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 1 차 인클로저 운동
1) 영국 제1차 인클로저 운동의 경과
2) 인클로저 운동과 농민봉기
2. 제 2 차 인클로저 운동
1) 농지정리사업과 제2차 인클로저
2) 영세 소농층의 몰락
1) 영국 제1차 인클로저 운동의 경과
2) 인클로저 운동과 농민봉기
2. 제 2 차 인클로저 운동
1) 농지정리사업과 제2차 인클로저
2) 영세 소농층의 몰락
본문내용
백했다. 그렇게 발생한 수많은 농촌과잉 인구는 도시로 흘러 들어가 한창 팽창 중이던 공업에 값싸고 풍부한 노동력이 되어 주었다. 이러한 농업제도의 혁명적 변화는 농업생산력을 비약적으로 상승시켰다. 농업에서 대경영과 기계화가 이루어졌다. 더 적은 농촌인구가 더 많은 사람과 산업에 식량과 원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1870년에는 영국 전체 인구의 4%에 불과한 농업인구가 전인구의 80%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식량을 생산하고 있었다.
인클로저, 다시 말해서 농민추방을 수반하는 농지제도의 개혁은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한 과정을 겪었다. 다만 영국에서 가장 선명하고도 전형적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에 영국이 주가 되었다. 토지의 배타적 사유화, 공유지의 수탈, 프롤레타리아의 창출 등은,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자본주의가 발생한 곳이라면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는 현상인 것이다. 아무튼 인클로저에 의해서 중소농(中小農)들은 몰락의 길을 걸어 농업 노동자가 되었고, 또는 농촌을 떠나 공업 노동자가 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영국에서는 지주농업자본가농업노동자의 세 계급에서 이른바 삼분할제(三分割制)가 18세기 후반 이후 점차 모습을 나타내어 19세기 중엽에 확립되었다.
인클로저, 다시 말해서 농민추방을 수반하는 농지제도의 개혁은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한 과정을 겪었다. 다만 영국에서 가장 선명하고도 전형적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에 영국이 주가 되었다. 토지의 배타적 사유화, 공유지의 수탈, 프롤레타리아의 창출 등은,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자본주의가 발생한 곳이라면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는 현상인 것이다. 아무튼 인클로저에 의해서 중소농(中小農)들은 몰락의 길을 걸어 농업 노동자가 되었고, 또는 농촌을 떠나 공업 노동자가 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영국에서는 지주농업자본가농업노동자의 세 계급에서 이른바 삼분할제(三分割制)가 18세기 후반 이후 점차 모습을 나타내어 19세기 중엽에 확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