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Ⅱ.본 론
⑴시장 환경 분석
⑵소비자 행동 분석
⑶트롬(TROMM)의 SWOT 분석
⑷트롬(TROMM)의 4PS
Ⅲ.결 론
<참고 자료>
Ⅱ.본 론
⑴시장 환경 분석
⑵소비자 행동 분석
⑶트롬(TROMM)의 SWOT 분석
⑷트롬(TROMM)의 4PS
Ⅲ.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은 신제품 출시 시에 경재업체들을 염두한 상대적인 낮은 가격으로 시장에 침투하였야 한다.
가격은 2002년도 당시에 가격비율은 외국산제품의 50~60%정도 밖에 되지 않는 저렴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가격형성으로 독점시장을 형성하다 삼성‘하우젠’ 드럼세탁기의 출시 이후 양대 경쟁구도로 좁혀지면서 치열한 가격경쟁이 시작되었다. 경쟁사인 삼성 ‘하우젠’은 ‘트롬’세탁기와 비슷한 기능을 갖추면서 가격은 낮추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에 ‘트롬’은 자신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동적으로 가격을 낮추기 시작했다.
그 결과 첫 출시가격이 150만원대를 유지하던 10Kg대 드럼세탁기의 가격이 여러 유통대리점에서 120만원대에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맞대응하여 삼성‘하우젠’은 110만원대 동급 드럼세탁기를 출시예정이어서 앞으로 출혈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3) Place.
유통경로는 LG전용 대리점, 대형유통할인마트, 종합전자제품마트, 백화점, 인터넷쇼핑몰 및 홈쇼핑 등을 선정되어있다. 이러한 다양한 판매망에 알맞게 가격과 서비스수준을 달리하여 제공하여 ‘트롬’세탁기는 판매를 단기간에 급속히 증가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
4) Promotion.
타겟 마케팅
트롬 세탁기 출시 전 설문조사(일반인 대상 인터넷 설문조사, LG전자 고객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소비자들의 ‘드럼 세탁기’에 대한 인지도 및 소비자 요구(needs)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20~30대 신세대 여성주부를 타켓고객으로 선정하였다.
40대 이상 주부가 아닌 신세대 주부들에게 어필하기에 가장 적합한 매체는 인터넷이었다. 신세대 주부들의 특성은 인터넷에 능하고, 커뮤니티 활동에 적극적이며, 서구문화에 개방적이고, 합리적인 소비, 질적 소비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고객평가단
몇 년 전부터 보편화된 고객평가단 모집, 고객모니터요원 모집, 베타 테스터 모집 등 다양한 캠페인들은 제품 출시 시점이나 이전에 고객들에게 제품을 체험하게 하여 사용후기와 제품의 문제점, 개선점을 미리 확인한다는 점에서 고객 중심의 새로운 마케팅 흐름에 부응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객평가단 모집을 하나의 대량 할인판매의 수단으로 변질시킨다면, 고객평가단의 중요한 본질을 놓치게 될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트롬’ 고객평가단 모집은 2,000명 모집에 8,000여 명이 신청한 성공적인 캠페인이었다. 더불어 고객 평가요원이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참가해야 하는 설문조사(사용후기)와 그들의 적극적인 설문 응답이 전면적 마케팅 전개 이전의 좋은 리트머스 시험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 마케팅
대리점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LG전자 입장에서-국내 다른 가전업체도 마찬가지다-인터넷 중심의 온라인 마케팅 강화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트롬 고객평가단 캠페인에서 보여준 신세대 주부들의 적극적인 호응이 인터넷 마케팅의 비중을 좀더 확대하는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하다. 실제로 LG전자는 고객평가단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실시한 이후 각종 인터넷 쇼핑몰에서 배너광고를 비롯한 일련의 온라인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위와 같은 마케팅 방법을 통해 LG전자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트롬 세탁기에 대한 제품 포지셔닝을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정립할 수 있었다.
Ⅲ.결 론.
