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소설 홍석중의 황진이에 나타나는 사랑의 특성과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소설 홍석중의 황진이에 나타나는 사랑의 특성과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문제 제기
2. 연구필요성 및 연구방법

Ⅱ. 본 론
1. 북한 소설에 나타나는 사랑의 특성
1) 확대 재생산되는 김일성 신화의 허상
2) 조국 근대화를 위한 기만적 윤활유
3) 가부장적 담론의 공고화와 슈퍼우먼 콤플렉스
2. 홍석중의「황진이」내용 분석
3. 홍석중의「황진이」에 나타난 사랑의 특성
1) 인간 대 인간의 사랑
2) 계급을 초월의 사랑
3) 노골적인 사랑의 표현

Ⅲ. 결 론

본문내용

의 구조는 김일성에 대해 충성을 강요하는 북한체제와 유사한 것이다. 북한에서 김일성은 완벽한 주체이자 북한주민들이 지향해야 할 완벽한 큰 타자로 저 높은 곳에 환상적으로 존재했다. 북한주민들은 자신이 지닌 결핍을 완벽한 큰 타자인 김일성이란 기호와의 합일을 통해 벗어날 수 있다는 신념을 종용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담론은 남녀 간의 합일 욕망이 궁극적으로 완벽한 큰 타자인 김일성이란 타자를, 환상으로 지향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북한 작가들이 김일성 수령에 대한 충성과 환상이 부족하면 청춘남녀들이 헤어지는 것으로 플롯을 설정한 것은 필연적이었다. 사랑이 개인 감성의 주고받음이 아닌 김일성 수령에 대한 충성도를 비교 검증하는 자리로 변모했던 것이다.
그러나 사랑이 지닌 휘발성적 폭발력은 감시와 처벌의 통제를 벗어나 본능적 몸부림을 은근히 전달한다. 설사 가부장적 지배이데올로기란 신화를 전파시키기 위해 사랑의 담론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간혹 본능적 목소리는 획일적 틀을 부수고 뛰어나와 독자의 예민한 촉수에 감지된다. 이러한 현상은 홍석중의「황진이」에서 직접적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홍석중의「황진이」는 사랑을 지배이데올로기 학습의 장으로 이용하려했던 북한의 기존 문학과는 달리 황진이 개인의 감성을 자유롭게 분출하여 존재의 자유를 시도하였다. 홍석중의「황진이」의 사랑의 특징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인간 대 인간의 사랑, 계급을 초월한 사랑으로 살펴보았고, 그 사랑의 노골적인 표현이 북한 문학에 주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인간을 신분에 관계없이 한 인간으로서 사랑하고자 했던 황진이는 신분과 성별이라는 차별 아래에서 고통스러워 하면서도 끝까지 인간에 대한 사랑을 실천해 가는 인물이고, 특히 약자들에 대한 사랑을 강인하게 실천해 나가는 인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골적인 성애 묘사는 기존 북한 소설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북한 문예분야의 변화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Ⅳ. 참고문헌
1. 이명재, 북한문학의 이념과 실체, 국학자료원, 1998
2. 최강민, 1990년대 북한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성격과 도식성 연구 -《조선문학》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학위논문, 2002
3. 김재용, 북한문학의 공식성과 비공식성, 민족예술, 1995
4. 김현숙, 북한문학에 나타난 여성인물 형상화의 의미, 이화여대 여성학논집, 1994
5. 홍석중, 황진이, 대훈닷컴, 2004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4.02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