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구조실험 #1-1(축방향에 따른 단면계수의 영향)
◦실험목적
◦실험 준비물
◦실험방법
◦실험원리
◦결 론
□ 구조실험 #1-2(단면형상에 따른 단면계수의 영향)
◦실험목적
◦실험 준비물
◦실험방법
◦실험원리
◦결 론
◦두 실험간 문제점
◦실험목적
◦실험 준비물
◦실험방법
◦실험원리
◦결 론
□ 구조실험 #1-2(단면형상에 따른 단면계수의 영향)
◦실험목적
◦실험 준비물
◦실험방법
◦실험원리
◦결 론
◦두 실험간 문제점
본문내용
1.00
400
3.92
1.43
1.50
1.38
1.44
500
4.90
1.86
1.90
1.75
1.84
그림2 - 단면 형상에 따른 부재의 처짐비교
결 론
부재의 단면형상을 바꿈으로 단면 2차 모멘트(I)의 값을 증가시키면 처짐(δ)이 감소하는 실험 결과를 얻어냈습니다. 이론상 처짐은 사각형보가 H형강보보다 4배 정도 처지는 것으로 계산되었으나 실험결과는 약 3배 사각형보가 더 처짐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론상과 실험상의 처짐의 차이는 아래 실험간 문제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하겠습니다.
위 실험으로 인해 같은 조건하에 부재의 단면형상을 바꿔 단면 2차 모멘트(I)의 값을 올림으로 처짐(δ)이 더 적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결론적으로 단면 2차 모멘트는 처짐(δ)의 반비례함이 증명되었습니다.
두 실험간 문제점
실험에서 처짐 값이 각각 틀리게 나왔습니다. 그 이유는 우선 아이소 핑크와 우드락의 상태가 모두 틀리기 때문입이다. 두 물체가 제조과정에서 동일하게 제조된다고 볼 수 없으며, 제작과정에서도 정밀히 부재를 자르지 못했으며, 부재의 성질도 탄성이 아닌 소성이었습니다.
그리고 하중을 정확히 중간에 가하지 못했으며, 다이얼 게이지 눈금의 정확성이 다소 떨어지고, 사람의 눈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시의 오차가 있을 것입니다. 또한, 경간 사이는 50cm 였으나 부재의 길이는 60cm 이어서 책상과 부재의 마찰력이 어느 정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작지만 이 마찰력 또한 하중을 분산시켜 약간의 처짐을 방지했다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실험값과 이론값의 차이가 생긴 걸로 판단됩니다.
400
3.92
1.43
1.50
1.38
1.44
500
4.90
1.86
1.90
1.75
1.84
그림2 - 단면 형상에 따른 부재의 처짐비교
결 론
부재의 단면형상을 바꿈으로 단면 2차 모멘트(I)의 값을 증가시키면 처짐(δ)이 감소하는 실험 결과를 얻어냈습니다. 이론상 처짐은 사각형보가 H형강보보다 4배 정도 처지는 것으로 계산되었으나 실험결과는 약 3배 사각형보가 더 처짐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론상과 실험상의 처짐의 차이는 아래 실험간 문제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하겠습니다.
위 실험으로 인해 같은 조건하에 부재의 단면형상을 바꿔 단면 2차 모멘트(I)의 값을 올림으로 처짐(δ)이 더 적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결론적으로 단면 2차 모멘트는 처짐(δ)의 반비례함이 증명되었습니다.
두 실험간 문제점
실험에서 처짐 값이 각각 틀리게 나왔습니다. 그 이유는 우선 아이소 핑크와 우드락의 상태가 모두 틀리기 때문입이다. 두 물체가 제조과정에서 동일하게 제조된다고 볼 수 없으며, 제작과정에서도 정밀히 부재를 자르지 못했으며, 부재의 성질도 탄성이 아닌 소성이었습니다.
그리고 하중을 정확히 중간에 가하지 못했으며, 다이얼 게이지 눈금의 정확성이 다소 떨어지고, 사람의 눈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시의 오차가 있을 것입니다. 또한, 경간 사이는 50cm 였으나 부재의 길이는 60cm 이어서 책상과 부재의 마찰력이 어느 정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작지만 이 마찰력 또한 하중을 분산시켜 약간의 처짐을 방지했다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실험값과 이론값의 차이가 생긴 걸로 판단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