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해부생리학적 기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인체의 구성
1. 인체의 부위
2. 기관계
3. 지지, 운동 및 형태
4. 순환기계와 맥관의 통합기능
5. 신경과 호르몬의 조절기능
6. 인체의 유지
7. 형태와 기능
8. 기능적 단위
9. 물질교환 표면

제2절 해부학적 자세
1. 위치 용어
2. 절단과 절단면
3. 뼈와 뼈대
4. 관절
5. 뇌와 뇌신경
6. 척수와 척수신경
7. 인체의 세포와 계통
8. 인체의 계통
9. 생명유지장기에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소가 같은 기능과 형태를 유지하면서 집단을 구성하면 이를 조직이라고 하며 조직에는 다음과 같은 기본조직들이 있다.
(1) 상피조직
세포 사이 물질이 거의 없어 인접세포와 밀착되어 구성하고 있으며, 장기의 표면이 덮거나 내강의 표면을 덮으며 일부는 샘을 형성한다. 상피조직은 보호, 흡수, 분비, 배설, 소화 및 감각의 기능을 갖고 있고 편평세포, 입방세표, 원주세포의 세종류가 있다.
(2) 고유결합조직
인체에서 가장 널리 분포된 조직으로서 조직과 조직, 기관과 기관 사이의 간격을 채우거나 결합시키고, 지지시키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 조직이다. 특수한 결합조직들로서 연골, 뼈, 혈액이 있다. 건강한 성인의 혈액량은 체중의 약 2%로서 체중60kg의 사람의 경우 약 5리터의 혈액이 있다. 혈액은 55%정도에 해당하는 액체 성분인 혈장과 고형성분인 혈구가 45%의 성분비율을 차지하는데 이 중 약 44%가 적혈구이다. 적혈구는 세포내에 혈색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혈색소는 지질과 단백질의 복합체로 적혈구의 색깔을 나타내는 주된 물질이고, 부분적으로 적혈구의 형태를 결정짓기도 한다. 혈색소는 산소 및 탄산가스와 결합하는데 이들 사이의 반응은 가역적이지만 일산화탄소의 결합은 비가역적이기 때문에 개체가 죽음에까지 이르게 된다.
(3) 근육조직
대부분의 신체운동은 근육조직과 관계가 있다. 신체의 근육조직은 형태와 기능적 특성에 따라 세 종류로 나뉜다.
① 평활근
세포내에 무늬가 없으며, 소화관, 요로, 호흡기계 혈관벽 등을 주로 구성하고 있으며 불수의적이다.
② 골격 횡문근
세포 내에 무늬가 있고 뼈와 관절운동을 주관하며 수의적이다.
③ 심장 횡문근
골격 횡문근 처럼 세포 내에 무늬가 있으나 구조는 많이 다르고 많은 자율신경이 분포하여 자극을 일으키고 구조들을 조절한다. 영구 세포군에 속하기 때문에 괴사(사망)하면 전혀 재생능력이 없으며 불수의적이다.
(4) 신경조직
신체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몇 가지 예외는 있지만, 모든 조직에 존재한다. 신경계통은 자극을 수용하여 이를 전기적 자극으로 전환시켜 고도로 분화된 중추신경 계통을 지나는 동안 통합 조절되어 적절한 반응을 표출하는 신체의 정보통신 계통이라 할 수 있다.
형태학적으로 중추신경계통과 말초신경계통으로 나뉜다. 중추신경계통은 뇌와 척수로 이루어지며 각각 두개강과 척수관 내에 들어있어 뼈에 의해 보호된다.
8. 인체의 계통
인체의 계통은 12계통으로 골격계통, 관절계통, 근육계통, 순환기 계통, 신경계통, 소화기 계통, 호흡기계통, 비뇨기계통, 생식기계통, 내분비계통, 외피계통, 특수 감각 계통이 있다. 12계통이 모두 흡연의 유해 영향을 받지만 신경계통 중 중추 신경계통 특히 대뇌피질 세포, 호흡기계통, 순환기 계통, 소화기 계통은 특히 많은 영향을 받는다.
