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과학 교육의 “필요성” -
- 과학 교육의 “목표” -
1. 초등과학의 학습지도
1) 과학의 방법
(1) 과학 탐구의 과정
(2) 과정기술(Process skill)
2) 초등학생의 지적수준
(1) 각 사고의 특색
(2) 논리검사(=Piaget 검사)
(3) 지적성장과 과학교육
3) 초등과학의 학습지도의 수업모형
(1) 탐구과정 수업
(2) 발달단계를 고려한 수업
(3) 순환학습 모형
※ 교과서 내용
1. 지구개념의 단원 틀 (7차에선 모두 16단원임)
* 날씨관련 단원
* 땅과 관련된 내용
* 지구와 관련된 내용
2. 날씨의 변화
1) 시정(Visibility)
2) 기온
(1) 기온의 관측
(2) 기온의 변화
(3) 기온 변화의 원인
3) 구름
(1) 운량
(2) 구름의 생성
4) 바람
(1) 풍향
(2) 풍속
- 과학 교육의 “목표” -
1. 초등과학의 학습지도
1) 과학의 방법
(1) 과학 탐구의 과정
(2) 과정기술(Process skill)
2) 초등학생의 지적수준
(1) 각 사고의 특색
(2) 논리검사(=Piaget 검사)
(3) 지적성장과 과학교육
3) 초등과학의 학습지도의 수업모형
(1) 탐구과정 수업
(2) 발달단계를 고려한 수업
(3) 순환학습 모형
※ 교과서 내용
1. 지구개념의 단원 틀 (7차에선 모두 16단원임)
* 날씨관련 단원
* 땅과 관련된 내용
* 지구와 관련된 내용
2. 날씨의 변화
1) 시정(Visibility)
2) 기온
(1) 기온의 관측
(2) 기온의 변화
(3) 기온 변화의 원인
3) 구름
(1) 운량
(2) 구름의 생성
4) 바람
(1) 풍향
(2) 풍속
본문내용
과, 시간이나 장소에 따라 온도가 변하는 사실도 지도한다.)
(2) 기온의 변화 (기온은 시간, 장소에 따라 다 달라짐)
① ‘높이’에 따른 변화
: 대류권(15도~-56.5도)/ 성층권(-56.5도~0도)/ 중간권(0도~-90도)/ 열권(-90도~1000도)
(열권과 성층권은 온도만 높을뿐 열이 그리 많지 않으며, 햇빛을 흡수하므로 위의 온도가 높은 것이다. 또한 대류권은 위가 저온이고 아래가 고온이므로 대류가 가능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이 안에서만 구름이 생기며 비가 내린다. 그 위층은 날씨 변화가 없다.)
② ‘시간’에 따른 변화
(지상기온 : 지면에서 1.2~1.5m인 그늘의 온도)(이 조건에 맞게 지상기온 관측을 위해 만든 것이 ‘백엽상’임. 온도,습도 정도를 잴 수 있다.)
(지상기온의 일변화 - 일최저 기온은 해가 뜬 후 1시간 안에 올라가고, 일최고 기온은 남중 후 3시간쯤 뒤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차이를 ‘일교차’라 한다. )
(받는열(태양열)과 나가는열(지면열)을 생각해야함.)
(3) 기온 변화의 원인 (고기압,저기압의 영향에 따라...)
① 규칙적 변화 - 일변화, 연변화 :
태양열(지면을 가열해 지면온도를 높이는것), 지면복사(대기의 온도를 높임)와 관계됨.
② 갑자기 변화 - 어제보다 10도씨 정도 차이가 나는 경우...
공기의 이동(이류)과 관련됨.(즉, 어떤 고기압이 오느냐에 따라 달라짐.)
(ex: 찬공기가 오는 경우 : “한파”, / 더운 공기가 오는 경우 : “열파”)
3) 구름
: 상층의 바람에 따라 이동하며, 하늘에 물방울이나 얼음이 모여서 떠 있는 것.
(1) 운량 (전체 하늘에서 구름이 가린 부분, 차폐량(sky cover)) (보통 10분수로 나타냄)
* 0~2 : 맑음
* 3~7 : 개임 (3~5 - 구름다소, / 5~7 - 구름많음)
* 8~10 : 흐림
(그 외에 8분수나 기호를 쓰기도 함 - 노트 2권 참조!)
(2) 구름의 생성
( 공기가 상승
기압이 낮아지면서 팽창
기온이 낮아짐
습도가 높아짐
포화에 달함
응결해서 구름생성
구름이 발달해서 두꺼워짐(빗방울생김)
빗방울이 많아지면 비가 오는 것)
① 어떤 지역의 가열 (그 지역의 온도가 상승하여 구름(대류운)생성)
② 지형 : 공기가 이동하여 높은 산에 올라가 공기가 팽창되어 구름 생성
③ 저기압(기압이 낮은것) : 따라서 이것을 메우고자 공기가 사방에서 들어옴.
