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砂仁、神하라;
식적 황달이면 오령산에 삼릉, 아출, 사인, 신국을 가미한다.
熱이면,加芩、連、草龍膽하라;
열증 황달이면 오령산에 황금, 황련, 초용담을 가미한다.
小便不利면,加山梔하라;
소변이 불리한 황달은 오령산에 산치자를 가미하라.
胃弱이면,合平胃散하대,去厚朴하고,加茵陳、黃連、山梔、防己、枳實이니라。
위가 약하면 오령산에 평위산을 합방하되 후박을 제거하고 인진, 황련, 산치자, 방기, 지실을 가미한다.
溫中兼補 腎與肝하라,
황달에는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신과 간을 보한다.
疸이 屬脾胃면,不可驟用藥하야 傷胃니,輕則嘔하고,重則喘滿이오。
황달이 비위에 속하면 갑자기 찬 약을 사용하여 위를 손상하면 안 되니 경증이면 구토 딸꾹질을 하고, 중증이면 숨차고 창만하다.
又酒疸을 下之면,則成黑疸이니,不渴 便利者면,俱宜六君子湯에,加茵陳、蒼朮、山藥하야 以溫中하라。
또한 주달을 사하케 하면 흑달을 생성하니, 갈증이 없고 대변이 잘 나가면 모두 육군자탕에 인진, 창출, 산약을 가미하여 중초를 따뜻하게 한다.
甚者면,小溫中丸、大溫中丸、退黃丸이니라。
심한 황달은 소온중환, 대온중환, 퇴황환이다.
若虛損이면,猶宜 滋補肝腎이니,眞陽之精이 一升이면,而邪火自斂이니라。
만약 허손 황달이면 오히려 간과 신을 자양 보해야 하니 진양의 정이 한번 상승하면 사화가 스스로 수렴된다.
若必用茵陳하야 利小便하야,枯竭 肝津 腎水면,則疸病은 幸이로대,而雀目 腫脹이 又作하리니,之니라.
만약 반드시 인진을 사용하여 강제로 소변을 잘 보게 하면 간의 진액과 신의 수를 고갈케 하면 황달병은 다행히 병이 나으나, 야맹증, 종창이 또한 생기니 삼가야 한다.
식적 황달이면 오령산에 삼릉, 아출, 사인, 신국을 가미한다.
熱이면,加芩、連、草龍膽하라;
열증 황달이면 오령산에 황금, 황련, 초용담을 가미한다.
小便不利면,加山梔하라;
소변이 불리한 황달은 오령산에 산치자를 가미하라.
胃弱이면,合平胃散하대,去厚朴하고,加茵陳、黃連、山梔、防己、枳實이니라。
위가 약하면 오령산에 평위산을 합방하되 후박을 제거하고 인진, 황련, 산치자, 방기, 지실을 가미한다.
溫中兼補 腎與肝하라,
황달에는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신과 간을 보한다.
疸이 屬脾胃면,不可驟用藥하야 傷胃니,輕則嘔하고,重則喘滿이오。
황달이 비위에 속하면 갑자기 찬 약을 사용하여 위를 손상하면 안 되니 경증이면 구토 딸꾹질을 하고, 중증이면 숨차고 창만하다.
又酒疸을 下之면,則成黑疸이니,不渴 便利者면,俱宜六君子湯에,加茵陳、蒼朮、山藥하야 以溫中하라。
또한 주달을 사하케 하면 흑달을 생성하니, 갈증이 없고 대변이 잘 나가면 모두 육군자탕에 인진, 창출, 산약을 가미하여 중초를 따뜻하게 한다.
甚者면,小溫中丸、大溫中丸、退黃丸이니라。
심한 황달은 소온중환, 대온중환, 퇴황환이다.
若虛損이면,猶宜 滋補肝腎이니,眞陽之精이 一升이면,而邪火自斂이니라。
만약 허손 황달이면 오히려 간과 신을 자양 보해야 하니 진양의 정이 한번 상승하면 사화가 스스로 수렴된다.
若必用茵陳하야 利小便하야,枯竭 肝津 腎水면,則疸病은 幸이로대,而雀目 腫脹이 又作하리니,之니라.
만약 반드시 인진을 사용하여 강제로 소변을 잘 보게 하면 간의 진액과 신의 수를 고갈케 하면 황달병은 다행히 병이 나으나, 야맹증, 종창이 또한 생기니 삼가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