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서론
1)스토킹이란
본론
1)스토킹의 유형과 수법
2)스토킹의 피해실태
결론
1)스토킹의 예방수칙
2)대처방안
서론
1)스토킹이란
본론
1)스토킹의 유형과 수법
2)스토킹의 피해실태
결론
1)스토킹의 예방수칙
2)대처방안
본문내용
공안
하고, 피해자의 신변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2)일반적 대처방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처음부터 단호하게 거절해야 한다는 것이다. 긴 이야기도 필요없 다고 딱 잘라서서 말해야 한다. 만나서 설득한다는 것은 오히려 위험을 조장한다. 전화 가 와도 간단히 끝내야 한다. 경찰에 고발하겠다는니 하는 협박은 안 통한다. 스토커는 그런 형태로라도 좋아하는 사람과 이야기하는데 쾌감을 갖기 때문이다.
딱 잘라 말하되 그런 경우에도 혼자보다 믿을 만한 제3자를 동반하는게 효과적이다. 부 모나 가족, 친구 혹은 전문 기관의 상담자등과 의논하는 것이 먼저다. 의외로 자신이 생각 못하는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수 있다.
이사를 하거나 전화번호를 바꾸어 보는 것도 방법이다. 도시의 젊은 독신여성이 표적이
되는 수가 많으므로 친구와 함께 사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조심해야 될 것은 만용을 부려선 안된다는 것이다. 혼자서 해결하기 위해 지정하는 장 소에 가는 건 위험하다. 자존심이 상하거나 거절의 뜻이 확실하다 싶으면 순간적으로 격조, 폭행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요즘 시판되고 있는 치한 방지용 기구들도 유용 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기연예인들 중 스토킹의 피해를 호소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스토킹 피해가 일부 스타나 저명인사에 그치지 않고 일반인에게도 나타 나는데 있다.
지금까지는 경찰에 도움을 요청해도 <사생활>이라는 이유로 소홀히 넘겨왔는데 갈수 록 문제가 심각해져가고 고소까지 하게된 사례를 보면 최소한의 법적 조치를 취하더라 도 스토킹이 범죄행위라는 사실을 가르쳐 줄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처럼 스토킹 방지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강북 삼성병원 신영철 교수는 “스토커를 방치하면 결국 폭행이나 심하면 살인에 이르는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므로, 현재 직접적인 피해가 없더라도 반드시 격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은 ‘스토킹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에서 “스토킹 행위자 에 대한 처벌규정을 만드는 한편, 경고나 금지명령 등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근거와 함께 성격장애자에 대해서는 상담과 치료조치를 강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피해 자에 대한 보호나 원조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법 제정보다 더 중요한 것은 스토킹을 범죄로 여기는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스토킹이 벌어지면 대개 ‘쫓아 다닐 만한 짓을 했
겠지’라는 식으로 생각한다. 이것은 스토킹의 피해자가 스토킹의 원인을 제공했을 것 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확산되게 한다. 우리는 스토킹 사건을 피해자의 중심으로 봐야 하며 스토킹은 피해자가 일방적으로 당하는 범죄이므로 공개적으로 대책을 찾아야 한다 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상철, 「생활안전과 보디가드」2004년2학기 3주차 강의자료
박철현·이상용·진수명,2000. 「스토킹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한국형사정책연구원
김소희, 2001년 6월27일 한겨레신문
http://www.sisters.or.kr/
하고, 피해자의 신변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2)일반적 대처방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처음부터 단호하게 거절해야 한다는 것이다. 긴 이야기도 필요없 다고 딱 잘라서서 말해야 한다. 만나서 설득한다는 것은 오히려 위험을 조장한다. 전화 가 와도 간단히 끝내야 한다. 경찰에 고발하겠다는니 하는 협박은 안 통한다. 스토커는 그런 형태로라도 좋아하는 사람과 이야기하는데 쾌감을 갖기 때문이다.
딱 잘라 말하되 그런 경우에도 혼자보다 믿을 만한 제3자를 동반하는게 효과적이다. 부 모나 가족, 친구 혹은 전문 기관의 상담자등과 의논하는 것이 먼저다. 의외로 자신이 생각 못하는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수 있다.
이사를 하거나 전화번호를 바꾸어 보는 것도 방법이다. 도시의 젊은 독신여성이 표적이
되는 수가 많으므로 친구와 함께 사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조심해야 될 것은 만용을 부려선 안된다는 것이다. 혼자서 해결하기 위해 지정하는 장 소에 가는 건 위험하다. 자존심이 상하거나 거절의 뜻이 확실하다 싶으면 순간적으로 격조, 폭행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요즘 시판되고 있는 치한 방지용 기구들도 유용 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기연예인들 중 스토킹의 피해를 호소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스토킹 피해가 일부 스타나 저명인사에 그치지 않고 일반인에게도 나타 나는데 있다.
지금까지는 경찰에 도움을 요청해도 <사생활>이라는 이유로 소홀히 넘겨왔는데 갈수 록 문제가 심각해져가고 고소까지 하게된 사례를 보면 최소한의 법적 조치를 취하더라 도 스토킹이 범죄행위라는 사실을 가르쳐 줄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처럼 스토킹 방지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강북 삼성병원 신영철 교수는 “스토커를 방치하면 결국 폭행이나 심하면 살인에 이르는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므로, 현재 직접적인 피해가 없더라도 반드시 격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은 ‘스토킹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에서 “스토킹 행위자 에 대한 처벌규정을 만드는 한편, 경고나 금지명령 등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근거와 함께 성격장애자에 대해서는 상담과 치료조치를 강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피해 자에 대한 보호나 원조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법 제정보다 더 중요한 것은 스토킹을 범죄로 여기는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스토킹이 벌어지면 대개 ‘쫓아 다닐 만한 짓을 했
겠지’라는 식으로 생각한다. 이것은 스토킹의 피해자가 스토킹의 원인을 제공했을 것 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확산되게 한다. 우리는 스토킹 사건을 피해자의 중심으로 봐야 하며 스토킹은 피해자가 일방적으로 당하는 범죄이므로 공개적으로 대책을 찾아야 한다 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상철, 「생활안전과 보디가드」2004년2학기 3주차 강의자료
박철현·이상용·진수명,2000. 「스토킹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한국형사정책연구원
김소희, 2001년 6월27일 한겨레신문
http://www.sisters.or.kr/
추천자료
과학교육,당면과제 및 대처방안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와 지역사회의 대처방안
조승희 사건의 문제점, 대처방안, 보안할점
FTA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방안
노인학대의 원인과 유형 그리고 대처방안
사회복지론) 성폭력의 실태와 대처방안에 관하여...
알코올중독증에 관한 증상 및 대처방안
온난화의 원인과 피해사례 및 대처방안
청소년의 인터넷 및 게임중독의 원인과 대처방안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현대인의 구체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다양한 대처방안을 강의안과 실제적인 근거를 통해 규명...
스트레스의 개념과 원인, 증상과 대처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현대인의 구체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다양한 대처방안을 강의안과 실제적인 근거를 통해 규명...
스트레스에 대한 질문지와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설명.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