21세기 들어 놀랍게 진보한 교통과 통신, 그리고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광고를 통한 기존의 마케팅보다는 사회 전반적 검증이 가능한 체험 마케팅과 구전(입소문) 마케팅을 좀더 효율적인 마케팅 방법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
TV 광고를 보고 제품의 구매를 결정하는 소비자의 수는 점점 줄어 들고 있는 반면, 주위 동료의 추천,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의 글, 그리고 고객의 사용후기가 믿을 만한 조언자가 되어 제품의 선택에 크나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트롬’ 세탁기 고객평가단 2,000명이 인터넷과 그들의 친구들에게 떠들어 댔을지도 모르는 ‘트롬 세탁기’의 긍정적 평가는 TV 광고 못지않은 마케팅 효과를 내고 있었다.
‘트롬’은 이러한 마케팅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생소하였던 드럼 세탁기 시장을 공략하여 성공하였다. 기존의 외국산 기업들이 선점하고 있던 드럼 세탁기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소비자들의 욕구에 맞추어 독자적인 핵심 개발을 추진하였고 한국 주부들의 욕구에 맞는 한국형 드럼 세탁기를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인터넷 및 광고 매체를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좀 더 친숙한 이미지로 간 것이 성공요인으로 볼 수 있다.
기존 와구식 세탁기가 아닌 드럼 세탁기 시장에서 성공한 LG전자의 드럼 세탁기 ‘트롬’은 세탁기 틈새 시장의 성공 사례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앞으로 LG전자의 ‘트롬’은 소비자들의 욕구에 맞는 대용량화한 드럼 세탁기로 경쟁 업체들을 물리치고 시장 점유율을 1위를 유지하기 위해 더욱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일간 스포츠 2004-04-22
헤럴드경제 2004-11-25
머니투데이 2004-11-26
디지털 타임스 2004-07-28
파이낸셜 2004-09-22
LG경제 연구소 -프리미엄 제품으로 승부하라
http://www.lgeri.com/management/general/article.asp?grouping=01020500&seq=2
목 차
Ⅰ.서 론.---------------------------------------------
p.2
Ⅱ.본 론.---------------------------------------------
p.3
⑴시장 환경 분석.-------------------------------------
p.3
⑵소비자 행동 분석.-----------------------------------
p.4
⑶트롬(TROMM)의 SWOT 분석.------------------------
p.6
⑷트롬(TROMM)의 4PS.-------------------------------
p.7
Ⅲ.결 론.---------------------------------------------
p.9
<참고 자료>-----------------------------------------
p.10
가격은 2002년도 당시에 가격비율은 외국산제품의 50~60%정도 밖에 되지 않는 저렴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가격형성으로 독점시장을 형성하다 삼성‘하우젠’ 드럼세탁기의 출시 이후 양대 경쟁구도로 좁혀지면서 치열한 가격경쟁이 시작되었다. 경쟁사인 삼성 ‘하우젠’은 ‘트롬’세탁기와 비슷한 기능을 갖추면서 가격은 낮추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에 ‘트롬’은 자신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동적으로 가격을 낮추기 시작했다.
그 결과 첫 출시가격이 150만원대를 유지하던 10Kg대 드럼세탁기의 가격이 여러 유통대리점에서 120만원대에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맞대응하여 삼성‘하우젠’은 110만원대 동급 드럼세탁기를 출시예정이어서 앞으로 출혈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3) Place.
유통경로는 LG전용 대리점, 대형유통할인마트, 종합전자제품마트, 백화점, 인터넷쇼핑몰 및 홈쇼핑 등을 선정되어있다. 이러한 다양한 판매망에 알맞게 가격과 서비스수준을 달리하여 제공하여 ‘트롬’세탁기는 판매를 단기간에 급속히 증가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
4) Promotion.
타겟 마케팅
트롬 세탁기 출시 전 설문조사(일반인 대상 인터넷 설문조사, LG전자 고객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소비자들의 ‘드럼 세탁기’에 대한 인지도 및 소비자 요구(needs)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20~30대 신세대 여성주부를 타켓고객으로 선정하였다.
