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암각화
2.목관묘
3.석가모니사상
2.목관묘
3.석가모니사상
본문내용
의 고분도 같은 형식이며, 그것은 경주 조양동고분(3세기경)같이 원삼국시대로 계승되고, 경주의 고신라시대 돌무지덧널무덤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낙동강유역에도 덧널무덤으로서 유구가 잘 남아 있는 의창 다호리 1호무덤이 있다. 다호리무덤의 경우 부장품 중에 세형동검과 함께 전한대의 청동거울과 오수전을 비롯하여 다량의 철기가 나와 한대 철기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경주식의 돌무지덧널무덤이 아니면서 조양동 무덤과 연결되는 덧널무덤 계통의 무덤이 부산 복천동 학소대와 경산 임당동에서도 발견되었다. 이는 덧널무덤과 돌무지덧널무덤의 계통변화를 조사하는 데 중요한 것들로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3. 석가모니의 사상
1. 연기 사상
모든 것은 서로 불가피한 인과관계로 맺어져 있다.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다.
* 연계성과 상호의존성 - 내가 소중하듯 남도 소중함
2. 자비 사상
자타불이(自他不二)정신의 구현 - 자비의 기본전제
연기설의 자각으로 내가 소중하듯 남도 소중함을 알게 됨.
자비 - 타인과 기쁨을 같이하고(慈: 자), 슬픔도 같이 함(悲: 비)
자비 - 무조건적, 절대적 사랑임
3. 사성제 사상- 고,집,멸,도 네가지 진리, 불교 교리의 핵심
a. 고 - 인생 그 자체는 모두 고통이라는 진리. 현실 세계의 결과물임.
* 고의 종류 *
* 4고(四苦)란?-생.로.병.사(生老病死)
* 8고(八苦)란?-생(生), 로(老), 병(病), 사(死), 애별리고(愛別離苦, 사랑하지만 헤어져야 하는 고통),
원증회고(怨憎會苦, 미워하는 이를 만나는 고통), 구부득고(求不得苦, 구하려 애써지만 얻지 못하는 고
통), 오음성고(五陰盛苦 또는 오취온고五取蘊苦, 5감으로 들어와 쌓여있는 모든 것)
이외에 윤회고(輪廻苦)가 있다.
b. 집 - 마음속의 번뇌와 갈등이 쌓여 고통이 생긴다는 진리. 현실 세계의 원인임.
* 고통의 원인 - 정감의 측면: 애욕, 이지의 측면: 무명(無明)
c. 멸성제(滅聖諦) - 고통의 원인이 소멸된 상태로서 해탈과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것.
불교의 궁극 목적. 이상 세계의 결과임, 멸이란 해탈과 열반의 경지, 즉 절대 자유와 절대 평화의 세계.
d. 도 - 열반의 경지에 도달하는 수행 방법. 이상 세계의 원인임.
* 팔정도(八正道) : 지나친 쾌락과 지나친 계율, 고행을 금지한 중도로서의 8가지 바른 수행법.
정견-바른 견해, 정사유-바른 의사, 정어=바른 말, 정업-바른 행위,
정명=바른 생활, 정정진-바른노력, 정념-바른 의식, 정정-바른 정신통일
4. 삼법인 사상 - 세상의 모든 현상과 존재의 참모습에 대한 불타의 깨달음을 세가지로 설명.
1. 제행무상- 모든 것은 항상 변한다. * 생멸, 변화의 만물 유전의 세계관
2. 제법무아- 모든 현상의 존재는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긴 것이어서 고정된 실체란 없다.
3. 일체개고 - 인생 그 자체가 고통과 번뇌이다. 자아(自我)가 실재하며, 현실 세계는 고정된
것으로 착각하고 집착하게 됨으로써 인생의 모든 고뇌가 생긴다는 것.
또한 낙동강유역에도 덧널무덤으로서 유구가 잘 남아 있는 의창 다호리 1호무덤이 있다. 다호리무덤의 경우 부장품 중에 세형동검과 함께 전한대의 청동거울과 오수전을 비롯하여 다량의 철기가 나와 한대 철기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경주식의 돌무지덧널무덤이 아니면서 조양동 무덤과 연결되는 덧널무덤 계통의 무덤이 부산 복천동 학소대와 경산 임당동에서도 발견되었다. 이는 덧널무덤과 돌무지덧널무덤의 계통변화를 조사하는 데 중요한 것들로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3. 석가모니의 사상
1. 연기 사상
모든 것은 서로 불가피한 인과관계로 맺어져 있다.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다.
* 연계성과 상호의존성 - 내가 소중하듯 남도 소중함
2. 자비 사상
자타불이(自他不二)정신의 구현 - 자비의 기본전제
연기설의 자각으로 내가 소중하듯 남도 소중함을 알게 됨.
자비 - 타인과 기쁨을 같이하고(慈: 자), 슬픔도 같이 함(悲: 비)
자비 - 무조건적, 절대적 사랑임
3. 사성제 사상- 고,집,멸,도 네가지 진리, 불교 교리의 핵심
a. 고 - 인생 그 자체는 모두 고통이라는 진리. 현실 세계의 결과물임.
* 고의 종류 *
* 4고(四苦)란?-생.로.병.사(生老病死)
* 8고(八苦)란?-생(生), 로(老), 병(病), 사(死), 애별리고(愛別離苦, 사랑하지만 헤어져야 하는 고통),
원증회고(怨憎會苦, 미워하는 이를 만나는 고통), 구부득고(求不得苦, 구하려 애써지만 얻지 못하는 고
통), 오음성고(五陰盛苦 또는 오취온고五取蘊苦, 5감으로 들어와 쌓여있는 모든 것)
이외에 윤회고(輪廻苦)가 있다.
b. 집 - 마음속의 번뇌와 갈등이 쌓여 고통이 생긴다는 진리. 현실 세계의 원인임.
* 고통의 원인 - 정감의 측면: 애욕, 이지의 측면: 무명(無明)
c. 멸성제(滅聖諦) - 고통의 원인이 소멸된 상태로서 해탈과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것.
불교의 궁극 목적. 이상 세계의 결과임, 멸이란 해탈과 열반의 경지, 즉 절대 자유와 절대 평화의 세계.
d. 도 - 열반의 경지에 도달하는 수행 방법. 이상 세계의 원인임.
* 팔정도(八正道) : 지나친 쾌락과 지나친 계율, 고행을 금지한 중도로서의 8가지 바른 수행법.
정견-바른 견해, 정사유-바른 의사, 정어=바른 말, 정업-바른 행위,
정명=바른 생활, 정정진-바른노력, 정념-바른 의식, 정정-바른 정신통일
4. 삼법인 사상 - 세상의 모든 현상과 존재의 참모습에 대한 불타의 깨달음을 세가지로 설명.
1. 제행무상- 모든 것은 항상 변한다. * 생멸, 변화의 만물 유전의 세계관
2. 제법무아- 모든 현상의 존재는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긴 것이어서 고정된 실체란 없다.
3. 일체개고 - 인생 그 자체가 고통과 번뇌이다. 자아(自我)가 실재하며, 현실 세계는 고정된
것으로 착각하고 집착하게 됨으로써 인생의 모든 고뇌가 생긴다는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