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파트 - 에버랜드 기업 분석 사례 (고급 레포트 자료)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테마파크의 유래
♣ 테마파크가 갖춘 일반적 조건
♣ 테마파크의 정의
♣ 테마파크의 특징
♣ 에버랜드를 선택한 원인

I.에버랜드의 역사
1. 창립자와 창립배경
2. 연혁

Ⅱ. 에버랜드의 비전
1. 경영철학 및 대상고객
2. 인재 선발과 육성방법

Ⅲ. 에버랜드의 현황
1. 현재 브랜드와 주력상품
2. 자산과 연 매출
3. 업계에서의 위치 및 세계 속에서의 위상
4.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

Ⅳ. 에버랜드의 미래
1. 기업 내부에서 바라보는 자신들의 미래
2. 외부에서 바라보는 에버랜드의 미래

Ⅴ. 에버랜드에 대한 제안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모든 시설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의 문제점이다. 음향시설의 노후로 인해 안내 멘트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고 있거나 근무자끼리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는 단순한 음향의 문제 뿐 아니라 나아가 손님의 돌발행동을 제재할 수 없게 되며 그로 인해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부분이라는 것을 알아야한다.
신규 어트랙션을 도입하는 것도 좋지만 기존의 어트랙션 시설의 보완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차량의 교체가 필요한 부분은 교체하고 음향설비의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보완하는 것이 손님의 불만을 해결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세 번째는 서비스의 혁신이 필요하다. 현재 에버랜드는 파크 자체를 커다란 하나의 무대로 보고 근무자를 배우(CAST), 손님을 그 공연에 초대된 손님(Guest)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는 손님을 단순한 구매자 즉 고객(customer)이 아닌 집에 초대된 손님으로 설정한 것이다. 그만큼 편안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에버랜드의 서비스는 좀 더 혁신적인 무언가가 필요하다. 지금의 ‘인사 잘하는 에버랜드’에서 벗어나 진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언가 보여지는 것이 있어야 한다. 즉 근무자의 엔터테이너화가 필요하다. 단순히 시설에서, 상품점에서, 식음파트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닌 진정한 CAST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를 위해서는 우선 근무자의 장기근무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에버랜드는 근무자의 수명이 짧다. 몇몇 정직원을 제외하고는 3~4개월을 주기로 근무자가 계속해서 교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무자를 상대로 엔터테이너 교육을 시킨다해도 3~4개월은 너무 짧은 것이 사실이다. 이 점만 개선된다면 근무자의 엔터테이너화는 교육을 통해 충분히 실현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그와 더불어 외국어 능통한 근무자의 채용이 요구된다. 혹은 근무자에게 외국어 교육을 받게 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나아가고자 한다면 가장 시급한 것이 언어문제일 것이다. 기본적인 회화교육을 통해 최소한의 의사소통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면 근무자는 보다 자신 있게 손님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며 그로 인해 서비스의 질 역시 한층 업그레이드 될 것이다. 지금의 소극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먼저 다가갈 줄 알고 손님이 말을 건네기 전에 미리 손님이 원하는 것이 무언지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서비스가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손님의 유치에 꾸준한 노력을 기해야 할 것이다. 즉 다시 찾는 에버랜드, 추천하고 싶은 에버랜드가 되는 것이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고 했다. 먼저 국내에서 입지를 굳힌다면 세계로 나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 되는 것이다. 현재 에버랜드는 입장객 수가 지난해에 비해 턱없이 적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1년과 2002년 4월 5일은 목요일과 금요일이었음에도 입장객 수 10만을 훌쩍 넘겼지만 올해 4월 5일은 날씨도 화창하고 주말에 겹쳤음에도 불구하고 9만 8천에 그쳤다. 이는 제휴카드의 백지화가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무료입장이 없어지고 자유이용권 및 입장권의 가격 인상으로 인해 그만큼 부담이 커진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손님에게 최고의 서비스 즉, 보여지는 것 뿐 아니라 거기에서 얻어지는 감동으로 손님을 다시 찾게끔 하는 것이다. 이는 앞서 말한 서비스 혁신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손님에게 감동을 줌으로써 다시 찾게 한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에버랜드가 세계적인 테마파크가 되길 원한다면 그것은 꼭 갖춰야만 하는 필수적 요소인 것이다. 몸에서 베어 나오는 친절로 작은 부분까지 세심하게 신경 쓴다면 손님은 거기에서 감동을 느끼게 되고 이는 다음에 다시 찾게 되는 것으로 보상받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에버랜드는 기존의 서비스와 현재 추진 중인 연출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야 한다. 연출서비스를 시행한다고 해서 기본적인 서비스를 소홀히 한다거나 기본적 서비스를 신경 쓰느라 연출서비스에 허점이 보여서는 안 될 것이다. 이 두 가지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여 손님으로 하여금 더욱 많은 볼거리와 재미를 느끼고 거기에 더하여 친절함까지 느낄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커다란 공연(댄스히스토리, 매직퍼레이드, 멀티미디어 쇼 등)에서만 볼거리를 얻는 것이 아니라 어트랙션 기종 하나하나에서 볼거리를 창출한다면 손님은 더욱 더 다채로운 서비스를 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연출서비스는 손님을 다시 찾게 하고 좀 더 오랫동안 체류하게 하는 요소가 되는 것이다. 거기에서 얻어지는 이익이란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큰 것이다. 그저 흥미로운 볼거리 제공에서 벗어나 일단 기종을 찾았던 손님을 매료시켜 마니아로 만드는 것이다. 즉 ‘다음번에 오면 꼭 다시 한번 타야지’보다는 ‘다시 타러 꼭 한번 와야지’라는 마음이 들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으로 에버랜드가 세계적인 테마파크로 입지를 굳히려면 부단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할 것이다.
Ⅵ. 참고자료
<참고 문헌>
박양춘최정수, 테마파크 에버랜드의 수명주기 특성, 2002
조현숙, 테마파크의 발전과정과 국내 테마파크의 개발방향, 1997
이후석, 현대관광의 이해, 학문사, 2002
이코노미스트, 중앙일보, 2002/06
김연성, 서비스 경영, 법문사, 2002
주간조선, 2001/6, 1659호
신현주, 한국 주제공원의 이미지 통합전략의 현황과 과제
<참고 사이트>
http://www.everland.com
http://blog.naver.com/doolyking/60006295570
http://www.yang.or.kr/bici/ever.html
http://100.naver.com/100.php?id=118494&cid=AD1074154309772&adflag=1
http://howeng.co.kr/tec/park/04.htm
http://bh.knu.ac.kr/%7Ecksuh2/ezboard/db/under2/upload/200105290007/everland.hwp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6.03.23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