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언
해외 사업자는 관심 증대, 국내 소비자는 관망
활성화를 가로막는 근본 원인
● 지상파DMB: 수익원발굴과 음영지역 해소가 과제
● 위성DMB: 수신료에 걸맞는 콘텐츠 부족의 해소 필요
비즈니스 차원의 처방이 시급
● 지상파DMB: 이통사와의 협업 모델 구축과 유료 EPG에 주목
● 위성DMB: 지상파 프로그램의 재가공에서 출발
성공적인 수익 모델 구축이 관건
해외 사업자는 관심 증대, 국내 소비자는 관망
활성화를 가로막는 근본 원인
● 지상파DMB: 수익원발굴과 음영지역 해소가 과제
● 위성DMB: 수신료에 걸맞는 콘텐츠 부족의 해소 필요
비즈니스 차원의 처방이 시급
● 지상파DMB: 이통사와의 협업 모델 구축과 유료 EPG에 주목
● 위성DMB: 지상파 프로그램의 재가공에서 출발
성공적인 수익 모델 구축이 관건
본문내용
제 장면, 촬영현장 소개, 인터뷰 등으로 지상파 프로그램을 확장시킨 콘텐츠가 DMB 가입자 확보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성공적인 수익 모델 구축이 관건
요컨대 DMB 활성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인 수익원 다양화와 음영지역 해소, 콘텐츠의 확보에 대해 사업자와 정부는 데이터방송의 적극 추진, 단말기 제조업체로부터의 비용 보조, 지상파 재송신 허용 등의 정책적 관점의 해결책을 제시해 왔다. 물론 이러한 처방이 잘못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사업자들은 한 축으로는 정책적 해결책을 강구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비즈니스 관점에서 좀더 직접적이고 즉시 실행가능한 해결방안(workable solution)을 마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는 결국 서비스의 수익성 확보, 참여 사업자 간의 수익 배분, 신규 비즈니스 구조의 확립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수익 모델 구축 작업은 DMB의 해외 진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현재 DMB 수출은 주로 기술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으나, 실제로 기술보다 수익 모델의 수출이 더욱 중요하다. 특히 새로운 수익 모델을 구체화한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다면, DVB-H, 미디어 플로를 채택한 사업자에게도 수출할 수 있게 된다. 실례로 일본 NTT DoCoMo의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인 i-mode는 기술이 아닌 수익 모델로서 해외 사업자들에게 어필한 바 있다. 국내 DMB 관련 수익 모델 역시 정책적 의존도를 최소화하여 비즈니스 차원에서 구축된다면, 국내에서의 DMB 서비스 활성화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개척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공적인 수익 모델 구축이 관건
요컨대 DMB 활성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인 수익원 다양화와 음영지역 해소, 콘텐츠의 확보에 대해 사업자와 정부는 데이터방송의 적극 추진, 단말기 제조업체로부터의 비용 보조, 지상파 재송신 허용 등의 정책적 관점의 해결책을 제시해 왔다. 물론 이러한 처방이 잘못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사업자들은 한 축으로는 정책적 해결책을 강구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비즈니스 관점에서 좀더 직접적이고 즉시 실행가능한 해결방안(workable solution)을 마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는 결국 서비스의 수익성 확보, 참여 사업자 간의 수익 배분, 신규 비즈니스 구조의 확립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수익 모델 구축 작업은 DMB의 해외 진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현재 DMB 수출은 주로 기술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으나, 실제로 기술보다 수익 모델의 수출이 더욱 중요하다. 특히 새로운 수익 모델을 구체화한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다면, DVB-H, 미디어 플로를 채택한 사업자에게도 수출할 수 있게 된다. 실례로 일본 NTT DoCoMo의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인 i-mode는 기술이 아닌 수익 모델로서 해외 사업자들에게 어필한 바 있다. 국내 DMB 관련 수익 모델 역시 정책적 의존도를 최소화하여 비즈니스 차원에서 구축된다면, 국내에서의 DMB 서비스 활성화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개척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