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스크린쿼터 개괄
3.스크린쿼터를 둘러싼 경제적 쟁점
4.국제경제학과 스크린쿼터
5.영화산업의 규모와 수익성
6.영화산업의 미래와 스크린 쿼터
7.결론
2.스크린쿼터 개괄
3.스크린쿼터를 둘러싼 경제적 쟁점
4.국제경제학과 스크린쿼터
5.영화산업의 규모와 수익성
6.영화산업의 미래와 스크린 쿼터
7.결론
본문내용
이렇게 축소/폐지냐 유지냐의 논란이 있는 스크린쿼터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행된 것은 1967년부터이다. 이에 따라 영화법에 의한 국산영화 의무 상영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했다. 당시 한국 영화의 제작은 우리나라 영화사상 최고의 전성기를 맞고 있었는데, 1965년에 제작된 한국 영화는 161편이었고 66년에는 173편, 67년 185편, 68년 195편, 69년 229편, 70년 231편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인기를 모았던 영화는 한국영화보다는 수입외국영화였고 그 중에서도 미국영화가 압도했다. 따라서 영화 배급 시장은 외국 영화가 주도하는 현상이 계속 되었다. 이후 몇 번의 법 개정을 통해 현재 시행중인 스크린쿼터제는 연간 146일 이상 한국 영화 상영을 의무화하고 있다. 다만 문화관광부 장관이 20일, 지방자치단체장이 20일 등 연간 40일 범위 안에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줄여줄 수 있는 재량권을 행사하고 있어 실제로는 연간 106일 동안 한국 영화를 상영하도록 시행되고 있다.
추천자료
한국 에로영화 속의 여성이미지 : 한국영화 에로티시즘
한국영화의 효시에 대한 문제 제기와 한국영화사에 대한 소고
자유무역협정(FTA) 및 스크린쿼터제에 대한 찬반론
한국영화와 일본영화 비교
[한류열풍][한국영화][드라마]한류열풍의 원인과 한국 영화, 드라마의 수용 및 향후 대안과 ...
관객 500만 이상 한국영화와 망한 한국영화
워낭소리를 중심으로 본 한국독립영화
할리우드영화(미국헐리우드영화) 성장, 할리우드영화(미국헐리우드영화) 특징, 할리우드영화(...
미국 헐리우드(할리우드)영화 역사와 성장, 미국 헐리우드(할리우드)영화 특성과 현황, 미국 ...
영화예술 기말 (9~15주차), 한국영화, 북한영화, 영화기획 · 제작, 영화비평
한국공포영화와 일본공포영화를 비교한 일본인의 공포의식
한국영화의 폭력성,조폭 영화
일본영화, 한국영화.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