40대 이상 주부가 아닌 신세대 주부들에게 어필하기에 가장 적합한 매체는 인터넷이었다. 신세대 주부들의 특성은 인터넷에 능하고, 커뮤니티 활동에 적극적이며, 서구문화에 개방적이고, 합리적인 소비, 질적 소비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고객평가단
몇 년 전부터 보편화된 고객평가단 모집, 고객모니터요원 모집, 베타 테스터 모집 등 다양한 캠페인들은 제품 출시 시점이나 이전에 고객들에게 제품을 체험하게 하여 사용후기와 제품의 문제점, 개선점을 미리 확인한다는 점에서 고객 중심의 새로운 마케팅 흐름에 부응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객평가단 모집을 하나의 대량 할인판매의 수단으로 변질시킨다면, 고객평가단의 중요한 본질을 놓치게 될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트롬’ 고객평가단 모집은 2,000명 모집에 8,000여 명이 신청한 성공적인 캠페인이었다. 더불어 고객 평가요원이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참가해야 하는 설문조사(사용후기)와 그들의 적극적인 설문 응답이 전면적 마케팅 전개 이전의 좋은 리트머스 시험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 마케팅
대리점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LG전자 입장에서-국내 다른 가전업체도 마찬가지다-인터넷 중심의 온라인 마케팅 강화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트롬 고객평가단 캠페인에서 보여준 신세대 주부들의 적극적인 호응이 인터넷 마케팅의 비중을 좀더 확대하는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하다. 실제로 LG전자는 고객평가단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실시한 이후 각종 인터넷 쇼핑몰에서 배너광고를 비롯한 일련의 온라인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위와 같은 마케팅 방법을 통해 LG전자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트롬 세탁기에 대한 제품 포지셔닝을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정립할 수 있었다.
Ⅲ.결 론.
21세기 들어 놀랍게 진보한 교통과 통신, 그리고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광고를 통한 기존의 마케팅보다는 사회 전반적 검증이 가능한 체험 마케팅과 구전(입소문) 마케팅을 좀더 효율적인 마케팅 방법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
TV 광고를 보고 제품의 구매를 결정하는 소비자의 수는 점점 줄어 들고 있는 반면, 주위 동료의 추천,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의 글, 그리고 고객의 사용후기가 믿을 만한 조언자가 되어 제품의 선택에 크나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트롬’ 세탁기 고객평가단 2,000명이 인터넷과 그들의 친구들에게 떠들어 댔을지도 모르는 ‘트롬 세탁기’의 긍정적 평가는 TV 광고 못지않은 마케팅 효과를 내고 있었다.
‘트롬’은 이러한 마케팅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생소하였던 드럼 세탁기 시장을 공략하여 성공하였다. 기존의 외국산 기업들이 선점하고 있던 드럼 세탁기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소비자들의 욕구에 맞추어 독자적인 핵심 개발을 추진하였고 한국 주부들의 욕구에 맞는 한국형 드럼 세탁기를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인터넷 및 광고 매체를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좀 더 친숙한 이미지로 간 것이 성공요인으로 볼 수 있다.
기존 와구식 세탁기가 아닌 드럼 세탁기 시장에서 성공한 LG전자의 드럼 세탁기 ‘트롬’은 세탁기 틈새 시장의 성공 사례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앞으로 LG전자의 ‘트롬’은 소비자들의 욕구에 맞는 대용량화한 드럼 세탁기로 경쟁 업체들을 물리치고 시장 점유율을 1위를 유지하기 위해 더욱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일간 스포츠 2004-04-22
헤럴드경제 2004-11-25
머니투데이 2004-11-26
디지털 타임스 2004-07-28
파이낸셜 2004-09-22
LG경제 연구소 -프리미엄 제품으로 승부하라
http://www.lgeri.com/management/general/article.asp?grouping=01020500&seq=2
목 차
Ⅰ.서 론.---------------------------------------------
p.2
Ⅱ.본 론.---------------------------------------------
p.3
⑴시장 환경 분석.-------------------------------------
p.3
⑵소비자 행동 분석.-----------------------------------
p.4
⑶트롬(TROMM)의 SWOT 분석.------------------------
p.6
⑷트롬(TROMM)의 4PS.-------------------------------
p.7
Ⅲ.결 론.---------------------------------------------
p.9
<참고 자료>-----------------------------------------
p.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