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관지경 검사
간생검
골수천자
CSF tapping
Electrolyte Panel
Admisson Panel
혈액의 방사선 조사
백혈병표식자 검사
뇨검사
CBC
당화 Hb
심장초음파
심도자술·심혈관 조영술
간생검
골수천자
CSF tapping
Electrolyte Panel
Admisson Panel
혈액의 방사선 조사
백혈병표식자 검사
뇨검사
CBC
당화 Hb
심장초음파
심도자술·심혈관 조영술
본문내용
질환 확인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심박출량 측정
-급성 심근경색증의 평가
-조영제를 이용한 좌심실 조영술로는 결손의 크기, 위치, 결손의 수 및 동반기형들을 보다 확연히 확인할수 있다.
3. 준비물
-검사전 투약 : 바리움 5mg 경구
-피부준비 : 니트 크림
-모래주머니, 방사선과 필름, 검사결과지(심전도, 심에코, 일반혈액, 일반화학, 전해질, 혈액 응고 등)
4. 검사전 간호 및 검사과정
-검사전 6~8 시간동안 금식한다.
-심도자 삽입부위(양쪽 서혜부)에 털을 제거한다.
-안정을 위해 검사전 30분 내지 60분 전에 진정제를 투여한다.
-시술 검사요청서를 확인한다.
-장신구와 틀이등을 제거하고 속옷을 벗고 환의만 입는다.
-정맥 주입로를 18게이지로 왼쪽 팔에 확보한다.
-말초 혈관의 맥박부위를 펜으로 표시한다.
-처방된 검사전 투약한다.
-모래주머니, 필름, 챠트와 함께 혈관조영실로 보낸다.
-검사실내에서 환자는 앙와위로 눕게되고, 서혜부를 베타딘으로 소독한다.
-총 대퇴동맥 주변의 피부, 피하조직, 혈관 주변에 1% 리도카인을 침전시키고, 대퇴동맥을 puncture 한다.
-18게이지 침에 의해 총 대퇴동맥으로 들어가면 guide wire 는 침을 통해 대동맥내로 들어 간다.
-guide wire를 제외한 침은 제거되고, guide wire는 상행대동맥을 통해 대동맥판막에 도착 한 후 심도자 팁이 상행 대동맥내에서 대동맥판막을 향해 10cm 정도에 도달하면 그 위치 를 고정한다.
-guide wire는 제거되고 심도자 팁에 3-way manifold 가 연결된다.
-관상동맥을 심도자하기 위해서 Lt. anterior oblique view 내에 심장이 보이도록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연속적으로 관상동맥을 촬영한다. 조영제는 1~1.5ml/kg를 사용한다.
-심혈관 조영술이 끝나면 대퇴동맥의 도자를 제거하고 도자부위를 압박한 후 모래주머니를 올리고 병실로 돌아온다.
-검사부위를 과신전하고 모래주머니를 올려놓은 상태로 8시간동안 절대안정을 한다.
-활력증후는 15분마다 4회 측정하고, 안정될 때까지 1시간마다 측정한다.
-활력증후가 안정되면 조영제의 배출을 위해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한다.
-천자부위의 출혈여부와 말단부위의 맥박을 자주 측정하고, 사지의 허혈증상을 사정한다(무 감각, 저림, 아픔, 말초맥박의 부재, 기능상실 등).
-말단 부위의 색, 온도변화, 검사부위의 출혈 및 종창, 호흡곤란, 열, 오심, 구토, 두드러기, 홍조 등의 유무를 관찰, 기록한다.
5. 주의사항
-임신중에는 금기이다.
-요오드 알러지가 있는 환자는 예방적 처치를 받은 후 시행한다.
6. 합병증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 다른다.
-치사율 0.1~0.4% 이하
-국소적 합병증으로 혈관폐쇄, 혈종이 나타날 수 있다.
-조영제에 의한 과민반응
목차
기관지경 검사
간생검
골수천자
CSF tapping
Electrolyte Panel
Admisson Panel
혈액의 방사선 조사
백혈병표식자 검사
뇨검사
CBC
당화 Hb
심장초음파
심도자술·심혈관 조영술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심박출량 측정
-급성 심근경색증의 평가
-조영제를 이용한 좌심실 조영술로는 결손의 크기, 위치, 결손의 수 및 동반기형들을 보다 확연히 확인할수 있다.
