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1. 콩팥의 위치
2. 콩팥의 역할과 기능
1) 네프론(신단위)
2) 뇨의 생성
3) 신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과 효소들
3. 신장의 이상 징후와 그 질병에 대하여
1) 개념
2)원인
3) 임상증후군
나가면서
1. 콩팥의 위치
2. 콩팥의 역할과 기능
1) 네프론(신단위)
2) 뇨의 생성
3) 신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과 효소들
3. 신장의 이상 징후와 그 질병에 대하여
1) 개념
2)원인
3) 임상증후군
나가면서
본문내용
이하의 단백뇨 등이 나타나나 고혈압, 신기능저하, 부종 등 전신적 이상소견을 수반하지 않는 임상군을 말한다. 이 중 IgA 신병증이 대표적이며 우리나라의 주요 사구체질환의 하나인데, 대개의 경우 상기도 감염 1~3 일 후 심한 운동후나 무통성 육안적 전혈뇨를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⑷ 신증후군
다량의 단백뇨를 특징으로 하며, 흔히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지혈증 및 지질뇨(lipiduria) 를 동반한다.
⑸ 만성 사구체신염
서서히 진행되는 (6개월이상) 신기능장애가 특징적인 증후군으로 다양한 정도의 단백뇨, 혈뇨 및 고혈압 등이 동반되며, 진단시기에 따라 증상의 경중도 다양하며 병리조직상의 미소성변화형을 제외한 모든 사구체질환이 이 증후군의 원인질환이 될 수 있다.
(6) 요붕증(Diabetes insipidus)
하루 30리터 이상의 소변을 보기 때문에 끊임없이 갈증을 느끼게 된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ADH의 불충분한 분비, ADH수용기를 코드한 2개의 돌연변이 유전자의 유전, 아쿠아포린을 코드하는 2개의 돌연변이 유전자의 유전으로 요붕증이 생긴다.
(7) 리들 증후군
매우 드물고 유전질환인 이 증후군은 극도로 높은 혈압을 보여준다. 이 질환은 한 개의 돌연변이로 생기면 우성형질을 보여준다. 이 유전자가 코드하고 있는 것이 집합관에서 알도스테론에 의해 활성화되는 나트륨 체널단백질이다. 결손된 이 채널은 계속 열려 있어 과량의 나트륨이온이 재흡수되게 되어 높은 혈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나가면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콩팥은 배설계의 제일 첫 부분으로 그 중요성과 심각성은 미처 깨닫지 못하고 살아왔던 것 같다.
마치 공기의 소중함을 모르고 살 듯이 말이다.
물론 인체해부학의 여러 기능계통 중에서 특히 이 비뇨기계통의 신장을 택한 것은 나와 10살이 차이나는 이쁘고 발랄한 막내동생이 얼마전 병원에서 콩팥기능의 심각성에 대해서 진단을 받았기 때문이다.
본인도 물론이고 집안 식구들이 전혀 모르는 상태로 너무나 오랫동안 방치되어 미처 손을 쓸 수도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한다.
어쨌든 병은 이미 진전이 되어 있는 상태이고 병을 이길려면 그 놈의 정체를 먼저 알아서 대처해야 옳지 않겠는가?
상당히 중요한 요직에서 과중한 엄무를 수행하는 콩팥의 중요성에 대해서 새삼 고마운 마음이 든다. 그리고 최소한 한 생애를 함께 할 내 육체는 적어도 내가 추슬러줘야 하겠다는 생각과 막내동생의 빠른 쾌유를 소망한다.
⑷ 신증후군
다량의 단백뇨를 특징으로 하며, 흔히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지혈증 및 지질뇨(lipiduria) 를 동반한다.
⑸ 만성 사구체신염
서서히 진행되는 (6개월이상) 신기능장애가 특징적인 증후군으로 다양한 정도의 단백뇨, 혈뇨 및 고혈압 등이 동반되며, 진단시기에 따라 증상의 경중도 다양하며 병리조직상의 미소성변화형을 제외한 모든 사구체질환이 이 증후군의 원인질환이 될 수 있다.
(6) 요붕증(Diabetes insipidus)
하루 30리터 이상의 소변을 보기 때문에 끊임없이 갈증을 느끼게 된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ADH의 불충분한 분비, ADH수용기를 코드한 2개의 돌연변이 유전자의 유전, 아쿠아포린을 코드하는 2개의 돌연변이 유전자의 유전으로 요붕증이 생긴다.
(7) 리들 증후군
매우 드물고 유전질환인 이 증후군은 극도로 높은 혈압을 보여준다. 이 질환은 한 개의 돌연변이로 생기면 우성형질을 보여준다. 이 유전자가 코드하고 있는 것이 집합관에서 알도스테론에 의해 활성화되는 나트륨 체널단백질이다. 결손된 이 채널은 계속 열려 있어 과량의 나트륨이온이 재흡수되게 되어 높은 혈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나가면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콩팥은 배설계의 제일 첫 부분으로 그 중요성과 심각성은 미처 깨닫지 못하고 살아왔던 것 같다.
마치 공기의 소중함을 모르고 살 듯이 말이다.
물론 인체해부학의 여러 기능계통 중에서 특히 이 비뇨기계통의 신장을 택한 것은 나와 10살이 차이나는 이쁘고 발랄한 막내동생이 얼마전 병원에서 콩팥기능의 심각성에 대해서 진단을 받았기 때문이다.
본인도 물론이고 집안 식구들이 전혀 모르는 상태로 너무나 오랫동안 방치되어 미처 손을 쓸 수도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한다.
어쨌든 병은 이미 진전이 되어 있는 상태이고 병을 이길려면 그 놈의 정체를 먼저 알아서 대처해야 옳지 않겠는가?
상당히 중요한 요직에서 과중한 엄무를 수행하는 콩팥의 중요성에 대해서 새삼 고마운 마음이 든다. 그리고 최소한 한 생애를 함께 할 내 육체는 적어도 내가 추슬러줘야 하겠다는 생각과 막내동생의 빠른 쾌유를 소망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