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험목적
□ 실험준비물
□ Layout
□ 실험방법
□ 실험사진
□ 결 론
□ 실험준비물
□ Layout
□ 실험방법
□ 실험사진
□ 결 론
본문내용
브래싱에 유무에 의한 좌굴하중(Pcr)의 차이를 이해하고자 하는 실험이었습니다. 실험 A)와 실험 B)는 같은 조건(기둥의 비율 1:2)하에 기둥의 단면을 다르게 하여 단면 2차 모멘트(I)를 높여줌으로써 좌굴하중이 2.5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이론상 나왔으나 실험상으론 1.71배로 31.6%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브래싱을 설치한 실험 C), 실험 D), 실험 E), 실험 F)는 모든 조건이 같고 브래싱의 유무에 따라 유효좌굴계수(K)가 변함으로 실험 A)를 기준으로 4:1:2.04:0.25의 차이가 나오는 것으로 이론상 나왔으나 실험상 3.36:1.82:2.85:0.74로 각각 16.0%, 82.0%, 39.7%, 66.2%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여기서 실험 G)는 구조물이 핀-핀으로 되있고 브래싱이 없는 경우로 부정정 구조물에 해당하여 구조물로 성립이 안되나, 실험상 “V”자 홈을 파서 연결함으로써 약간의 좌굴하중을 받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이론과 실험의 결과 많은 오차가 발생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첫째, 아이소 핑크로 만든 기둥의 단면이 불균등했으며, 슬래브의 홈을 정확히 파지 못하여 이 차이로의 짧은 기둥방향으로 좌굴이 일어나 쉽게 좌굴된 것 같습니다. 둘째, 브래싱의 연결이 모두 똑같지 않았으며, 하중으로 대신한 A4용지도 정확히 가운데 올려놓지 못하여 오차가 컸던 것 같습니다.
이번 좌굴하중 산정 실험 1, 2을 통해서 기둥의 단면 2차 모멘트(I)와 좌굴하중(Pcr)이 비례하며, 유효좌굴길이(KL)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증명하였습니다. 또한 브래싱 역할의 중요성도 알 수 있었던 실험이었습니다.
브래싱을 설치한 실험 C), 실험 D), 실험 E), 실험 F)는 모든 조건이 같고 브래싱의 유무에 따라 유효좌굴계수(K)가 변함으로 실험 A)를 기준으로 4:1:2.04:0.25의 차이가 나오는 것으로 이론상 나왔으나 실험상 3.36:1.82:2.85:0.74로 각각 16.0%, 82.0%, 39.7%, 66.2%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여기서 실험 G)는 구조물이 핀-핀으로 되있고 브래싱이 없는 경우로 부정정 구조물에 해당하여 구조물로 성립이 안되나, 실험상 “V”자 홈을 파서 연결함으로써 약간의 좌굴하중을 받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이론과 실험의 결과 많은 오차가 발생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첫째, 아이소 핑크로 만든 기둥의 단면이 불균등했으며, 슬래브의 홈을 정확히 파지 못하여 이 차이로의 짧은 기둥방향으로 좌굴이 일어나 쉽게 좌굴된 것 같습니다. 둘째, 브래싱의 연결이 모두 똑같지 않았으며, 하중으로 대신한 A4용지도 정확히 가운데 올려놓지 못하여 오차가 컸던 것 같습니다.
이번 좌굴하중 산정 실험 1, 2을 통해서 기둥의 단면 2차 모멘트(I)와 좌굴하중(Pcr)이 비례하며, 유효좌굴길이(KL)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증명하였습니다. 또한 브래싱 역할의 중요성도 알 수 있었던 실험이었습니다.
추천자료
[구조실험] 구조실험(압축강도)
[토질실험] 압밀실험(Consolidation Test)보고서 -한국산업규격(KS F 2306) 규정
기계공학 실험 -샤르피 충격실험
[기계공학실험] 피로실험
[물리실험보고서] 인장실험
[기계공학실험] brinell, rockwell 경도실험
[실험보고서] 로크웰 경도(Rockwell Hardness) 실험
미세조직 실험 - 인장실험
기계공학 실험 - 경도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 인장 실험
재료역학 실험 - 보의 처짐 실험
[실험보고서] 보,빔에서의 처짐 실험
[재료실험] 인장실험 - 차단기 접지 Cu-Zn 합금의 조직관찰 및 기계적 특성 평가
[기계공학실험 A] 크리프 실험
소개글