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구조와 체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국어의 구조와 체계
1. 음운론
1-1 자음과 모음의 분류
1-2 음소
1-3 음운현상

2. 문법론
2-1. 형태소와 단어
2-2. 품사분류의 기준과 실제
2-3. 체언과 조사
2-4. 관형사, 부사, 감탄사

본문내용

되는 것은 ‘-들, -희, -네’이다. 국어의 복수는 명사와 대명사에만 표시될 뿐 수사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 수사와 통사적 기능이 비슷한 단위성 의존명사에도 ‘-들’이 붙을 수 없다.
2-3.4. 조사
조사는 자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품사로 정의되고 있다. 체언에 조사가 붙을 때 영향을 많이 받느 것은 대명사이다.
2-4. 관형사, 부사, 감탄사
관형사 : 관형사는 체언 앞에서 그 체언의 뜻을 분명하게 제한하는 품사이다.
국어의 관형사 가운데 고유어는 얼마 되지 않고 한자어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관형사는 체언이외의 품사는 꾸미는 일이 없다.
고유 명사, 상태성의 명사(성실, 무한....)는 관형사의 결합이 쉽지 않다.
관형사는 형태상으로 불변어이고 기능상으로는 수식언어이다.
*성상관형사 : 꾸밈을 받는 명사의 성질이나 상태를 실질적으로 제한한다고 하여 성상관형사라 한다.
*수관형사 : 단위성 의존명사와 결합하여 사물의 수량을 표시한다고 하여 수량관형사 또는
수관형사라 한다.
*지시관형사 :발화현장이나 문장밖에 존재하는 대상을 가리킨다고 하여 지시관형사라고 한다.
부사 :부사는 용언이나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말의 뜻을 분명히 제한해 주는 품사이다.
*성분부사 : 특정한 성분을 수식하는 부사를 가리킨다.
성상부사: 용언의 내용을 실질적으로 꾸미는 것이다.
의성부사: 소리를 모방
의태부사: 움직이는 모양을 모방
지시부사: 발화현장을 중심으로 처소나 시간을 가리키거나 앞에 나온 이야기의 내용을 지시하는 부사를 의미한다.
부정부사: 용언의 의미를 부정하는 방식으로 꾸며 주는 부사이다. 성분부사 가장 뒤에 놓이는 통사상의 특징이 있다.
*문장부사: 문장전체를 꾸며 주는 부사를 가리킨다.
양태부사: 화자의 태도를 표시하는 것이다. 전통 문법의 화식부사 내지 진술부사에 해당한다.
접속부사: 앞 문장의 의미를 뒷문장에 이어주면서 그것을 꾸미는 부사를 가리킨다.
감탄사:감탄사는 화자가 자신의 느낌이나 의지를 특별한 단어에 의지함이 없이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품사이다. 감탄사는 그 자체만으로 화자의 감정과 의지가 표현될 수 있어
독립된 문장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문장의 위치가 자유롭다.
관형사. 부사처럼 활용하지 않는다. 조사가 붙는 일이 없다.
의지감탄사 감정감탄사가 있다.
이번 조사가 시험기간과 겹쳐서 무리가 있고 힘들었는데, 어렵고 개념적인 언어의 구조와 체계에 대해서 많이 공부할 수 있었다. 엄마가 국어관련 학과를 졸업해서 엄마의 자료를 참고해 가며 레포트를 작성했다. 내가 미술교육과지만 언제든지 국어 쪽과 관련된 일을 할수 있다고 생각하고, 또 꼭 그런 일이 아니라 해도 살아가는데 있어서 국어적 감각은 필수적일 것이다. 언어에 대해 이론적으로 그 큰 맥락들을 살펴보고 이해할 수 있었다.
참고 문헌 : 국어학개론 -장소원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국어음은론-이기문, 김진우, 이상억 (학연사)
http://blog.naver.com/red492/20013773158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3.24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