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경당 활동과 체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고구려의 성립과 교육 제도
1. 고구려의 성립
2. 교육제도

Ⅲ. 扃堂 활동과 체육 교육
1. 고구려 시대의 신체 활동
2. 扃堂의 활동

Ⅳ.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는 것으로 그 활동의 성격이 學射에 있었기 때문에 여타의 군사적 활동은 그다지 큰 비중을 두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만약 여타의 활동들이 존재하였더라도 射가 지니는 의미가 그들 활동들을 대변한 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며, 추가해서 앞에서 살펴보았던 다양한 활동들 역시 동시에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의 문제로는 堂이 지방에 위치하였기에 지방 행정 조직에 필요한 말단 관리 - 병사로서의 지위 포함 -를 기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상상해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태학의 관리 양성 기능이 중앙집권적 체제에서 고급 관리의 양성에 있다면 말단 관리를 양성해야 할 필요성을 충족시켜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풍속이 書籍을 사랑한다는 기사 자료로 미루어 볼 때, 모두를 관리로 임용한다기 보다는 고구려 사회의 교육열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이것이 고구려가 강토를 넓히고 자주적인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의 기초가 된 것이라 생각할 때, 堂에서의 學射는 고구려 시대에 필요한 인재의 육성과 관련하여 고대 체육 교육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며 그 목적은 현실적이며 실제적인 측면에 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고대 사회에서의 놀이 도구나 방법의 원시성을 감안해 볼 때, 堂에서의 習射 활동은 習射 자체의 군사적 효용성도 중요한 것이지만, 청소년들에게 신체 활동의 기회를 부여하고, 올바른 마음을 갖추게 하는 교육적 의미는 더욱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堂에서 활동 종목으로는 단지 활쏘기만 볼 수 있지만, 실제로는 Ⅲ장 1절에서 살펴본 내용들 가운데 현실 생활에 도움이 되는 종목들도 선택되어졌을 것이다. 고분 벽화의 내용은 무덤 주인공의 현실 생활을 가감없이 묘사한 것으로 볼 때, 고구려 시대 전반에 걸쳐 활발히 전개되었던 놀이나 활동들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것은 곧 일상 생활에서의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堂에서의 활동들을 유추할 수 있으며 그 내용들은 모두 실제적 성격을 지녔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국적 원형은 보다 현실적이고 실제적인데 있음을 생각한다면 현재의 체육교육과정도 고구려 堂의 활동에서 시사점을 얻어야 할 것이다. 체육 교육이라는 교육 현상을 위한 교육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보다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목적을 위한 교육으로서 목적 및 교육과정의 재검토가 있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 고구려의 堂이 추구한 교육적 인간상을 위한 신체 활동의 지향점을 현재로 비약시켜 적용할 수는 없는 문제이지만, 그들 활동의 교육적 의미 - 현실 생활과 유리되지 않는 실용적 교육 -를 상기한다면 우리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고구려인들의 교육 활동의 목적은 추상성에 있지 않고 구체성에 두고 있다는 점을 참고한다면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편에서는 보다 더 구체성 - 즐겁게 활동에 참여하며 스포츠를 배운다 -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Ⅳ. 결 론
이제까지 고구려 堂의 성격과 그 활동 내용 가운데 習射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어느 단체의 기능이 분화되지 않은 중앙집권적 고대 국가에서 堂 활동을 고찰하는 시각에 따라 ‘청년 집단의 유습’, ‘귀족군 보충을 위한 지방군 조직’, ‘사립 교육기관의 성격’ 등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사학이라는 교육기관으로서의 성격에 그 초점을 맞추었고, 그에 따라 堂의 習射 활동은 현실적 감각을 지닌 한국 고대 사회 체육 교육의 원형적 형식임을 확인하였다.
물론 현대와 같이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는 없었지만 高句麗 시대의 활발한 신체 할동 문화를 감안할 때 나름대로 뚜렷한 목적과 목표를 가지고 교육 활동을 전개하였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는 新羅의 화랑과 마찬가지의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삼국은 각기 국가 체제를 유지하였지만 국가에서 필요로하는 인재의 양성과 그 방법은 공통점을 지닌 것으로 파악되며 이는 한국 고대 사회 체육교육의 원형적 형식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Mechikoff, R. A. Estes, S. (1993). A History and Philosophy of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Madison, Wisconsin : WCB Brown & Benchmark.
Vandalen, D. B. Bennett, B. (1971). A World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Englewood Cliffs, New Jersey : Prentice-Hall, Inc.
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 편 (1990). 한국 교과교육과정의 변천.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달우 (1992). 해방이후 학교체육의 재편 및 정착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부식, 이병도(역) (1982). 삼국사기. 서울 : 을유문화사.
김용환 등 (1992). 제6차 교육과정 각론 개정 연구 초중고등학교 체육과.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류삼태, 김용환 (1986). 제5차 초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시안 연구 개발.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문교부 편 (1988).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체육과. 서울 : 보경문화사.
三品彰英, 이원호(역) (1995). 신라 화랑의 연구. 서울 : 집문당.
손인수 (1989). 한국교육사상사Ⅲ. 서울 : 문음사.
(1985). 교육사 교육철학 연구. 서울 : 문음사.
신천식, 차석기 (1986). 한국교육사연구. 서울 : 재동문화사.
유봉호 (1992). 한국교육과정사 연구. 서울 : 교학연구사.
이기백 (1967). 고구려의 경당. 역사학보 35, 36 합집.
이기백 (1983). 한국사 신론. 서울 : 일조각.
이민수 역 (1981). 조선전. 서울 : 탐구당.
이진수 등 (1994). 한국체육사. 서울 : 지식산업사.
이홍직 (1982). 국사대사전. 서울 : 한국출판사.
정창렬 등 (1984). 세계사년표. 서울 : 역민사.
진단학회 (1981). 한국사 고대편, 서울 : 을유문화사.
최무장, 임연철 (1992). 고구려 벽화고문. 서울 : 신서원.
한기언 (1983). 한국교육사. 서울 : 박영사.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3.07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8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