼭 제거해야 할 오차이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주의하여 실습하도록 해야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1.19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