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여성 광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광고 개념

Ⅱ. 20-30대 광고

III. 20-30대 여성중심 광고의 특성

IV. 결론

본문내용

다 보니 사회 전반적인 소비심리가 위축해도 영향을 받지 않고 소비하고 있다. 또한 20대의 구매력 증가는 디지털 중심의 소비문화가 날로 발달하고 브랜드들도 그들의 소비성향에 맞추어 제품을 출시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점차 소비문화가 20대 중심으로 확산되고 상품의 주요 표적도 20대로 이동하고 있어 배과점들도 20대의 소비성향에 맞는 상품 매장을 늘릴 예정이다.
요즘 서울 유명 백화점에는 젊은 여성들이 붐비고 있으며 이들은 루이뷔통 핸드백에서부터 최고 3천만 원에 이르는 불가리 보석반지 등 고가의 수입명품을 망설이지 않고 구매하고 있다. 부유층이 단골이었던 명품관에서도 젊은 층 직장 여성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있다. 20~30대 젊은 여성들은 유명 백화점 명품관을 찾고 있으며, 사회초년 직장인들도 거리낌 없이 1백만~2백만 짜리 명품을 할부로 구매하고 있다. 강남의 직장 여성 가운데는 일본처럼 ‘명품계’를 만들어 명품관에서 고액의 제품을 구매하고 있는 경우가 늘고 있다. 40~50대가 경기부진에 따라 명품 구매를 줄이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현대백화점 본점의 경우 30대의 명품구매 비중(10월말기준)이 28.7%로 타 연령층에 비해 높다. 20대 명품구매 비중도 1998년 13.6%에서 1999년 16.1%로 상승하고 있으며, 올해도 또 다시 20.8%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30대 직장 여성층이 버는 것 이상으로 소비가 커 불황을 모르고 ‘바잉 파워(Buying Power)'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어 명품관에서도 중장년층 여성을 제압하고 있다.
이처럼 20대 여성들의 구매력이 상승하고 있는 것은 자기 과시와 만족을 인생의 가치로 삼고 있어 소득에 비해 씀씀이가 커지고 있다. 또한 백화점들은 이러한 20대 여성들의 소비성향을 파악하여 주요 타겟으로 삼아 매장을 영캐주얼 위주로 개편하는 등의 마케팅 전략도 큰 효과를 내고 있다.
따라서 서울 유명 백화점에서의 20대 구매력 증가는 지방 백화점뿐만 아니라 대형 할인점, 홈쇼핑 등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30대가 백화점의 주 고객이지만 앞으로 20대의 구매력이 예상보다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보아 20대를 겨냥한 상품 취급과 매장의 새로운 촉진 전략이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본다.
IV. 결론
결론적으로, 즉 개혁, 진보적인 10대의 성향이 시간이 흐르면서 서서히 안정, 보수적인 성향으로 바뀌어 가는 과정에 20대는 놓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성향은 20대 후반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10대나 30대와 같이 상대적인 동질성이 강한 연령별 집단과는 달리 20대는 동질적이면서도 이질적인 라이프스타일 특질을 가지고 있어 나름대로의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인 여가활동도 즐기는 20대는 시대의 요구인 인터넷의 중심에 서서 또 하나의 발전의 원동이 된다. 하지만 30대는 결정적 소비자들의 계층으로서 그들의 구매력 또한 무시할 것이 되지 못한다. 주소비자 층은 20대 그리고 30대에 속해있다. 따라서 광고들은 광고의 목표를 충족하고자 20대와 30대를 노리는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3.14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