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열풍의 가치와 나아가야 할 방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류열풍의 가치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류열풍은 무엇인가?

2. 한류열풍이 시작된 이유?

3. 중국에서의 한류열풍

4. 일본에서의 한류열풍

5. 중동(이란)에서의 한류 전망

6.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삼성전자가 안재욱을 CF모델로 기용했는데, 그 결과 중국 LCD시장에서 삼성전자가 필립스를 제치고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한 바 있고, '모델'의 주인공 김남주를 CF 모델로 기용한 LG드봉은 베트남에서 세계적인 화장품 그룹 랑콤을 제치고 시장점유율 70%이상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그리고 '겨울연가'와 '대장금'을 봐서 알 수 있듯이 이 드라마를 보고 한국을 찾아온 관광객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덕분에 춘천시나 용평스키장 등 드라마의 배경이 됐던 지역경제가 이들 관광객 덕분에 살아나고 있다.
이러한 한류가 계속해서 사랑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클론, HOT, 겨울연가, 대장금, 리니지와 같은 우수한 국산 문화콘텐츠가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 우리들 스스로 우리가 만든 문화콘텐츠를 많이 사랑해주고 아껴주면, 그것을 바탕으로 해외에서도 경쟁력을 갖고 진출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말할 필요도 없이 한류는 일시적인 유행, 돌풍, 물결이 아니라, 한국문화로 거듭나야 한다. 국내외의 ‘생각하는사람’ 들이 한류를 불안하게·위태롭게·초조하게 바라보는 이유를 우리는 진지하게 재검토해야 한다. 한류는 대중문화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공유하고있고, 상대국에는 언제나‘문화침식’의 거부반응을 일으킬 소지를 안겨주고 있기 때문이다. 보편성과 동시에 우리의 전통적 요소와 정신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한국적 개성을 살리는데 창조적으로 기여해야 할 것이다. 품질관리 없이 한류의 연속성을 기대하는 건 헛꿈이다. 한류는 이제 대중문화의 수준을 넘어 동아시아의 문명 정신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3.11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