9. 생명유지장기에 미치는 영향
여러 개의 장기들이 모두 생명유지에 필요한 것들이지만, 특별히 그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면 생명을 잃게 되는 장기들을 생명유지 장기라고 한다. 뇌, 심장, 폐장, 간장, 신장들이다.
(1) 뇌에 미치는 영향
뇌의 총무게는 약 1.3kg이다. 뇌는 대뇌·뇌간·소뇌로 구성되어 있지만 대뇌의 피질을 구성하고 있는 신경원들이 인체 모든 기능을 조정하고 있다. 대뇌 조직 100g에는 1분간 50cc의 혈액이 흐르게 되어 있어서 전신 혈액량의 20%가 대뇌로 흐른다. 즉 대뇌세포의 신진대사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려면 적절한 에너지가 필요하고 그 에너지는 혈류를 통한 영양물질과 산소의 공급이 없으면 안된다. 특히 포도당을 산화시킬 산소의 공급이 완전히 차단된 채로 4분 이상이 경과하면 뇌세포는 괴사 상태가 되고 일단 괴사(사망)한 뇌세포는 영구세포이기 때문에 재생 능력이 없으므로 뇌사 상태가 되어 버린다.
어려서부터 장기간 많은 흡연량은 연속적인 일산화탄소의 만성적 중독 상태를 초래하게 되므로 뇌세포로 공급되어야 할 산소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뇌세포의 신진대사율이 감소될 수 밖에 없어서 뇌의 모든 기능이 저하된다.
폐를 통해 흡수된 니코틴이 혈류를 통해 뇌에 도달하는 시간은 7~8초 인데 뇌세포에 작용한 니코틴은 신경전달 물질들 중 특히 도파민 분해 장애를 지속시켜서 인간을 중독상태에 이르게 한다.
(2) 심장에 미치는 영향
심장은 순환기계통이 시작부위이며 무게는 약 300g으로서 전 순환기계(대동맥, 동맥, 세동맥, 말초혈관, 세정맥, 정맥, 대정맥) 총길이 약 10만km의 모든 혈관내로 항상 충만하게 혈액을 펌프질해 주는 장기이다. 즉 하루에 7200L(360말)의 혈액을 쉬지않고 전신에 공급해 주는 기능이 있어서 심장이 정지하면 인체의 모든 세포는 혈액공급이 완전히 차단되므로 사망하게 된다. 이렇게 중요한 기능을 가진 심장은 그 자체의 기능을 위해 혈액을 공급받기 위한 혈관을 가지는데 이 혈관을 관상동맥이라고 한다. 관상동맥은 단 두 개 좌·우 한 개씩 뿐이고 그 직경이 겨우 3mm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흡연시 흡수된 니코틴의 작용으로 말미암아 말초혈관이 폐쇄현상이 생기고 따라서 혈압과 맥박이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관상동맥이 패쇄현상이 수반하게 되면 심장에 공급될 에너지원이 상실되게 되고 이런 상태가 연속해서 30분이 지나면 심장근육은 비가역적인 괴사 상태가 된다. 정상 체온에서 심장 근육의 산소 결핍증 지속시간은 30분이 임계 제한 시간이다. 이를 소생 제한 시간이라고 한다. 즉 흡연은 심근경색증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3) 호흡기 계통에 미치는 영향
담배연기 속의 많은 입자형 물질들이 모여서 끈적끈적한 물질이 된 것을 타르라고 하며 담배 한 대를 피울 때 약 0.3-35mg이 생긴다. 이 타르속의 발암물질이 후두·기관지·폐에 암을 유발시킨다. 기체성분인 암모니아 포름알데하이드, 아세트알테하이드, 석탄산 성분은 니코틴과 더불어 담배 특유의 맛을 내는데 이들 성분이 기관, 기관지, 세관지 점막을 덮고 있는 섬모상피세포와 배상피 세포의 기능 장애를 촉발시키게 되므로 일단 흡입된 연기 속의 타르 성분의 배출에 장애가 되므로 타르 성분은 상피에 축적되고 축적된 발암물질로 인해 세포는 악성세포로 변화되어 악성종양이 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07.08.1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