3. 준비물
-검사전 투약 : 바리움 5mg 경구
-피부준비 : 니트 크림
-모래주머니, 방사선과 필름, 검사결과지(심전도, 심에코, 일반혈액, 일반화학, 전해질, 혈액 응고 등)
4. 검사전 간호 및 검사과정
-검사전 6~8 시간동안 금식한다.
-심도자 삽입부위(양쪽 서혜부)에 털을 제거한다.
-안정을 위해 검사전 30분 내지 60분 전에 진정제를 투여한다.
-시술 검사요청서를 확인한다.
-장신구와 틀이등을 제거하고 속옷을 벗고 환의만 입는다.
-정맥 주입로를 18게이지로 왼쪽 팔에 확보한다.
-말초 혈관의 맥박부위를 펜으로 표시한다.
-처방된 검사전 투약한다.
-모래주머니, 필름, 챠트와 함께 혈관조영실로 보낸다.
-검사실내에서 환자는 앙와위로 눕게되고, 서혜부를 베타딘으로 소독한다.
-총 대퇴동맥 주변의 피부, 피하조직, 혈관 주변에 1% 리도카인을 침전시키고, 대퇴동맥을 puncture 한다.
-18게이지 침에 의해 총 대퇴동맥으로 들어가면 guide wire 는 침을 통해 대동맥내로 들어 간다.
-guide wire를 제외한 침은 제거되고, guide wire는 상행대동맥을 통해 대동맥판막에 도착 한 후 심도자 팁이 상행 대동맥내에서 대동맥판막을 향해 10cm 정도에 도달하면 그 위치 를 고정한다.
-guide wire는 제거되고 심도자 팁에 3-way manifold 가 연결된다.
-관상동맥을 심도자하기 위해서 Lt. anterior oblique view 내에 심장이 보이도록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연속적으로 관상동맥을 촬영한다. 조영제는 1~1.5ml/kg를 사용한다.
-심혈관 조영술이 끝나면 대퇴동맥의 도자를 제거하고 도자부위를 압박한 후 모래주머니를 올리고 병실로 돌아온다.
-검사부위를 과신전하고 모래주머니를 올려놓은 상태로 8시간동안 절대안정을 한다.
-활력증후는 15분마다 4회 측정하고, 안정될 때까지 1시간마다 측정한다.
-활력증후가 안정되면 조영제의 배출을 위해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한다.
-천자부위의 출혈여부와 말단부위의 맥박을 자주 측정하고, 사지의 허혈증상을 사정한다(무 감각, 저림, 아픔, 말초맥박의 부재, 기능상실 등).
-말단 부위의 색, 온도변화, 검사부위의 출혈 및 종창, 호흡곤란, 열, 오심, 구토, 두드러기, 홍조 등의 유무를 관찰, 기록한다.
5. 주의사항
-임신중에는 금기이다.
-요오드 알러지가 있는 환자는 예방적 처치를 받은 후 시행한다.
6. 합병증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 다른다.
-치사율 0.1~0.4% 이하
-국소적 합병증으로 혈관폐쇄, 혈종이 나타날 수 있다.
-조영제에 의한 과민반응
목차
기관지경 검사
간생검
골수천자
CSF tapping
Electrolyte Panel
Admisson Panel
혈액의 방사선 조사
백혈병표식자 검사
뇨검사
CBC
당화 Hb
심장초음파
심도자술·심혈관 조영술
추천자료
내과 케이스 게실염
정형외과 체크리스트/진단검사/수술후간호/합병증예방
위암(일반외과 수술) 케이스스터디
다양한 초음파 검사에 따른 간호
DECOMPRESSION
신장이식과 간호(거부반응 면역치료 식이요법)
호흡장애 대상자의 간호과정
성인간호학실습_onco병동선행학습보고서
신경학적 사정
흉곽수술 환자 수술 전 후 간호관리 검토
[외과종양학개론] 소장질환(small intestine disease)의 이해(정리)
[간호/응급실] 응급검사, 약물, 용어
호흡기계 간호
[암의 진단과 치료법] 암 진단방법, 암 치료방법(수술요법,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면역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