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급성장염과 관련된 사례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협심증, 급성장염과 관련된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협심증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위험인자
4) 증상 및 징후
5) 진단적 검사
6) 치료
7) 보충설명 - 약물요법
8) 간호

2. 급성장염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위험인자
4) 증상 및 징후
5) 진단적 검사
6) 치료
7) 보충설명 - 약물요법
8) 간호

3.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소개
2) 진단 및 간호과정
- 사정
- 목표
- 계획
- 수행
- 평가

본문내용

mm/hr
H
2) 응급생화학 검사
결과
정상치
RPD
LDH
693
232∼410U/L
H
CPK
326
38∼176U/L
H
K
2.9
3.4∼5.2mEq/l
L
CK - MB
11.5
∼5.0ng/ml
H
3) 혈청학 검사
결과
정상치
RPD
CRP
10.55
∼0.5mg/dl
H
4) Widal test - normal
5) 대변검사 - salmonella group-b
** LDH - 락트산탈수소효소
거의 모든 조직의 세포질에서 발견되는 효소이며, 심근경색증과 근이여양증이 있을 때 나타나는 혈중지표 중 하나이다. 심근세포의 괴사가 발생한 지 12 ∼ 18 시간 후에 일반적으로 혈청 락트산탈수소효소가 상승한다.
** CRP - C 반응단백
다양한 급성 염증과 괴사시 혈청에서 검출된다. CRP는 적혈구 침강 속도가 상승하기 전에 혈청에서 나타나며, 주로 염증 발생 24∼48시간 내에 나타난다. 심근경색 후 24시간 내에 나타나며 3일 후 감소하기 시작하고 2주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박테리아성 감염과 넓게 퍼진 종양성 질환도 혈청의 CRP와 관련이 있고 류머티스 활동의 가장 민감한 지침이기도 하다. 염증 과정이 살리실산염, 스테로이드로 억제될 때 CRP가 사라진다.
** CPK - 크레아틴 인산 효소 → CK라고도 한다.
CPK 동위효소는 MB-CPK이며, 심손상의 진단적 단서가 된다.
질병과 관련된 설사
사정
목표
계획
수행
평가
S. DATA : "내가 마 설사때매 미치겠다."
"설사때매 이 병원 왔다아이가"
"맨날 살만 빠지는 것 같고 힘도 음따."
O. DATA :
① 7년전 장꼬인 적이 있다.
② 4∼5회/day 로 설사를 한다.
③ 피부가 탄력성이 없고 거칠며 늘어져 있다.
④ 작은 설사로 인해 항문 주위가 헐어 있다.
⑤ 잦은 설사로 인해 체중이 4kg 감소하였다.
⑥ 청진기 상에 장음이 들린다.
⑦ electrolyte 4/28
k : 2.9
장기 목표 : 대상자는 질병이 완화되어 설사의 증상이 없어진다.
단기 목표 :
① 대상자는 정상적인 변을 본다.
② 대상자의 체중감소가 없다.
③ 대상자의 피부상태가 완전하다.
④ 대상자는 설사의 원인을 안다.
⑤ 항문주위의 청결이 중요함을 안다.
⑥ 정상적 electrolyte을 유지한다.
① 대상자의 배변 양상을 사정한다.
② 설사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한다.
③ 1번/day 이상 장음을 청진한다.
④ I/O를 사정한다.
⑤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⑥ 체중을 측정하게 하고 이것을 기록한다.
⑦ 대상자가 설사가 있을 때마다 간호사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⑧ 대상자에게 설사의 원인을 교육한다.
⑨ 항문주위의 청결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⑩ 필요시 로션이나 분말을 제공한다.
⑪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매일 300cc정도의 음료수를 천천히 마시게 한다.
⑫ 설사가 계속 될 때 본인이 할 수 있는 간호법을 교육한다.
⑬ KCl을 투여한다.
①∼⑨ 수행함
⑩ 수행하지 못하였다.
① 대상자는 5월 2일부터 설사를 하지 않았다.
② electrolyte 4/28 k : 2.9
→ k : 3.9
③ 대상자의 체중에는 더 이상의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입원 당시 39kg이었던 것이 계속 유지되고 있다.
④ 헐어 있는 항문 주위가 어느 정도 호전되었고 계속적인 관리를 해야함을 인식한다고 말하였다.
통증조절과 위험요인 조절에 대한 지식결여
사정
목표
계획
수행
평가
S. DATA : "가슴이 마 긁는 것 같다."
"어떻게 해야 되노"
"마 금방 없어질 것 같아 참았드만 이래되따아이가"
O. DATA :

① chest pain으로 응급으로 입원을 하였다.
② NTG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다.
③ 담배는 하루에 1/4갑씩 30년을 피어오심.
장기 목표 : 대상자는 질병관련 통증조절법과 위험요인을 알고 수행한다.
단기 목표 :
① 대상자는 Agina에 대해 알고 설명할 수 있다.
② 대상자는 Agina의 위험요인에 대해 알고 조절할 수 있다.
③ 흉통발생 시 대처법을 알고 수행할 수 있다.
④ 입원기간동안 새로운 건강관련행위를 할 수 있다.
① 대상자의 지식정도를 사정하여 교육할 내용을 선정한다.
② 대상자에게 Agina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하도록 한다.
③ Agina의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새로운 건강관리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흡연을 중단하게 하고 흡연시 Carboxy hemoglobin이 증가하여 심근에 공급되는 산소의 양이 줄어든다는 것을 교육하고 간접흡연도 피하게 한다.
④ 흉통발생시 니트로글로세린 자가투여법을 교육한다.
⑤ 현재 투여되고 있는 약에 대해 설명하고 투여 시 부작용을 관찰한다.
⑥ 가족들의 참여도를 높여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① 대상자의 보호자(자녀)는 질병에 대한 정보를 알고는 있으나 흉통 발생시 대처법에 능숙하지 못하였고, 대상자는 질병에 대한 지식수준이 매우 낮았다.
② 우선 Agina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 뒤 대상자의 위험요인 중 금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켰다.
-흡연을 중단하게 하고 흡연시 Carboxy hemoglobin이 증가하여 심근에 공급되는 산소의 양이 줄어든다는 것을 교육하고 간접흡연도 피하게 하였다.
③-1) 흉통발생시 니트로글리세린을 즉시 혀 밑에 넣고 녹이고 침을 잠시 삼키지 않아야 한다. -2) 5-10분마다 반복사용가능하고 3번정도 사용해서 효과없을시 가까운 병원으로 바로 간다. -3) 흉통을 다시 경험할 것이 예측되면 미리 니트로글리세린을 혀 밑에 넣는다. -4) 니트로글리세린은 중독성이 없다. 는 것을 교육하였다.
④ 현재 투여되고 있는 혈전용해제에 대해 설명하고 투여 시 부작용을 관찰하였다.
⑤ 가족들의 참여도가 중요함을 인식시켰다.
① 대상자는 Agina에 대해 이해한다고 말하였다.
② 대상자는 위험요인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였다고 말하였다.
③ 흉통발생시 니트로글리세린 자가투여법에 대해 이해하였다고 말하였다.
④ 대상자와 가족에게 통증조절법과 위험요인에 대해 말하도록 하여 설명하게 하였다.
⑤ 혈전용해제에 대해 설명은 하였으나 이해는 못하셨다.
⑥ 혈전 용해제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3.15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7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