전선 (찬 공기와 더운 공기가 부딪히는 것)
4) 바람
(공기의 이동 - 수평적 이동하는 바람과 수직적 이동하는 기류가 있는데, 상승기류와 하강기류 때문에 구름이 생성되는 것이다. 대체로 바람(수평)은 강하고 기류(수직)는 약함.)
(1) 풍향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
: 각도(0~360도)/ 방위(8방)
(2) 풍속 (바람의 속도 : m/s로 나타내기도 하고, kts(노트)로 나타내기도 함.)
:0~0m/s (바람이 없다.)
0~2.0m/s (바람약함)
2.1~5.0m/s(중간바람)
5.1~10m/s(강한바람) - 이것은 육지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음.)
(2) 기온의 변화 (기온은 시간, 장소에 따라 다 달라짐)
① ‘높이’에 따른 변화
: 대류권(15도~-56.5도)/ 성층권(-56.5도~0도)/ 중간권(0도~-90도)/ 열권(-90도~1000도)
(열권과 성층권은 온도만 높을뿐 열이 그리 많지 않으며, 햇빛을 흡수하므로 위의 온도가 높은 것이다. 또한 대류권은 위가 저온이고 아래가 고온이므로 대류가 가능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이 안에서만 구름이 생기며 비가 내린다. 그 위층은 날씨 변화가 없다.)
② ‘시간’에 따른 변화
(지상기온 : 지면에서 1.2~1.5m인 그늘의 온도)(이 조건에 맞게 지상기온 관측을 위해 만든 것이 ‘백엽상’임. 온도,습도 정도를 잴 수 있다.)
(지상기온의 일변화 - 일최저 기온은 해가 뜬 후 1시간 안에 올라가고, 일최고 기온은 남중 후 3시간쯤 뒤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차이를 ‘일교차’라 한다. )
(받는열(태양열)과 나가는열(지면열)을 생각해야함.)
(3) 기온 변화의 원인 (고기압,저기압의 영향에 따라...)
① 규칙적 변화 - 일변화, 연변화 :
태양열(지면을 가열해 지면온도를 높이는것), 지면복사(대기의 온도를 높임)와 관계됨.
② 갑자기 변화 - 어제보다 10도씨 정도 차이가 나는 경우...
공기의 이동(이류)과 관련됨.(즉, 어떤 고기압이 오느냐에 따라 달라짐.)
(ex: 찬공기가 오는 경우 : “한파”, / 더운 공기가 오는 경우 : “열파”)
3) 구름
: 상층의 바람에 따라 이동하며, 하늘에 물방울이나 얼음이 모여서 떠 있는 것.
(1) 운량 (전체 하늘에서 구름이 가린 부분, 차폐량(sky cover)) (보통 10분수로 나타냄)
* 0~2 : 맑음
* 3~7 : 개임 (3~5 - 구름다소, / 5~7 - 구름많음)
* 8~10 : 흐림
(그 외에 8분수나 기호를 쓰기도 함 - 노트 2권 참조!)
(2) 구름의 생성
( 공기가 상승
기압이 낮아지면서 팽창
기온이 낮아짐
습도가 높아짐
포화에 달함
응결해서 구름생성
구름이 발달해서 두꺼워짐(빗방울생김)
빗방울이 많아지면 비가 오는 것)
① 어떤 지역의 가열 (그 지역의 온도가 상승하여 구름(대류운)생성)
② 지형 : 공기가 이동하여 높은 산에 올라가 공기가 팽창되어 구름 생성
③ 저기압(기압이 낮은것) : 따라서 이것을 메우고자 공기가 사방에서 들어옴.
전선 (찬 공기와 더운 공기가 부딪히는 것)
4) 바람
(공기의 이동 - 수평적 이동하는 바람과 수직적 이동하는 기류가 있는데, 상승기류와 하강기류 때문에 구름이 생성되는 것이다. 대체로 바람(수평)은 강하고 기류(수직)는 약함.)
(1) 풍향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
: 각도(0~360도)/ 방위(8방)
(2) 풍속 (바람의 속도 : m/s로 나타내기도 하고, kts(노트)로 나타내기도 함.)
:0~0m/s (바람이 없다.)
0~2.0m/s (바람약함)
2.1~5.0m/s(중간바람)
5.1~10m/s(강한바람) - 이것은 육지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음.)
추천자료
과학탐구 - 봉선화
초등과학교육 - 과학탐구 토론대회 발표자료
지구과학황사
지구과학 정리
과학-탐구활동
[지구과학] 지구의 역사 - 지질시대별 생물상의 변화
[화산][화산대][화산활동][화산분출][화산지형][화산재해][종상화산][지구과학][활화산][화산...
[지구과학] 다큐멘터리 지구온난화 6도의 악몽 을 본후 - 지구환경을 지키기 위해서 실천해야...
[융합과학 자료 정리] 우주의 기원 - 02.지구과학 {빛의 구분, 연속 스펙트럼과 선 스펙트럼,...
2005학년도 중등임용 답안(지구과학)
2006학년도 중등임용 답안(지구과학)
2013학년도 중등임용 답안(지구과학)
2014학년도 중등임용 답안(지구과학)
2014학년도 중등임용 답안(지구과학) - 전공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