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뜻은 기의 신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된 일종의 '신묘함'을 뜻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확실히 단순히 기라고 할 때보다는 신기라고 할 때에 그 신묘한 느낌은 더 높아지고, 그럼으로써 그것을 이해 파악하게 하는 매력 또한 한결 더하여지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문제되는 '통'의 의미는 더 말할 나위 없이 '막힘이 없는 것' 또는 '막힘이 없이 트인 것'이다. 이때의 막힘이 없다는 것은 다만 물리적인 측면만 가리키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정신적인 측면에도 적용된다. 그리하여 '역경'에서 말하는 '고요히 부동하나 느끼어 깊이 통한다' 같은 용례가 유학에서 정신적 측면으로 쓰이는 가장 대표적인 예가 된다. 즉 정신적으로는 이해의 장벽이 해소됨으로써 해득이 가능케 됨이 통의 뜻인 것이다.
혜강 역시 통의 의미를 대체로 이와 같이 쓰는 것 같다. 다만 이러한 통의 의미를 감각 내지 지각에 국한시켜서 말할 때가 많은 것이 그의 통에 대한 용례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혜강은 인체 및 인체가 지닌 감각기관을 '신기가 통하는 기계' 로 간주한다. 이목구비 등이 모두 음ㆍ색ㆍ미ㆍ향으로서의 신기와 통하게 되는 통로와 같은 것으로 생각한다. 이 점은 신기통 절목의 대요가 체통(體通)ㆍ목통(目通)ㆍ이통(耳通)ㆍ비통(鼻通)ㆍ구통(口通)ㆍ생통(生通)ㆍ수통(手通)ㆍ족통(足通)ㆍ촉통(觸通)ㆍ주통(周通)ㆍ변통(變通)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여기서 신기통이 단순히 기의 체만 밝힌 것이 아니라 한걸음 나아가 기 및 그 작용의 세계에 대한 파악까지 시도하는 저서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문제되는 '통'의 의미는 더 말할 나위 없이 '막힘이 없는 것' 또는 '막힘이 없이 트인 것'이다. 이때의 막힘이 없다는 것은 다만 물리적인 측면만 가리키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정신적인 측면에도 적용된다. 그리하여 '역경'에서 말하는 '고요히 부동하나 느끼어 깊이 통한다' 같은 용례가 유학에서 정신적 측면으로 쓰이는 가장 대표적인 예가 된다. 즉 정신적으로는 이해의 장벽이 해소됨으로써 해득이 가능케 됨이 통의 뜻인 것이다.
혜강 역시 통의 의미를 대체로 이와 같이 쓰는 것 같다. 다만 이러한 통의 의미를 감각 내지 지각에 국한시켜서 말할 때가 많은 것이 그의 통에 대한 용례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혜강은 인체 및 인체가 지닌 감각기관을 '신기가 통하는 기계' 로 간주한다. 이목구비 등이 모두 음ㆍ색ㆍ미ㆍ향으로서의 신기와 통하게 되는 통로와 같은 것으로 생각한다. 이 점은 신기통 절목의 대요가 체통(體通)ㆍ목통(目通)ㆍ이통(耳通)ㆍ비통(鼻通)ㆍ구통(口通)ㆍ생통(生通)ㆍ수통(手通)ㆍ족통(足通)ㆍ촉통(觸通)ㆍ주통(周通)ㆍ변통(變通)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여기서 신기통이 단순히 기의 체만 밝힌 것이 아니라 한걸음 나아가 기 및 그 작용의 세계에 대한 파악까지 시도하는 저서임을 알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